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론과 쾌고감수능력
2. 장애와 의료 모델
3. ‘불구의 시간’
4. 비장애중심주의와 인간 예외주의
2. 장애와 의료 모델
3. ‘불구의 시간’
4. 비장애중심주의와 인간 예외주의
본문내용
들과 다른 시간 개념을 가질 것이다. 싱어의 시간 개념은 진보와 미래 지향적인 목적이라는 서구적 통념에 기초하는 반면, 불구의 시간이라는 개념은 우리로 하여금 시간이란 가변적이며 실제로 우리의 신체 형태와 함께 바뀌고 있다고 문제제기하도록 한다.(231-232)
4. 비장애중심주의와 인간 예외주의
싱어와 다른 철학자들이 인격을 위한 선결조건으로 믿는 역량들은 주관적이며 비장애 중심주의적이고, 신경전형적이고, 종차별적인 틀에 박혀 있다. 신경전형적 인간들이 가치 부여하는 역량들이 어떤 존재들에겐 없다는 것은, 이 존재들이 소유하고 있을지도 모를 도덕적 판단과 직결되어 있는 다른 역량들(가령 관능성, 미적 감각 혹은 대안적 시간성)에 대해 거의 말해주지 않는다. 설령 특정 역량이 어떤 존재의 쾌고감수능력을 다른 이들의 그것보다 더욱 정교하게 만든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덜 “복잡하다”고 여기는 이들의 삶을 빼앗을 권리가 우리에게 있다는 걸 뜻하지는 않는다.(232)
인격에 대한 제한된 정의를 벗어나면 우리는 어디에 이르게 될까? 나는 모든 인간의 삶은 가치 있는 반면 비인간동물의 삶은 그렇지 않다고 주장하는 인간 예외주의의 틀로 돌아가고 싶지 않다.(232)
4. 비장애중심주의와 인간 예외주의
싱어와 다른 철학자들이 인격을 위한 선결조건으로 믿는 역량들은 주관적이며 비장애 중심주의적이고, 신경전형적이고, 종차별적인 틀에 박혀 있다. 신경전형적 인간들이 가치 부여하는 역량들이 어떤 존재들에겐 없다는 것은, 이 존재들이 소유하고 있을지도 모를 도덕적 판단과 직결되어 있는 다른 역량들(가령 관능성, 미적 감각 혹은 대안적 시간성)에 대해 거의 말해주지 않는다. 설령 특정 역량이 어떤 존재의 쾌고감수능력을 다른 이들의 그것보다 더욱 정교하게 만든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덜 “복잡하다”고 여기는 이들의 삶을 빼앗을 권리가 우리에게 있다는 걸 뜻하지는 않는다.(232)
인격에 대한 제한된 정의를 벗어나면 우리는 어디에 이르게 될까? 나는 모든 인간의 삶은 가치 있는 반면 비인간동물의 삶은 그렇지 않다고 주장하는 인간 예외주의의 틀로 돌아가고 싶지 않다.(23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