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주식투자
1) 주식시장의 개요
2) 주식투자의 개념
3) 주식투자전략
(1) 기본적 분석 측면 전략
(2) 기술적 분석 측면 전략
(3) 위험관리전략
2. 채권투자
1) 채권의 기본적인 개념과 종류
2) 채권 가치평가모형
3) 채권수익률과 채권가격
4) 채권투자위험
5) 채권수익률과 만기와의 관계
6) 채권 포트폴리오 투자전략
(1) 소극적 운용전략
(2) 적극적 운용전략
(3) 채권비교평가전략
3.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주식투자
1) 주식시장의 개요
2) 주식투자의 개념
3) 주식투자전략
(1) 기본적 분석 측면 전략
(2) 기술적 분석 측면 전략
(3) 위험관리전략
2. 채권투자
1) 채권의 기본적인 개념과 종류
2) 채권 가치평가모형
3) 채권수익률과 채권가격
4) 채권투자위험
5) 채권수익률과 만기와의 관계
6) 채권 포트폴리오 투자전략
(1) 소극적 운용전략
(2) 적극적 운용전략
(3) 채권비교평가전략
3.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극적인 채권운용시대로 돌입했다. 게다가 외국의 유수 투자은행과 자산운용기관들도 국내 시장에 진출하여 해외금융상품을 국내 투자가들에게 적극적으로 판매하고 있어 국내 기관 투자가들은 금융신상품의 개발을 통한 투자기법의 선진화에 주력하고 있다. 결국 국내금융시장 개방 전에는 제도적인 보호 아래 안정 성장을 이룩하였지만 이제 이와 같은 환경을 헤쳐 나가기 위하여 적극적인 투자전략을 개발하고 금융신상품을 개발하여 외국 투자기관들과 경쟁해야 생존할 수 있다.
채권형 펀드를 모집 할 경우 운용주체는 사전에 시장조사를 철저히 하여 투자자의 요구에 적합한 상품을 개발하여야 하고 그 상품에 대한 정확한 목표고객이 설정 한다. 목표고객이 설정된 후에는 투자운용 자금의 성격을 명확히 하여 투자목표를 수립하여 채권수익률 수준, 금리변동 상황 및 변동요인 등을 분석 예측하여 설정된 목표에 따라 운용전략을 수립하여 실행 한다. 그리고 거시적인 시각에서 채권수익률에 대한 예측에 따라 투자대상채권을 하향식(top-down)으로 선정하고 투자를 실행한다. 채권 포트폴리오 운용성과에 대한 주기적인 평가를 통하여 투자목표와 전략을 다시 수정한다. 이러한 절차를 반복하여 실행하면서 투자목표에 근접시켜 나간다.
(1) 소극적 운용전략
채권투자 및 펀드운용전략은 크게 보아 소극적 운용전략과 적극적인 운용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소극적 운용전략으로는 펀드운용자가 채권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후 만기일 또는 중도 상환시기까지 보유하고 있다가 다시 펀드만기까지 재투자하여 투자기간과 일치시켜 기계적으로 투자하는 전략이다. 소극적인 투자운용전략으로 대표적인 수단들은 만기보유전략, 사다리형 만기전략, 바벨형 만기전략, 채권면역전략, 현금흐름일치전략 등이 있다.
(2) 적극적 운용전략
적극적인 투자운용전략은 우월한 정보나 예측능력을 이용하여 단기적인 위험을 감수하면서 투자운용수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이다. 적극적인 투자전략으로부터 우수한 투자성과가 얻어질 수 있는 경우는 미래의 이자율 동향에 대하여 다른 투자자보다 우수한 예측능력을 갖고 포트폴리오를 운용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채권의 적정가치(fair value)를 기준으로 과소 내지 과대평가되어 있는 채권을 식별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는 경우이다. 이러한 적극적인 투자전략의 핵심은 정확한 이자율에 대한 예측에 의한 매매와 교체매매전략이 핵심적인 전략이다.
(3) 채권비교평가전략(spread strategy)
은 일시적인 가격불균형상태에 있는 채권을 발견하여 수익을 제고하는 방법으로 채권별 내재가치를 평가하여 상대적으로 저 평가 내지 고 평가된 채권을 교체 매매하여 투자운용수익을 높이는 방법이다. 적극적인 투자운용전략의 대표적인 수단들은 금리예상에 의한 채권교체운용과 채권교체전략, 수익률곡선이용전략 등이 있다.
3. 나의 의견
채권투자는 주식투자와 달리 대량으로 거래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개인투자자가 직접 채권을 매매하기에는 용이하지 않다. 거래비용이 과다할 뿐만 아니라 채권투자의 위험을 소액 개인투자자가 관리하기에는 많은 제약 사항들이 있다. 가령 보유채권을 중도에 매각하거나 금리 상승으로 인한 가격하락이 예상되는 경우 자본손실을 감수하더라도 매각이 어려운 경우가 허다하고 이자율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금리파생상품의 활용도 증거금과 기본 거래단위에 미치지 못해 고스란히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따라서 개인 투자자들이 채권을 투자할 경우에는 투자신탁 중 채권형 수익증권과 채권형 뮤추얼펀드(mutual fund)에 투자하거나 은행 신탁상품에 투자하게 된다. 이렇게 모집 된 자금은 대형펀드를 구성하여 투자신탁운용회사나 자산운용회사 그리고 은행의 펀드운용자가 관리하게 된다.
채권형 펀드의 투자수익률은 채권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는 개별채권의 투자수익의 합계액을 최초 펀드 설정액(투자원금)으로 나누어 연율(annualizing)화 하면 손쉽게 구할 수 있다. 채권형 펀드는 일종의 채권 포트폴리오로서 둘 이상의 채권에 분산한 채권의 결합으로 정의할 수 있는 데 펀드운용자 혹은 포트폴리오관리자는 펀드 내 개별채권에 대한 수익과 비체계적 위험에 대한 관심보다는 분산투자를 통하여 위험을 회피하면서 펀드의 목표수익률을 달성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또한 펀드가입자의 인출에 따른 현금흐름에 대비하여 운용자산 중에서 유동성을 확보하는 가운데 수익성을 제고하는 것이 중요한 관심사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주식투자와 채권투자에 대해 기술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주식을 하는데 있어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 철저한 감정통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성이 아닌 감정으로 시장에 다가서는 순간 매매는 실패하는 것이다. 또한 시장에 맞서기 보다는 항상 시장의 편에 서서시장의 눈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매매자체를 즐기고 즐기면서 매매에 임할 때 높은 성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시장은 수급이다. 평온한 상태로 객관적인 눈으로 시장을 바라보면 팽팽한 힘의 균형이 무너지는 방향이 보인다. 그 방향에 자신의 포지션을 싣는 것이 중요하다. 물론그것을 감지해 낼 수 있는 적절한 지식과 감각, 순간의 결단력과 냉철한 리스크 관리 능력은 필수적으로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철저한 리스크 관리와 감정 컨트롤이 핵심이 된다.
참고문헌
김은환(2007), 좋은 기업문화 만들기, 삼성경제연구소.
박영봉 외(2015), 소비자행동론. 학현사.
김경아(2011).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국내금융시장의 변동성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박종연(2009). 금리차익거래에 기반을 둔 외국인의 채권투자 확대와 채권시장영향, mimeo.
정유진(2014). 글로벌 금융위기 및 유럽 재정위기가 신흥시장 국가 국채시장과 외국인 채권투자에 미친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 논문.
김신(2017). 주식시장의 개인투자성향과 투자정보에 관한 연구: 투자심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강준형ㆍ맹성준(2018), “문제성 주식투자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주식의 도박성에 관한 고찰”, 생명연구.
백은영, 주소현(2011). 우리나라 투자자의 자기과신성향. Financial Planning Review.
채권형 펀드를 모집 할 경우 운용주체는 사전에 시장조사를 철저히 하여 투자자의 요구에 적합한 상품을 개발하여야 하고 그 상품에 대한 정확한 목표고객이 설정 한다. 목표고객이 설정된 후에는 투자운용 자금의 성격을 명확히 하여 투자목표를 수립하여 채권수익률 수준, 금리변동 상황 및 변동요인 등을 분석 예측하여 설정된 목표에 따라 운용전략을 수립하여 실행 한다. 그리고 거시적인 시각에서 채권수익률에 대한 예측에 따라 투자대상채권을 하향식(top-down)으로 선정하고 투자를 실행한다. 채권 포트폴리오 운용성과에 대한 주기적인 평가를 통하여 투자목표와 전략을 다시 수정한다. 이러한 절차를 반복하여 실행하면서 투자목표에 근접시켜 나간다.
(1) 소극적 운용전략
채권투자 및 펀드운용전략은 크게 보아 소극적 운용전략과 적극적인 운용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소극적 운용전략으로는 펀드운용자가 채권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후 만기일 또는 중도 상환시기까지 보유하고 있다가 다시 펀드만기까지 재투자하여 투자기간과 일치시켜 기계적으로 투자하는 전략이다. 소극적인 투자운용전략으로 대표적인 수단들은 만기보유전략, 사다리형 만기전략, 바벨형 만기전략, 채권면역전략, 현금흐름일치전략 등이 있다.
(2) 적극적 운용전략
적극적인 투자운용전략은 우월한 정보나 예측능력을 이용하여 단기적인 위험을 감수하면서 투자운용수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이다. 적극적인 투자전략으로부터 우수한 투자성과가 얻어질 수 있는 경우는 미래의 이자율 동향에 대하여 다른 투자자보다 우수한 예측능력을 갖고 포트폴리오를 운용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채권의 적정가치(fair value)를 기준으로 과소 내지 과대평가되어 있는 채권을 식별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는 경우이다. 이러한 적극적인 투자전략의 핵심은 정확한 이자율에 대한 예측에 의한 매매와 교체매매전략이 핵심적인 전략이다.
(3) 채권비교평가전략(spread strategy)
은 일시적인 가격불균형상태에 있는 채권을 발견하여 수익을 제고하는 방법으로 채권별 내재가치를 평가하여 상대적으로 저 평가 내지 고 평가된 채권을 교체 매매하여 투자운용수익을 높이는 방법이다. 적극적인 투자운용전략의 대표적인 수단들은 금리예상에 의한 채권교체운용과 채권교체전략, 수익률곡선이용전략 등이 있다.
3. 나의 의견
채권투자는 주식투자와 달리 대량으로 거래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개인투자자가 직접 채권을 매매하기에는 용이하지 않다. 거래비용이 과다할 뿐만 아니라 채권투자의 위험을 소액 개인투자자가 관리하기에는 많은 제약 사항들이 있다. 가령 보유채권을 중도에 매각하거나 금리 상승으로 인한 가격하락이 예상되는 경우 자본손실을 감수하더라도 매각이 어려운 경우가 허다하고 이자율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금리파생상품의 활용도 증거금과 기본 거래단위에 미치지 못해 고스란히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따라서 개인 투자자들이 채권을 투자할 경우에는 투자신탁 중 채권형 수익증권과 채권형 뮤추얼펀드(mutual fund)에 투자하거나 은행 신탁상품에 투자하게 된다. 이렇게 모집 된 자금은 대형펀드를 구성하여 투자신탁운용회사나 자산운용회사 그리고 은행의 펀드운용자가 관리하게 된다.
채권형 펀드의 투자수익률은 채권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는 개별채권의 투자수익의 합계액을 최초 펀드 설정액(투자원금)으로 나누어 연율(annualizing)화 하면 손쉽게 구할 수 있다. 채권형 펀드는 일종의 채권 포트폴리오로서 둘 이상의 채권에 분산한 채권의 결합으로 정의할 수 있는 데 펀드운용자 혹은 포트폴리오관리자는 펀드 내 개별채권에 대한 수익과 비체계적 위험에 대한 관심보다는 분산투자를 통하여 위험을 회피하면서 펀드의 목표수익률을 달성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또한 펀드가입자의 인출에 따른 현금흐름에 대비하여 운용자산 중에서 유동성을 확보하는 가운데 수익성을 제고하는 것이 중요한 관심사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주식투자와 채권투자에 대해 기술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주식을 하는데 있어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 철저한 감정통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성이 아닌 감정으로 시장에 다가서는 순간 매매는 실패하는 것이다. 또한 시장에 맞서기 보다는 항상 시장의 편에 서서시장의 눈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매매자체를 즐기고 즐기면서 매매에 임할 때 높은 성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시장은 수급이다. 평온한 상태로 객관적인 눈으로 시장을 바라보면 팽팽한 힘의 균형이 무너지는 방향이 보인다. 그 방향에 자신의 포지션을 싣는 것이 중요하다. 물론그것을 감지해 낼 수 있는 적절한 지식과 감각, 순간의 결단력과 냉철한 리스크 관리 능력은 필수적으로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철저한 리스크 관리와 감정 컨트롤이 핵심이 된다.
참고문헌
김은환(2007), 좋은 기업문화 만들기, 삼성경제연구소.
박영봉 외(2015), 소비자행동론. 학현사.
김경아(2011).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국내금융시장의 변동성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박종연(2009). 금리차익거래에 기반을 둔 외국인의 채권투자 확대와 채권시장영향, mimeo.
정유진(2014). 글로벌 금융위기 및 유럽 재정위기가 신흥시장 국가 국채시장과 외국인 채권투자에 미친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 논문.
김신(2017). 주식시장의 개인투자성향과 투자정보에 관한 연구: 투자심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강준형ㆍ맹성준(2018), “문제성 주식투자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주식의 도박성에 관한 고찰”, 생명연구.
백은영, 주소현(2011). 우리나라 투자자의 자기과신성향. Financial Planning Review.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