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당신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잘 말 할 수 있는가?
우리는 말하기 교육과 훈련을 받아본적 있는가?
사회는 우리에게 전문가 수준의 화술을 요구한다.
어떤 이야기든 알기 쉽게 설명해 보자
직장에서 보고 잘하기
우리는 말하기 교육과 훈련을 받아본적 있는가?
사회는 우리에게 전문가 수준의 화술을 요구한다.
어떤 이야기든 알기 쉽게 설명해 보자
직장에서 보고 잘하기
본문내용
예시(example)를 들기(\"예를 들면 이런 경우가 있습니다.\")
6단계 : 마지막으로는 다시 요점(point)을 반복하여 끝낸다.(\"그래서 이번에 전달하려는 내용은 OO입니다..\")
이 방법은 상대방에게 먼저 결론을 제시하고, 그것에 대한 예시와 이유 등 근거를 통해 말하는 방법이다.
이 법칙은 어떠한 주제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적절한 시점에 구체적인 예시나 이유 등을 통해 상대방을 쉽게 설득시킬 수 있다.
이 방법대로 어떠한 주제에 대해 시나리오를 써보고 거울을 보고 연습해보기를 권한다.
몇 번씩 하다보면 말하기 스킬이 급상승하게 되는 체험을 하게 될것이다.
직장에서 보고 잘하기
회사에서 보고의 목적은 거의 3가지로 압축된다.
3가지는 \'현황보고\', \'설득하기\', \'도움요청\'이다.
보고 목적에 따라 보고방법이 바뀌어야 하지만 공통으로 적용되는 스킬에 대해 알아보자.
1. 처음은 상대방을 안심시킨다.
모든 보고의 처음은 상대방을 안심시키기이다.
처음부터 문제점을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런 방법은 상대방으로 하여금 불안감을 야기시킨다.
예를 들면 \" A프로젝트가 잘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예산이 200만원 정도 초과되었는데 반영하면 좋겠습니다.\"
이런식으로 요청하면 상대방도 예산초과된 부분보다는 프로젝트 진행이 잘되고 있는것에 집중할 수 있다.
반면 \"예산이 200만원 초과되어서 프로젝트 진행이 어려울 것 같습니다.\" 같은 말이지만 상당히 부정적으로 들린다.
문장의 앞뒤만 바뀌어도 보다 좋은 보고멘트가 될 수 있다.
2. 업무상 실수를 보고할때는 편안하게 한다.
업무를 하다보면 사소한 실수를 할 경우가 있다.
초반부터 실수에 대해 난리난 것처럼 보고하는 것은 좋지 않다.
마찬가지로 전체 업무진행에는 문제가 없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리고 상사에게 그 책임을 떠 넘기기 보다는 대안을 제시한다.
실수를 하더라도 말하기에 따라 난관을 극복하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다.
3. 상사의 불명확한 지시에 대응하는 방법
불명확한 지시는 최대한 명확하게 구체화 시켜 질문을 해야한다.
예를 들어 상사가 디자인 홍보물에 대해 \"스타일이 너무 올드하네. 트렌디하게 바꿔봐\"
이렇게 모호한 지시를 할 경우 \"네 알겠습니다.\" 하고 나오면 절대 안된다.
그 자리에서 \"아 저희도 패턴이 올드해서 바꿀 생각이었습니다. 혹시 최근에 본 디자인 중 트렌디한것이 있다면 말씀좀 해주세요\" 이렇게 업무의 범위를 좁혀나가야 한다.
6단계 : 마지막으로는 다시 요점(point)을 반복하여 끝낸다.(\"그래서 이번에 전달하려는 내용은 OO입니다..\")
이 방법은 상대방에게 먼저 결론을 제시하고, 그것에 대한 예시와 이유 등 근거를 통해 말하는 방법이다.
이 법칙은 어떠한 주제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적절한 시점에 구체적인 예시나 이유 등을 통해 상대방을 쉽게 설득시킬 수 있다.
이 방법대로 어떠한 주제에 대해 시나리오를 써보고 거울을 보고 연습해보기를 권한다.
몇 번씩 하다보면 말하기 스킬이 급상승하게 되는 체험을 하게 될것이다.
직장에서 보고 잘하기
회사에서 보고의 목적은 거의 3가지로 압축된다.
3가지는 \'현황보고\', \'설득하기\', \'도움요청\'이다.
보고 목적에 따라 보고방법이 바뀌어야 하지만 공통으로 적용되는 스킬에 대해 알아보자.
1. 처음은 상대방을 안심시킨다.
모든 보고의 처음은 상대방을 안심시키기이다.
처음부터 문제점을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런 방법은 상대방으로 하여금 불안감을 야기시킨다.
예를 들면 \" A프로젝트가 잘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예산이 200만원 정도 초과되었는데 반영하면 좋겠습니다.\"
이런식으로 요청하면 상대방도 예산초과된 부분보다는 프로젝트 진행이 잘되고 있는것에 집중할 수 있다.
반면 \"예산이 200만원 초과되어서 프로젝트 진행이 어려울 것 같습니다.\" 같은 말이지만 상당히 부정적으로 들린다.
문장의 앞뒤만 바뀌어도 보다 좋은 보고멘트가 될 수 있다.
2. 업무상 실수를 보고할때는 편안하게 한다.
업무를 하다보면 사소한 실수를 할 경우가 있다.
초반부터 실수에 대해 난리난 것처럼 보고하는 것은 좋지 않다.
마찬가지로 전체 업무진행에는 문제가 없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리고 상사에게 그 책임을 떠 넘기기 보다는 대안을 제시한다.
실수를 하더라도 말하기에 따라 난관을 극복하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다.
3. 상사의 불명확한 지시에 대응하는 방법
불명확한 지시는 최대한 명확하게 구체화 시켜 질문을 해야한다.
예를 들어 상사가 디자인 홍보물에 대해 \"스타일이 너무 올드하네. 트렌디하게 바꿔봐\"
이렇게 모호한 지시를 할 경우 \"네 알겠습니다.\" 하고 나오면 절대 안된다.
그 자리에서 \"아 저희도 패턴이 올드해서 바꿀 생각이었습니다. 혹시 최근에 본 디자인 중 트렌디한것이 있다면 말씀좀 해주세요\" 이렇게 업무의 범위를 좁혀나가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