영화 도그빌(라스 폰 트리에 감독, 2003)을 보고 이 영화에서 발견되는 ‘서사극적 특징’에 대해 논하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 도그빌(라스 폰 트리에 감독, 2003)을 보고 이 영화에서 발견되는 ‘서사극적 특징’에 대해 논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영화 ‘도그빌’
2) 서사극적 특징 분석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먼 영화들도 있다. 하지만 공통점은 현실적으로 ‘그럴싸함’에 두고 있다. 아무리 현실과 거리가 먼 장르의 영화라 할지라도, 현실에 기반에 그럴싸한 태도를 보이기에 몰입할 수 있고 그 몰입을 통해서 영화의 재미는 올라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도그빌’은 영화이면서도 그러한 ‘몰입’을 정면으로 거부하고 지속적인 메시지를 보낸다. ‘이것은 가짜다’가 라스 폰 트리에가 보내는 메시지다. 시작부터 조감도를 보여주며 이 공간을 넘어서지 않으며 이 공간 안에서 무엇인가가 벌어진다고 못을 박았다. 배경도 미국의 과거 시골 마을 어디쯤이라며 막연하게 만들어놓았다. 인물들은 아무것도 없는 허공에 벽을 인지하듯 연기하고 있으며 심지어 인물들끼리는 인지를 못 하지만 관객은 벽을 투과해 옆집의 사람을 보기도 한다. 없는 소품에 대해서 마임 연기를 할 때마다, 음향효과가 그것을 보충할 때마다 몰입은 깨지며 브레히트가 원했던 ‘소격 효과’가 이루어진다. 그러면서 관객들은 자신들이 바라보고 있는 ‘도그빌’의 이야기에 주관적 몰입이 아닌 객관적 집중을 할 수 있게 된다. 도그빌에서 일어나는 개인의 내면과 욕망, 관계의 갈등을 제삼자의 입장으로 바라보며 자신의 현실과 비교해보고 사회의 구조를 투영할 기회를 얻게 되는 것이다. 이것이 ‘도그빌’을 만든 라스 폰 트리에의 의도였으며 그러한 의도는 관객들에게 새로운 차원의 즐거움을 선사할 수 있었다. 김민경 [영화『도그빌』의 연극적 기법과 도덕적 비판]
Ⅳ. 참고문헌
베르톨트 브레히트 [서사극 이론]
송윤엽 외 [브레히트의 연극이론]
김민경 [영화『도그빌』의 연극적 기법과 도덕적 비판]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2.09.08
  • 저작시기2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37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