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식용작물학1
문제)
1. 벼 새끼치기에 대하여 설명하라.(25점)
2. 벼의 수량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하고, 국내 장려품종 중 만생종의 경우 수량을 최대화하기 위한 적절한 재배법을 제시하시오.(25점)
목차
1. 벼 새끼치기에 대하여 설명하라
1) 벼 새끼치기의 개념과 과정
2) 환경
3) 벼 뿌리의 생장
2. 벼의 수량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하고, 국내 장려품종 중 만생종의 경우 수량을 최대화하기 위한 적절한 재배법을 제시하시오
1) 벼의 수량구성 요소
2) 만생종의 경우 수량을 최대화하기 위한 적절한 재배
참고문헌
1. 벼 새끼치기에 대하여 설명하라.(25점)
1) 벼 새끼치기의 개념과 과정
벼는 우리의 주식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갈수록 쌀 소비량이 줄어들면서 우리 농가는 위기를 맞고 있으나 벼는 여전히 세계 3대작물 중의 하나로 매우 중요하다. 벼의 일생은 이삭이 생길 때인 유수분화기를 시작점으로 하여 영양생장기와 생식생자기로 분류하여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우리
문제)
1. 벼 새끼치기에 대하여 설명하라.(25점)
2. 벼의 수량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하고, 국내 장려품종 중 만생종의 경우 수량을 최대화하기 위한 적절한 재배법을 제시하시오.(25점)
목차
1. 벼 새끼치기에 대하여 설명하라
1) 벼 새끼치기의 개념과 과정
2) 환경
3) 벼 뿌리의 생장
2. 벼의 수량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하고, 국내 장려품종 중 만생종의 경우 수량을 최대화하기 위한 적절한 재배법을 제시하시오
1) 벼의 수량구성 요소
2) 만생종의 경우 수량을 최대화하기 위한 적절한 재배
참고문헌
1. 벼 새끼치기에 대하여 설명하라.(25점)
1) 벼 새끼치기의 개념과 과정
벼는 우리의 주식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갈수록 쌀 소비량이 줄어들면서 우리 농가는 위기를 맞고 있으나 벼는 여전히 세계 3대작물 중의 하나로 매우 중요하다. 벼의 일생은 이삭이 생길 때인 유수분화기를 시작점으로 하여 영양생장기와 생식생자기로 분류하여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우리
본문내용
야 하며, 파종 전에 병충해 방지를 위해 종자를 소독하여 물에 잘 씻은 다음 25∼30℃ 물에 3∼4일을 담가 두었다가 건져서 발아가 되면 묘판에 파종을 해야 한다.
묘판을 설치 시 적절한 장소는 햇볕이 잘 들어오고 찬바람을 제대로 막을 수 있는 곳이어야 하고, 관리자가 수시로 관리할 수 있는 곳, 땅의 힘, 즉 지력이 좋고 온도차가 균일한 곳, 예상이나 통제 할 수 없는 냉수나 온수의 유입이 안 되는 곳이 좋다. 묘판에 상토를 넣고 파종기에 집어넣어 벼 종자를 파종해줘야 한다. 그런 다음 파종 후 10여일이 지나게 되면 모가 대략 2∼5㎝ 정도 자라나게 되어 이때부터는 비닐 한 쪽을 열어 환기를 시켜야 한다. 이때 볍씨의 발아 온도는 최저 8℃에서 13℃로, 최적 온도는 30℃에서 34℃ 이내에서 유지되어야 하며 최고 온도는 40∼44℃이다. 이렇게 하면 발아 적온 이상에서는 발아의 지속에 큰 차이가 없지만 발아 적온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는 품종 간의 차이가 뚜렷하다.
볍씨가 발아하는데 필요한 산소의 양이 다른 작물보다 벼는 적기 때문에 물속에서도 발아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를 위해 경운기, 트랙터를 이용하여 흙을 뒤집어 준 뒤, 실시하는 써레질은 논 표면을 굴곡 없이 편평하게 작업하는 것이다. 써레질을 통해 논에 물의 유실을 방지하고 비료를 고르게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묘판에 씨앗을 뿌린 뒤 대략 40일이 지나게 되면 묘를 이양하게 되는데 예전에는 인력을 동원하여 모판에 모 줄을 띄워 놓고 여러 사람이 줄에 맞추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심었는데 일손이 많이 필요한 작업이다. 요즘은 대부이 이양기를 이용하여 모를 심는다. 시기도 기계모일 때는 손으로 옮겨 심을 때보다 4-10일 정도 빨리 이양하게 된다.
이양된 모는 새 뿌리를 내리면서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여 차례차례로 잎이 나와 광합성을 왕성하면서 성장한다. 모내기를 한 후 뿌리가 내려 양분과 수분을 흡수할 수 있기까지의 기간을 활착기라고 하는데 활착 기간은 모에 따라 5∼10일이 소요된다. 이후 이삭이 나온 벼이삭이 나온 벼 논에 모를 심은 지 약 60∼70일이 지나면 벼는 자기 종족을 퍼뜨리기 위해 생식 생장을 하게 된다. 이때 벼는 영양 생장에서 생식 생장을 시작한 후 20∼25일 지나면 이삭이 맺어 나온다.
벼의 수확 적기는 대체적으로 조생종은 이삭이 나온 후 40일, 만생종은 45일 경이다. 모든 이삭이 한꺼번에 성숙해지지는 않으므로 전체 이삭의 90% 이상이 누렇게 황금색을 띄면 추수를 시작할 수 있다. 우리나라 가을 날씨는 건조하여 1일에 1%의 수분 함량을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농로 및 도로의 아스팔트 등에서도 건조 작업을 실시한다. 벼를 정미소에서 벼를 찧어 쌀을 만들어 내는 과정이 도정이다. 도정에는 벼를 현미로 가공하는 과정과 현미를 백미로 가공하는 과정이 있다.
[참고문헌]
- 식용작물학 I. 박순직, 이종훈. 방송통신대학 출판부
- 쌀생산과학. 채재천. 향문사
- 벼 재배공학. 박광호. 향문사
- 농사로(www.nongsaro.go.kr
묘판을 설치 시 적절한 장소는 햇볕이 잘 들어오고 찬바람을 제대로 막을 수 있는 곳이어야 하고, 관리자가 수시로 관리할 수 있는 곳, 땅의 힘, 즉 지력이 좋고 온도차가 균일한 곳, 예상이나 통제 할 수 없는 냉수나 온수의 유입이 안 되는 곳이 좋다. 묘판에 상토를 넣고 파종기에 집어넣어 벼 종자를 파종해줘야 한다. 그런 다음 파종 후 10여일이 지나게 되면 모가 대략 2∼5㎝ 정도 자라나게 되어 이때부터는 비닐 한 쪽을 열어 환기를 시켜야 한다. 이때 볍씨의 발아 온도는 최저 8℃에서 13℃로, 최적 온도는 30℃에서 34℃ 이내에서 유지되어야 하며 최고 온도는 40∼44℃이다. 이렇게 하면 발아 적온 이상에서는 발아의 지속에 큰 차이가 없지만 발아 적온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는 품종 간의 차이가 뚜렷하다.
볍씨가 발아하는데 필요한 산소의 양이 다른 작물보다 벼는 적기 때문에 물속에서도 발아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를 위해 경운기, 트랙터를 이용하여 흙을 뒤집어 준 뒤, 실시하는 써레질은 논 표면을 굴곡 없이 편평하게 작업하는 것이다. 써레질을 통해 논에 물의 유실을 방지하고 비료를 고르게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묘판에 씨앗을 뿌린 뒤 대략 40일이 지나게 되면 묘를 이양하게 되는데 예전에는 인력을 동원하여 모판에 모 줄을 띄워 놓고 여러 사람이 줄에 맞추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심었는데 일손이 많이 필요한 작업이다. 요즘은 대부이 이양기를 이용하여 모를 심는다. 시기도 기계모일 때는 손으로 옮겨 심을 때보다 4-10일 정도 빨리 이양하게 된다.
이양된 모는 새 뿌리를 내리면서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여 차례차례로 잎이 나와 광합성을 왕성하면서 성장한다. 모내기를 한 후 뿌리가 내려 양분과 수분을 흡수할 수 있기까지의 기간을 활착기라고 하는데 활착 기간은 모에 따라 5∼10일이 소요된다. 이후 이삭이 나온 벼이삭이 나온 벼 논에 모를 심은 지 약 60∼70일이 지나면 벼는 자기 종족을 퍼뜨리기 위해 생식 생장을 하게 된다. 이때 벼는 영양 생장에서 생식 생장을 시작한 후 20∼25일 지나면 이삭이 맺어 나온다.
벼의 수확 적기는 대체적으로 조생종은 이삭이 나온 후 40일, 만생종은 45일 경이다. 모든 이삭이 한꺼번에 성숙해지지는 않으므로 전체 이삭의 90% 이상이 누렇게 황금색을 띄면 추수를 시작할 수 있다. 우리나라 가을 날씨는 건조하여 1일에 1%의 수분 함량을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농로 및 도로의 아스팔트 등에서도 건조 작업을 실시한다. 벼를 정미소에서 벼를 찧어 쌀을 만들어 내는 과정이 도정이다. 도정에는 벼를 현미로 가공하는 과정과 현미를 백미로 가공하는 과정이 있다.
[참고문헌]
- 식용작물학 I. 박순직, 이종훈. 방송통신대학 출판부
- 쌀생산과학. 채재천. 향문사
- 벼 재배공학. 박광호. 향문사
- 농사로(www.nongsaro.go.kr
추천자료
식용작물학1)1 우리나라와 전 세계 벼 생산 및 소비현황을 조사하라 (15 점)
식용작물학1 B형 과제물
[방통대 2018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식용작물학1] 전 세계와 우리나라의 벼 생산현황 및 소비...
[방통대 2018년도 2학기 중간과제믈 식용작물학1] 1 우리나라와 전 세계 벼 생산 및 소비현...
(방통대 식용작물학1)쌀의영양가와기능성을설명하고 기능성과 기능성 품종명 기능성품종 주요...
식용작물학1 ) 쌀의 영양가와 기능성을 설명하고 기능성(3종류 이상)과 기능성 품종명 기능성...
2020년 2학기 식용작물학1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우리나라 및 전 세계 쌀 생산)
2022년 식용작물학1 하계계절시험 핵심체크
식용작물학1) 벼의 기상생태형에 대해 설명하고, 우리나라 조생종 벼를 필리핀에서 재배했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