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플라톤의 철학과 교육사상
(2)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과 교육사상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플라톤의 철학과 교육사상
(2)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과 교육사상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사유 재산을 인정하고 플라톤의 공유재산에 대한 주장을 비판하였다. 사유 재산을 인정하지 않고 공동으로 재산을 소유한다면 아이들이 보살핌을 덜 받게 될 것이라 주장하였다. 플라톤의 철인 국가에서는 아이들 또한 공동의 재산이기에 각 개인으로서 보살핌 받을 수 없게 될 거라는 점을 우려한 것이다. 또한, 사유 재산을 인정해야 사람들의 소유에 대한 즐거움을 유지할 수 있기에 행복할 수 있다. 사람들이 행복해야 시민들의 품성이 변화하고 덕을 함양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아리스토텔레스는 사유 재산을 인정하였다.
(3)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장단점
플라톤은 엘리트에 의한 국가 통치를 주장하였기에, 플라톤의 교육 사상은 매우 효율적이고 계획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플라톤의 철학에 따르면 과도하게 통일되고 개인이 개인으로서 존재할 수 없기에 행복감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은 개인의 행복에 대해 말하고 이를 목표로 삼았다는 점에서 플라톤보다 좀 더 인간적이고 발전된 논의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덕을 쌓는 것과 이성에 대한 훈련에 대한 논리적 연결성이 떨어진다는 느낌을 받았다. 플라톤의 철학의 경우 다소 억압적이더라도 말하고자 하는 바가 명확했으나 아리스토텔레스의 경우 이성에 대한 중요성과 행복에 대한 중요성을 동시에 말하면서 경계가 모호하다는 생각을 하였다.
3. 결론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스승과 제자 사이이지만 다른 철학을 펼쳤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에게 영향을 받았으며 거기에서 좀 더 자신만의 생각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둘 다 이성을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그 이성에 도달하는 방법론을 다르게 펼쳤다.
나는 플라톤의 이데아라는 개념이 멋있다고 생각하였다. 순수한 본질을 획득하는 시기를 교육에 포함함으로써 본질에 더 가까워지고, 이를 세상에 나가 적용하는 것이 교육이라고 믿었던 점이 인상 깊었다. 플라톤은 엘리트에 의한 통치를 주장했지만 사회에 모든 재산을 반환해야 한다고 믿었던 것이 이상적이었다고 생각한다. 다만 그러한 주장은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비판받았고,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었지만, 두 철학자의 주장에 대해 알아가는 것은 흥미로웠다.
4. 참고문헌
송대현(Song Dae-Hyeon). \"플라톤의 『국가』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비판.\" 철학사상 45.- (2012): 95-130.
http://www.riss.kr/link?id=A100276830
(3)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장단점
플라톤은 엘리트에 의한 국가 통치를 주장하였기에, 플라톤의 교육 사상은 매우 효율적이고 계획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플라톤의 철학에 따르면 과도하게 통일되고 개인이 개인으로서 존재할 수 없기에 행복감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은 개인의 행복에 대해 말하고 이를 목표로 삼았다는 점에서 플라톤보다 좀 더 인간적이고 발전된 논의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덕을 쌓는 것과 이성에 대한 훈련에 대한 논리적 연결성이 떨어진다는 느낌을 받았다. 플라톤의 철학의 경우 다소 억압적이더라도 말하고자 하는 바가 명확했으나 아리스토텔레스의 경우 이성에 대한 중요성과 행복에 대한 중요성을 동시에 말하면서 경계가 모호하다는 생각을 하였다.
3. 결론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스승과 제자 사이이지만 다른 철학을 펼쳤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에게 영향을 받았으며 거기에서 좀 더 자신만의 생각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둘 다 이성을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그 이성에 도달하는 방법론을 다르게 펼쳤다.
나는 플라톤의 이데아라는 개념이 멋있다고 생각하였다. 순수한 본질을 획득하는 시기를 교육에 포함함으로써 본질에 더 가까워지고, 이를 세상에 나가 적용하는 것이 교육이라고 믿었던 점이 인상 깊었다. 플라톤은 엘리트에 의한 통치를 주장했지만 사회에 모든 재산을 반환해야 한다고 믿었던 것이 이상적이었다고 생각한다. 다만 그러한 주장은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비판받았고,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었지만, 두 철학자의 주장에 대해 알아가는 것은 흥미로웠다.
4. 참고문헌
송대현(Song Dae-Hyeon). \"플라톤의 『국가』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비판.\" 철학사상 45.- (2012): 95-130.
http://www.riss.kr/link?id=A10027683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