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포스트코로나’ 란?
2.
포스트코로나 시대, 병원이 나아가야할 방향
병원의 감염관리
병원의 온오프라인 연계
바이오헬스산업 육성
코로나 우울 해소 등 마음건강 강화
‘포스트코로나’ 란?
2.
포스트코로나 시대, 병원이 나아가야할 방향
병원의 감염관리
병원의 온오프라인 연계
바이오헬스산업 육성
코로나 우울 해소 등 마음건강 강화
본문내용
자치단체가 시행중인 마음건강 주치의 등 정신건강 사업과 연계해 맞춤형 심리지원을 연결해줄 수도 있다. 또한 병원 전용 또한 모바일 앱,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서도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병원 전용 모바일 앱은 쉽고 간편하게 자신의 마음 건강 상태를 확인해보고 심리적 안정을 얻는 방법을 훈련해 볼 수 있고,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본인이 직접, 언제든지 편리하게 전문가 심리 상담을 신청할 수 있도록 절차를 간소화한다. 이러한 여러 심리 상담 채널을 통하여 스스로의 마음을 살펴보고 코로나 우울도 극복하며 마음 건강을 챙길 수 있게 적극 지원해야 한다.
우리는 어쩌면 이미 포스트코로나 시대로 진입 했을 수도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완전히 사라지게 할 수 없기 때문에 함께하는 위드코로나로 이미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어쩌면 이 위드코로나가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첫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작점에서 우리는 이미 많은 것들이 빠르게 변화하였다. 그리고 계속적으로 빠르게 진행 중이다. 특히 의료에 있어서는 절대적이다. 비대면 진료가 많아졌고, 의사 중심 이였던 진료를 환자 중심으로 병원 환경이 많이 바뀌었다. 가까운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미래에는 신경정신과 전문의가 직접 환자를 만나지 않고도 언제 어디서든 상담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거리 곳곳 어디에서나 감염증 예방을 위한 방역 로봇이 방역 또한 담당하고 있을지 모른다. 방역이 꼭 필요한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한 전염병 대비도 필수적일 것이다. 진단키트는 더욱 정확도가 높아질 것이고, 이를 바탕으로 축적 된 개인의 건강정보도 빠르게 병원과 빅데이터로 전달되어 어떤 위험에도 대비 할 수 있도록 연구는 계속 될 것이다. 병원 환경은 이러한 변화에 아주 능동적으로 대처해야한다. 이 변화를 비켜갈 수 없으므로 그 변화에 강건하게 대비해야 한다. 언젠가는 맞이할 우리의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위하여 변화를 맞이하는 병원환경이 더욱 능동적이 되길 바란다.
[참고문헌]
1.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
2. 청년의사 요양병원협회 손덕현 회장 인터뷰 - http://www.docdocdoc.co.kr/news/
3. 동아일보 이언 가천대 길병원 신경외과 교수 칼럼 https://www.donga.com/news/
4. 의협신문 - http://www.doctorsnews.co.kr/news/
우리는 어쩌면 이미 포스트코로나 시대로 진입 했을 수도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완전히 사라지게 할 수 없기 때문에 함께하는 위드코로나로 이미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어쩌면 이 위드코로나가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첫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작점에서 우리는 이미 많은 것들이 빠르게 변화하였다. 그리고 계속적으로 빠르게 진행 중이다. 특히 의료에 있어서는 절대적이다. 비대면 진료가 많아졌고, 의사 중심 이였던 진료를 환자 중심으로 병원 환경이 많이 바뀌었다. 가까운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미래에는 신경정신과 전문의가 직접 환자를 만나지 않고도 언제 어디서든 상담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거리 곳곳 어디에서나 감염증 예방을 위한 방역 로봇이 방역 또한 담당하고 있을지 모른다. 방역이 꼭 필요한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한 전염병 대비도 필수적일 것이다. 진단키트는 더욱 정확도가 높아질 것이고, 이를 바탕으로 축적 된 개인의 건강정보도 빠르게 병원과 빅데이터로 전달되어 어떤 위험에도 대비 할 수 있도록 연구는 계속 될 것이다. 병원 환경은 이러한 변화에 아주 능동적으로 대처해야한다. 이 변화를 비켜갈 수 없으므로 그 변화에 강건하게 대비해야 한다. 언젠가는 맞이할 우리의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위하여 변화를 맞이하는 병원환경이 더욱 능동적이 되길 바란다.
[참고문헌]
1.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
2. 청년의사 요양병원협회 손덕현 회장 인터뷰 - http://www.docdocdoc.co.kr/news/
3. 동아일보 이언 가천대 길병원 신경외과 교수 칼럼 https://www.donga.com/news/
4. 의협신문 - http://www.doctorsnews.co.kr/news/
추천자료
21세기 보건의료환경의 변화와 오송 보건의료과학단지의 의학적 모델
노인복지 및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전략적 간호관리 공통] 1 전략계획이 무엇인지 설명 (전략계획의 과정 포함) 하고 의료조직...
전략적간호관리] 1.보건의료 시스템을 재구성하게 하는 압력요인, 보건의료 시스템의 재구성...
[지역사회간호학 2021] 일차보건의료에 관해 작성하시오. 1. 일차보건의료사업 위한 주요 원...
지역사회간호학 2021년 방송대 지역사회간호학 일차보건의료사업] 1.일차보건의료사업 위한 ...
노인복지론 기말) 1.멀티미디어 강의 중 가장 인상 깊었던 강의 3강의 그 이유, 2021년 방송...
관광경영학 ) 포스트 코로나(코로나19이후) 시대의 관광산업 대응전략과 활성화 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