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소격효과’와 웰컴투 동막골
- 브레히트의 소격효과
- 웰컴투 동막골에서 볼 수 있는 소격효과
- 참고영화. ‘도그빌’
⇒ 결론
- 브레히트의 소격효과
- 웰컴투 동막골에서 볼 수 있는 소격효과
- 참고영화. ‘도그빌’
⇒ 결론
본문내용
으며 문도 틀만 있을 뿐 손잡이는 어디에도 없다. 문을 열고 닫는 행위는 오직 효과음에 의해서만 이루어 진다. 시각디자인뿐만 아니라 도그빌 은 영화적인 문법을 완전히 배제한 채 관객과의 거리두기로써 감정의 이입을 차단한다. 가령 카메라의 시선을 노골적으로 드러내어 화면과 관객 사이의 거리감을 부각시키는 것이 그런 예이다. "당신은 지금 카메라를 통해 보여지는 가짜를 보고 있는 것이다"는 것을 계속 주지시켜 준다. 관객의 감정이입을 방해해 영화에 완전히 빠져들지 않게 함으로서 작품과 현실을 냉정하게 구별하고, 관객의 의식을 일깨워 현실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라스 폰 트리에 감독은 미국사회와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신랄한 비판을 더욱 가시화 시킨 것은 아니었을까.
⇒ 결론
이와 같은 ‘소격효과’는 연극, 영화를 넘나들며 그 독특한 형식에서 새롭게 창출되는 무언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브레히트의 소격효과와 그 소격효과를 충실히 담아낸 도그빌. 이를 통해 우리는 ‘웰컴투 동막골’을 감상에만 젖어 바라볼 것이 아니라, 현실을 비판적으로 볼 수 있는 의식을 일깨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명확하게 인지해야 함을 알 수 있다.
⇒ 결론
이와 같은 ‘소격효과’는 연극, 영화를 넘나들며 그 독특한 형식에서 새롭게 창출되는 무언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브레히트의 소격효과와 그 소격효과를 충실히 담아낸 도그빌. 이를 통해 우리는 ‘웰컴투 동막골’을 감상에만 젖어 바라볼 것이 아니라, 현실을 비판적으로 볼 수 있는 의식을 일깨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명확하게 인지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추천자료
벤야민의 문예이론과 문화 산업하에서의 작가주의
서사극에서의 감정이입
억척어멈 연극을 보고
효율적시장가설과 시장이례현상
연극과 희곡의 이해 - ‘코카서스의 백묵원’ 분석
희곡이론 및 사례분석 - 채만식의 <제향날>을 중심으로
서사극의 이론과 현대 연극 (기말보고서)
[일상의 영역][노조의 일상활동][비노동영역의 일상생활][노동조합의 체계][일상활동][부서활...
효율적 시장가설(EMH)와 시장이례현상
비언어 의사소통체계의 접근을 통한 서사극에 나타난 신체언어 연구
‘백설 공주를 사랑한 난장이’와 ‘서푼짜리 오페라’ 그리고 ‘테크놀로지 댄스, 존
시장이례현상과 시장심리
독후감 - 사천사는 착한사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