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영아기 음성언어 발달
2. 영아기 음성언어 발달을 월령의 증가에 따라 제시
1) 9개월에서 12개월
2) 12개월에서 23개월
3) 24개월에서 36개월
3. 월령별 영아기 음성언어 발달 표
4.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영아기 음성언어 발달
2. 영아기 음성언어 발달을 월령의 증가에 따라 제시
1) 9개월에서 12개월
2) 12개월에서 23개월
3) 24개월에서 36개월
3. 월령별 영아기 음성언어 발달 표
4.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Stark(1986)는 이러한 시기에 일어나는 변화를 다음의 다섯 가지 단계로 설명하고 있다. 영아는 ① 생후 반사적 울기와 불수의적 소리(vegetativesound)시기를 거쳐, ② 6-8주-8-경에 나타나는 목 울리기(cooing)가 나타난 후, ③ 16-30주 사이의 발성놀이기에 이르면 주변적 옹알이(marginalbabbling)를 보이게 된다. 이 기간 동안 영아들은 더 다양한 모음 소리와자음 소리를 내게 된다. ④ 6-9개월이 되면 영아들의 발성이 변하고 옹알이가 시작되어 표준옹알이(canonicalbabbling)가 나타나 음절의 조합이 나타난다. 이러한 표준옹알이가 출현하고 나면 ⑤ 중복적이지 않은 다채로운 옹알이(nonreduplicatedorvariegatedbabbling)가 나타나는데, 이 때 운율(prosody)이 더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 단계에서는 영아들이 말하는 것처럼 들리지만, 자세히 들어보면 단어가 없는 알아들을 수 없는 말(jargon)이 등장한다. 이때 등장하는 이러한 중첩적 음절성 발음은 초기 낱말들의 형성에 기초가 되고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영아기 음성언어 발달을 월령의 증가에 따라 제시해 보았다. 영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이른 시기부터 시작되며 또래와의 상호작용 또한 마찬가지이다. 김정연, 이순형(1997)은 연구에서 출생 후 1년 가까이 언어 획득이 시작되는데, 이보다 이른 시기에 사회적 상호작용은 이미 시작되어 생후 2개월이 된 영아들도 또래가 가까이 있을 때 상호작용을 하려는 의도를 표현하며 생후 4~5개월 영아들은 또래와 서로 바라보고 접근하여 서로를 탐색하며 장난감을 가지고 같이 놀 수 있다고 한다. 이처럼 영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보는 관점에 따라 일어나지 않는다고도 인식되어 왔지만 영아는 주변의 친구나 또래를 보며 반응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시도하는 모습도 나타났으며 현재 영아들은 과거의 연구에서보다 보육시설에서 많은 수의 또래를 접하게 되면서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더욱 자주 경험하고 있다.
참고문헌
강옥경, 김명순(2005). 영아 언어의 이해. 서울: 학지사.
곽금주, 김연주 공저(2014). 영아발달. 서울: 학지사.
김정아(2006). 영아 언어발달을 위한 상호작용적 그림책 읽기 모형의 적용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윤미, 윤은주 (2017). 유아 놀이에서 의성어·의태어 사용 의미 탐구. 아동학회지.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영아기 음성언어 발달을 월령의 증가에 따라 제시해 보았다. 영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이른 시기부터 시작되며 또래와의 상호작용 또한 마찬가지이다. 김정연, 이순형(1997)은 연구에서 출생 후 1년 가까이 언어 획득이 시작되는데, 이보다 이른 시기에 사회적 상호작용은 이미 시작되어 생후 2개월이 된 영아들도 또래가 가까이 있을 때 상호작용을 하려는 의도를 표현하며 생후 4~5개월 영아들은 또래와 서로 바라보고 접근하여 서로를 탐색하며 장난감을 가지고 같이 놀 수 있다고 한다. 이처럼 영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보는 관점에 따라 일어나지 않는다고도 인식되어 왔지만 영아는 주변의 친구나 또래를 보며 반응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시도하는 모습도 나타났으며 현재 영아들은 과거의 연구에서보다 보육시설에서 많은 수의 또래를 접하게 되면서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더욱 자주 경험하고 있다.
참고문헌
강옥경, 김명순(2005). 영아 언어의 이해. 서울: 학지사.
곽금주, 김연주 공저(2014). 영아발달. 서울: 학지사.
김정아(2006). 영아 언어발달을 위한 상호작용적 그림책 읽기 모형의 적용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윤미, 윤은주 (2017). 유아 놀이에서 의성어·의태어 사용 의미 탐구. 아동학회지.
추천자료
언어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아동발달] 영아기 신체발달 - 신체적 성장, 생리적 기능, 뇌와 신경계의 발달, 운동기능의 ...
[아동 발달] 언어발달의 단계 - 음성언어의 발달, 문법의 발달, 문자언어의 발달(읽기 발달과...
[영아발달]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을 영아발달 중심으로 논하고, 영아들이 활동할 수 있는 ...
[영유아발달] ≪유아의 언어발달(言語發達)≫ 언어발달이론(학습이론,생득이론,인지이론) &am...
영아기 지적발달(영아기 시각발달, 지각발달, 인지발달, 언어발달)
영아기 언어발달단계 (언어 전,후단계)
[영아 인지발달] 영아기 지각발달 인지발달 언어발달
영아기의 언어발달 특징에 대해 설명하고 각 시기별로 영아의 언어발달을 도울 수 있는 구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