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주제 : 지역의 마을 만들기 사업에 대하여 성공사례를 찾아보고 성공한 배경, 이론적 근거 등에 대하여 서술하여 봅니다.
서론
-선정 마을에 대한 소개
본론
1) 사업 내용
2) 지역의 마을 만들기 및 성공 배경
3) 마을 만들기 사업에 대한 평가.
결론
참고문헌
서론
-선정 마을에 대한 소개
본론
1) 사업 내용
2) 지역의 마을 만들기 및 성공 배경
3) 마을 만들기 사업에 대한 평가.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안마을은 그동안 ‘참살기 좋은 마을 가꾸기 사업’ 등 공모사업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면서 마을 경관개선을 위하여 노력해왔다.
그 결실이 된 것이 현재의 ‘신안운심문화마을’ 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2016년 문체부 공연예술축제에 선정되고 전국 행복마을 콘테스트에서 국무총리 상을 받기도 하는 등의 마을 주민들의 힘이 고스란히 모인 곳이다.
이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마을 공방 공모사업에 참여하는 등 마을 공방 운영으로 노인과 취약계층의 일자리 제공 및 주민소득 창출과 마을 공동체형성도 강화하였다.
즉, 마을 주민들 스스로가 시골 마을에서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마을 공동체를 위해 발전적인 도전이 있었기에 이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하여 단순한 마을만들기가 아닌 체계적이고 구성원들의 쌍방향적 소통을 통하여 여러 사업에 뛰어들면서 진취적인 결과를 내었다고 볼 수 있다.
3) 마을 만들기 사업에 대한 평가.
생활문화센터까지 건립되면서 예술인 파견 프로그램을 통해 주민들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등 마을의 내외적으로도 상당히 우수한 마을만들기 사업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만들기 단계에서 완성에서 머무르지 않고 현재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농촌축제 지원 공모에 참여하며 운심 검무 축제를 꾸준히 이어가고 있기도 하다.
결론적으로 굉장히 훌륭한 사업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러한 마을만들기를 통해서 기존의 철거가 아닌 동네를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관광지로 변화시키는 점에서 꾸준히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뿐만 아니라 이러한 마을만들기 사업은 생활, 교육, 환경, 문화에 걸친 4가지의 분야로 추진되는 것으로 노인 일자리 공급, 마을 교육 프로그램, 지역 문화 조성 공간 등을 이룰 수 있다.
현 점에서 낮은 출산율과 노령화로 인하여 무너지고 있는 시골 마을들을 재탄생시키는 중점 과제로 앞으로 사회 복지적인 측면에서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지식백과 : 행복 마을 만들기 사업
-밀양시, 행정자치부 마을공방 공모사업 선정 - 아시아투데이 (asiatoday.co.kr)
-밀양시, 제4회 신안운심검무축제 및 검무센터 준공식 개최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181111010003717
-블로그 밀양여행 - 마을벽화가 이쁜 \'신안운심문화마을’
https://blog.naver.com/miryangsi/220464779567
-밀양시청 SNS소식
그 결실이 된 것이 현재의 ‘신안운심문화마을’ 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2016년 문체부 공연예술축제에 선정되고 전국 행복마을 콘테스트에서 국무총리 상을 받기도 하는 등의 마을 주민들의 힘이 고스란히 모인 곳이다.
이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마을 공방 공모사업에 참여하는 등 마을 공방 운영으로 노인과 취약계층의 일자리 제공 및 주민소득 창출과 마을 공동체형성도 강화하였다.
즉, 마을 주민들 스스로가 시골 마을에서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마을 공동체를 위해 발전적인 도전이 있었기에 이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하여 단순한 마을만들기가 아닌 체계적이고 구성원들의 쌍방향적 소통을 통하여 여러 사업에 뛰어들면서 진취적인 결과를 내었다고 볼 수 있다.
3) 마을 만들기 사업에 대한 평가.
생활문화센터까지 건립되면서 예술인 파견 프로그램을 통해 주민들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등 마을의 내외적으로도 상당히 우수한 마을만들기 사업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만들기 단계에서 완성에서 머무르지 않고 현재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농촌축제 지원 공모에 참여하며 운심 검무 축제를 꾸준히 이어가고 있기도 하다.
결론적으로 굉장히 훌륭한 사업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러한 마을만들기를 통해서 기존의 철거가 아닌 동네를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관광지로 변화시키는 점에서 꾸준히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뿐만 아니라 이러한 마을만들기 사업은 생활, 교육, 환경, 문화에 걸친 4가지의 분야로 추진되는 것으로 노인 일자리 공급, 마을 교육 프로그램, 지역 문화 조성 공간 등을 이룰 수 있다.
현 점에서 낮은 출산율과 노령화로 인하여 무너지고 있는 시골 마을들을 재탄생시키는 중점 과제로 앞으로 사회 복지적인 측면에서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지식백과 : 행복 마을 만들기 사업
-밀양시, 행정자치부 마을공방 공모사업 선정 - 아시아투데이 (asiatoday.co.kr)
-밀양시, 제4회 신안운심검무축제 및 검무센터 준공식 개최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181111010003717
-블로그 밀양여행 - 마을벽화가 이쁜 \'신안운심문화마을’
https://blog.naver.com/miryangsi/220464779567
-밀양시청 SNS소식
추천자료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이념,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목적에 대해 제시한 후, 건강한 지...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사례를 선정한 후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에 근거하여 분석하여 제출하시...
[지역사회복지론][풀뿌리 민주주의]
인간과사회 B형) 내가 살고 있는 마을이나 도시, 혹은 내가 살아 본 적이 있는 마을이나 도시...
지역의 마을 만들기 사업에 대하여 성공사레를 찾아보고 성공한 배경, 이론적 근거 등에 대하...
지역의 마을 만들기 사업에 대하여 성공사례를 찾아보고 성공한 배경, 이론적 근거 등에 대하...
지역의 마을 만들기 사업에 대하여 성공사레를 찾아보고 성공한 배경, 이론적 근거 등에 대하...
지역의 마을 만들기 사업에 대하여 성공사례를 찾아보고, 성공한 배경, 이론적 근거 등에 대하여
지역사회복지론-지역의 마을 만들기 사업에 대하여 성공사례를 찾아보고 성공한 배경, 이론적...
청소년복지론_다음을 읽고 요구하는 내용에 대해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