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본론
(1) 생활지도의 개념
(2) 생활지도의 활동영역
1) 학생이해활동
2) 정보제공활동
3) 정치활동
4) 상담활동
5) 추후지도활동
(3)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활동영역과 경험을 통한 선정근거 제시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1. 본론
(1) 생활지도의 개념
(2) 생활지도의 활동영역
1) 학생이해활동
2) 정보제공활동
3) 정치활동
4) 상담활동
5) 추후지도활동
(3)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활동영역과 경험을 통한 선정근거 제시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선정근거 제시
학원에서 교사로 활동하던 시절에 느꼈던 경험을 토대로, 추후지도활동이 가장 중요시된다고 본다. 학생에 대한 기본정보나 상담활동을 통해 적절한 조치가 취해졌다하더라도 그 학생에 대한 지속성을 꾸준히 살펴야하며, 그에 맞게 바람직한 대안에 따라 변경해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반에서 꼴등을 하던 아이가 학원에서 수업을 열심히 듣고, 학원반 배정 수업에서 상위권에 든적이 있었다. 모두들 우려했고, 새로 배정된 반에 들어가 수업을 따라갈 수 있을까 걱정도 많이 했었다. 또한 이 아이가 컨닝과 같은 다른 방법으로 반배치고사에 임한 것이 아닐까하는 소문까지 있었다. 하지만 기본원칙에 따라, 아이를 반배정을 하되, 새로운 반의 선생님과 논의하여, 2번의 반배정 시험까지 지켜보고 반 수업을 잘 따라갈 수 있는지 지켜보기로 하였다. 상급반으로 배정 후, 처음의 수업은 자신감과 노력으로 열심히 따라갔으며, 그에 따라 2번째 반 배치고사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그래서 안심을 하기도 했지만 한번의 배치고사가 남아 있어, 그 시험까지 지켜보았다. 점차 수업의 심화도가 높아갈수록 아이의 걱정과 부담감이 보였고, 스스로 낙담하는 모습도 보여, 상담선생님과 논의하는 시간들이 길어졌다. 마지막 반배치고사에서 결국 성적이 내려갔고, 조금은 자존심 상해하는 모습과 후련함을 동시에 보여줬다. 결국 그 학생에게 조금 더 쉽고 이해력을 높일 수 있는 반으로 배정되었고, 그에 따라 집중도와 성적의 상승곡선이 함께 변화되는 모습을 보여줬다. 한번의 결과로 끝내지 않고, 지속적인 관심과 면담으로 학생의 적응도와 개선도를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학생의 또다른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줬던 그 경험에 의거, 추후지도활동을 가장 중요한 활동영역이라고 본다.
3. 결론
예전엔 보건교사가 상담교사의 역할을 겸임하면서 학생들에게 여러 교육을 진행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각각의 역할의 엄연히 구분된 이후로는, 상담교사라는 별도의 직책이 생겨났고 그 교사는 학생들을 바르게 인도해야 한다는 의무감에 보통 사감교사들이 많이 역임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는 강제적인 훈육과 체벌이라는 결과를 통해 학생들의 반발심과 결국 교사와 학생간의 충돌이라는 사상초유의 사태까지도 발생하였었다. 학교에서는 성격 형성의 중요한 시기의 아이들을 교육한다는 점을 좀더 심각하게 인지하고 적절한 상담과 지도를 통해 안정적인 성격형성에 도움을 주고 한 사회의 일원으로서 미래사회를 준비할 수 있도록 창의력 향상에도 힘써야 한다. 또한 학교뿐만 아니라, 정부부처에서도 학생들을 위한 제도 및 행정절차를 마련하여 상담활동에 적극적으로 지원해주어야 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교육문화연구소>자료실>교육학일반>[교육심리학]생활지도의 이해와 원리, 20200624
https://www.edulabkorea.com/reference/general.php?ptype=view&idx=903&page=1&code=general
교육학개론, 조금주외, 공동체출판사, 2011
생활지도와 상담, 이재창, 문음사, 2005
학원에서 교사로 활동하던 시절에 느꼈던 경험을 토대로, 추후지도활동이 가장 중요시된다고 본다. 학생에 대한 기본정보나 상담활동을 통해 적절한 조치가 취해졌다하더라도 그 학생에 대한 지속성을 꾸준히 살펴야하며, 그에 맞게 바람직한 대안에 따라 변경해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반에서 꼴등을 하던 아이가 학원에서 수업을 열심히 듣고, 학원반 배정 수업에서 상위권에 든적이 있었다. 모두들 우려했고, 새로 배정된 반에 들어가 수업을 따라갈 수 있을까 걱정도 많이 했었다. 또한 이 아이가 컨닝과 같은 다른 방법으로 반배치고사에 임한 것이 아닐까하는 소문까지 있었다. 하지만 기본원칙에 따라, 아이를 반배정을 하되, 새로운 반의 선생님과 논의하여, 2번의 반배정 시험까지 지켜보고 반 수업을 잘 따라갈 수 있는지 지켜보기로 하였다. 상급반으로 배정 후, 처음의 수업은 자신감과 노력으로 열심히 따라갔으며, 그에 따라 2번째 반 배치고사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그래서 안심을 하기도 했지만 한번의 배치고사가 남아 있어, 그 시험까지 지켜보았다. 점차 수업의 심화도가 높아갈수록 아이의 걱정과 부담감이 보였고, 스스로 낙담하는 모습도 보여, 상담선생님과 논의하는 시간들이 길어졌다. 마지막 반배치고사에서 결국 성적이 내려갔고, 조금은 자존심 상해하는 모습과 후련함을 동시에 보여줬다. 결국 그 학생에게 조금 더 쉽고 이해력을 높일 수 있는 반으로 배정되었고, 그에 따라 집중도와 성적의 상승곡선이 함께 변화되는 모습을 보여줬다. 한번의 결과로 끝내지 않고, 지속적인 관심과 면담으로 학생의 적응도와 개선도를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학생의 또다른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줬던 그 경험에 의거, 추후지도활동을 가장 중요한 활동영역이라고 본다.
3. 결론
예전엔 보건교사가 상담교사의 역할을 겸임하면서 학생들에게 여러 교육을 진행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각각의 역할의 엄연히 구분된 이후로는, 상담교사라는 별도의 직책이 생겨났고 그 교사는 학생들을 바르게 인도해야 한다는 의무감에 보통 사감교사들이 많이 역임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는 강제적인 훈육과 체벌이라는 결과를 통해 학생들의 반발심과 결국 교사와 학생간의 충돌이라는 사상초유의 사태까지도 발생하였었다. 학교에서는 성격 형성의 중요한 시기의 아이들을 교육한다는 점을 좀더 심각하게 인지하고 적절한 상담과 지도를 통해 안정적인 성격형성에 도움을 주고 한 사회의 일원으로서 미래사회를 준비할 수 있도록 창의력 향상에도 힘써야 한다. 또한 학교뿐만 아니라, 정부부처에서도 학생들을 위한 제도 및 행정절차를 마련하여 상담활동에 적극적으로 지원해주어야 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교육문화연구소>자료실>교육학일반>[교육심리학]생활지도의 이해와 원리, 20200624
https://www.edulabkorea.com/reference/general.php?ptype=view&idx=903&page=1&code=general
교육학개론, 조금주외, 공동체출판사, 2011
생활지도와 상담, 이재창, 문음사, 2005
추천자료
교직실무 요약
[교육] 교직실무 요약
생활지도의 의미와 생활지도의 영역
[생활지도와 상담] 생활지도 상담계획서 - 5단계에 걸친 계획서 (모두가 어울리는 교실 만들기)
[교육학개론] 생활지도의 영역(교육지도, 직업지도, 인성지도, 건강지도, 사회성 지도, 여가...
중복 지체부자유아 진로 직업 교육 [개념 및 의의 학생 진로 상담]
생활지도의 활동영역(학생이해활동, 정보제공활동, 정치활동, 상담활동, 추후지도활동)을 각...
생활지도와상담_생활지도의 활동 영역(학생이해활동, 정보제공활동, 정치활동, 상담활동, 추...
생활지도와상담_생활지도의 활동영역(학생이해활동, 정보제공활동, 정치활동, 상담활동, 추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