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 효과적으로 ASD 아동의 치료를 전개해 나갈 수 있다. 셋째, 앞으로 해당 가족이 당면할 수 있는 여러 위기 상황과 문제들을 바람직하게 개선해 나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으므로 자녀의 만 3세 이전의 영아기 시점뿐만 아니라 향후에도 꾸준한 가족 기능의 확보 및 회복을 추진할 수 있다. 자폐 범주성 장애를 지닌 아동의 경우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그로 인해 가족이 받는 스트레스와 압박, 불안 역시 각 가족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ASD 자녀에 대해, 또 그 가족에 대해 복합적이면서도 각 가족의 개별성을 주안점으로 두고 개입을 이루는 IFSP 적용은 타당하며 따라서 좀 더 폭넓게 본 프로그램이 적용 및 활용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활발한 연구와 관련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을 촉구한다.
Ⅳ 참고 문헌
1. 정길정, 장애유아 통합보육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03.
2. 조현근, 장애 영·유아 가족지원을 위한 개별화가족지원계획(IFSP) 적용 탐색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3.
3. 정소영, 정상아동과 자폐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가족기능 비교, 경희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5.
Ⅳ 참고 문헌
1. 정길정, 장애유아 통합보육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03.
2. 조현근, 장애 영·유아 가족지원을 위한 개별화가족지원계획(IFSP) 적용 탐색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3.
3. 정소영, 정상아동과 자폐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가족기능 비교, 경희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