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반적 정보
2. 병력
3. 사례환자의 질병 기술
4. 신체검진
5. 임상검사
6. 영상검사 및 특수 치료
7. 약물치료 및 정신 치료
8. 간호과정
9.참고문헌
2. 병력
3. 사례환자의 질병 기술
4. 신체검진
5. 임상검사
6. 영상검사 및 특수 치료
7. 약물치료 및 정신 치료
8. 간호과정
9.참고문헌
본문내용
(데파코트 정) 투여 중->Sedation
-미끄러운 바닥 환경
-여기저기 놓여 있는 장애물들.
-Morse Fall Scale
구분
척도
점수
1.과거의 낙상 경험
있음
25
없음
0
2.이차 진단(부진단)
있음
15
없음
0
3.보행보조
기구를 잡고 보행함
30
목발/지팡이/보행기 사용함
15
보조기 사용하지 않음/침상 안정/휠체어/간호사가 도와줌
0
4.정맥수액요법(Heparin lock)
있음
20
없음
0
5.걸음걸이/이동
장애가 있음
20
허약함
10
정상/침상안정/부동
0
6.의식/정신상태
자신의 기능수준을 과대평가 하거나 잊어버림
15
자신의 기능 수준에 대해 잘알고 있음.
0
총점
0-24점: 낙상 위험성이 거의 없음
25-50점: 낙상 위험성이 낮음.
51-125점: 낙상 위험성이 높음.
목표
장기: 한 달 이내로 Morse Fall Scale 점수가 50점 이하가 된다.
단기: 2주 이내로 기동력 의존 정도가 Ⅲ에서 Ⅱ로 떨어진다.
평가기준
Morse Fall Scale
기동력 의존 정도 사정
계획
수행
이론적근거
환경
-바닥이 미끄럽다는 정보를 제공하여 주의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 저기 놓여 있는 장애물들을 정리해 준다.
-바닥이 미끄럽다는 것을 환자에게 알리고 주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바닥과 마찰력이 있는 신발을 제공하였다.
-주위에 널려 있는 장애물들을 모두 정리해 주었다.
-미끄러운 바닥은 기동력이 약한 환자들에게는 얼음판을 걷는 것과 같기 때문에 위험하다.
-주위에 널려있는 장애물들은 환자를 넘어질 수 있게 하는 위험 요인임으로 환자의 발에 걸리지 않도록 잘 정리해 두어야 한다.
-낙상 위험성을 높이는 요인들을 제거해 준다.
보행 보조기를 통해 보행을 교육 한다.
-바퀴가 달려있는 보행 보조기를 제공하여 처음에는 하루에 병동 복도를 2바퀴씩 3일 동안 보행 연습을 시켰으며 그 다음에는 3바퀴씩 5바퀴씩 늘려가며 보행 교육을 시켰다.
-단, 골다공증에는 무리가 오지 않는 한에서 보행 교육을 실시하였다.
-지속적인 침상 안정은 근육을 더 약화시키기 때문에 보행을 지지해 줄 수 있는 기구를 사용하여 보행교육을 한다.
Side rail을 올려 준다.
-침대에서 안정을 취하거나, 주무실 때 side rail을 올려 드렸다.
-side rail을 올림으로써 기동력이 부족한 환자가 침대에서 낙상하는 사고를 예방 할 수 있다.
낙상 위험성에 대해 교육한다.
-지금 현재 환자의 몸 상태를 이야기 하면서 낙상 위험성에 대해 교육하였다.
-낙상의 위험성을 교육시킴으로써 낙상에 대한 위험성을 자각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 할 수 있다.
낙상 위험성을 사정한다.
-Morse Fall Scale을 통해 낙상 위험성 정도를 사정하였다.
-낙상 위험성 사정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좀 더 객관적인 낙상 위험성 정도를 알 수 있다.
평가
주변 장애물이 정리 되어 발에 걸리는 물건이 없어졌고, 바닥도 미끄러운 것이 덜해져 환경 적으로는 낙상이 발생할 위험성이 많이 줄어들었다.
보행은 예전 보다는 조금 더 걸으실 수 있지만 아직도 오른쪽 다리에 약간의 통증을 호소하시면서 다리에 힘을 주지 못하시며 허약감이 느껴진다. 그러므로 보행에 대한 교육 계획을 수정해 다시 시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낙상 위험성에 대해서 교육한 결과 “제가 낙상할 수 있다는 거죠? 조심하면 되는 거죠?” 라고 말씀하시며 낙상 위험성에 대해 자각하신 것을 볼 수 있었다.
side rail은 환자가 취침 시나 침대 안정 시 항상 올라 가 있는 것으로 보아 잘 지켜지고 있으며, Morse Fall Scale 사정 결과 50점이 나와 장기 목표가 성취된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50점이라는 점수도 아직 안전한 점수가 아니므로 추후 낙상 위험성에 대한 간호계획을 더 수립하여 낙상 위험성의 점수를 50점 보다 낮은 점수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겠다.
구분
척도
점수
1.과거의 낙상 경험
있음
25
없음
0
2.이차 진단(부진단)
있음
15
없음
0
3.보행보조
기구를 잡고 보행함
30
목발/지팡이/보행기 사용함
15
보조기 사용하지 않음/침상 안정/휠체어/간호사가 도와줌
0
4.정맥수액요법(Heparin lock)
있음
20
없음
0
5.걸음걸이/이동
장애가 있음
20
허약함
10
정상/침상안정/부동
0
6.의식/정신상태
자신의 기능수준을 과대평가 하거나 잊어버림
15
자신의 기능 수준에 대해 잘알고 있음.
0
총점
0-24점: 낙상 위험성이 거의 없음
25-50점: 낙상 위험성이 낮음.
51-125점: 낙상 위험성이 높음.
9.참고문헌
http://www.kimsonline.co.kr/drugcenter/search/totalSearch/%EB%8D%B0%ED%8C%8C%EC%BD%94%ED%8A%B8%EC%A0%95
[네이버 지식백과] 마그밀정500mg [Magmil Tab. 500mg] (의약품사전, 약학정보원)
환인히단토인정100mg [Hydantoin Tab. 100mg Whanin] (의약품사전, 약학정보원)
데파코트정250mg [Depakote Tab. 250mg] (의약품사전, 약학정보원)
바렌탁주 [Valentac Injection] (의약품사전, 약학정보원)
뇌전증 [epilepsy]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변비 [constipation]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양극성 정동장애 [Bipolar affective disorder]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제1권, 2010.12.01, 통계청)
후향적 자료분석을 통한 낙상위험 사정도구의 타당도 비교 = Validation of Fall Risk Assessment Scales Among Korean Hospitalized Patients From Retrospective Data Analysis/강영옥/2014
[출처] [기본간호학] Chapter08. 체온유지요구|
[네이버 지식백과] 대한멸균생리식염수1L [Isotonic Sodium Chloride Injection 1L Daihan] (의약품사전, 약학정보원)
정신건강간호학┃양수, 하양숙, 이경순 외 2명 저┃현문사 ┃ 2013.02.20
-미끄러운 바닥 환경
-여기저기 놓여 있는 장애물들.
-Morse Fall Scale
구분
척도
점수
1.과거의 낙상 경험
있음
25
없음
0
2.이차 진단(부진단)
있음
15
없음
0
3.보행보조
기구를 잡고 보행함
30
목발/지팡이/보행기 사용함
15
보조기 사용하지 않음/침상 안정/휠체어/간호사가 도와줌
0
4.정맥수액요법(Heparin lock)
있음
20
없음
0
5.걸음걸이/이동
장애가 있음
20
허약함
10
정상/침상안정/부동
0
6.의식/정신상태
자신의 기능수준을 과대평가 하거나 잊어버림
15
자신의 기능 수준에 대해 잘알고 있음.
0
총점
0-24점: 낙상 위험성이 거의 없음
25-50점: 낙상 위험성이 낮음.
51-125점: 낙상 위험성이 높음.
목표
장기: 한 달 이내로 Morse Fall Scale 점수가 50점 이하가 된다.
단기: 2주 이내로 기동력 의존 정도가 Ⅲ에서 Ⅱ로 떨어진다.
평가기준
Morse Fall Scale
기동력 의존 정도 사정
계획
수행
이론적근거
환경
-바닥이 미끄럽다는 정보를 제공하여 주의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 저기 놓여 있는 장애물들을 정리해 준다.
-바닥이 미끄럽다는 것을 환자에게 알리고 주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바닥과 마찰력이 있는 신발을 제공하였다.
-주위에 널려 있는 장애물들을 모두 정리해 주었다.
-미끄러운 바닥은 기동력이 약한 환자들에게는 얼음판을 걷는 것과 같기 때문에 위험하다.
-주위에 널려있는 장애물들은 환자를 넘어질 수 있게 하는 위험 요인임으로 환자의 발에 걸리지 않도록 잘 정리해 두어야 한다.
-낙상 위험성을 높이는 요인들을 제거해 준다.
보행 보조기를 통해 보행을 교육 한다.
-바퀴가 달려있는 보행 보조기를 제공하여 처음에는 하루에 병동 복도를 2바퀴씩 3일 동안 보행 연습을 시켰으며 그 다음에는 3바퀴씩 5바퀴씩 늘려가며 보행 교육을 시켰다.
-단, 골다공증에는 무리가 오지 않는 한에서 보행 교육을 실시하였다.
-지속적인 침상 안정은 근육을 더 약화시키기 때문에 보행을 지지해 줄 수 있는 기구를 사용하여 보행교육을 한다.
Side rail을 올려 준다.
-침대에서 안정을 취하거나, 주무실 때 side rail을 올려 드렸다.
-side rail을 올림으로써 기동력이 부족한 환자가 침대에서 낙상하는 사고를 예방 할 수 있다.
낙상 위험성에 대해 교육한다.
-지금 현재 환자의 몸 상태를 이야기 하면서 낙상 위험성에 대해 교육하였다.
-낙상의 위험성을 교육시킴으로써 낙상에 대한 위험성을 자각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 할 수 있다.
낙상 위험성을 사정한다.
-Morse Fall Scale을 통해 낙상 위험성 정도를 사정하였다.
-낙상 위험성 사정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좀 더 객관적인 낙상 위험성 정도를 알 수 있다.
평가
주변 장애물이 정리 되어 발에 걸리는 물건이 없어졌고, 바닥도 미끄러운 것이 덜해져 환경 적으로는 낙상이 발생할 위험성이 많이 줄어들었다.
보행은 예전 보다는 조금 더 걸으실 수 있지만 아직도 오른쪽 다리에 약간의 통증을 호소하시면서 다리에 힘을 주지 못하시며 허약감이 느껴진다. 그러므로 보행에 대한 교육 계획을 수정해 다시 시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낙상 위험성에 대해서 교육한 결과 “제가 낙상할 수 있다는 거죠? 조심하면 되는 거죠?” 라고 말씀하시며 낙상 위험성에 대해 자각하신 것을 볼 수 있었다.
side rail은 환자가 취침 시나 침대 안정 시 항상 올라 가 있는 것으로 보아 잘 지켜지고 있으며, Morse Fall Scale 사정 결과 50점이 나와 장기 목표가 성취된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50점이라는 점수도 아직 안전한 점수가 아니므로 추후 낙상 위험성에 대한 간호계획을 더 수립하여 낙상 위험성의 점수를 50점 보다 낮은 점수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겠다.
구분
척도
점수
1.과거의 낙상 경험
있음
25
없음
0
2.이차 진단(부진단)
있음
15
없음
0
3.보행보조
기구를 잡고 보행함
30
목발/지팡이/보행기 사용함
15
보조기 사용하지 않음/침상 안정/휠체어/간호사가 도와줌
0
4.정맥수액요법(Heparin lock)
있음
20
없음
0
5.걸음걸이/이동
장애가 있음
20
허약함
10
정상/침상안정/부동
0
6.의식/정신상태
자신의 기능수준을 과대평가 하거나 잊어버림
15
자신의 기능 수준에 대해 잘알고 있음.
0
총점
0-24점: 낙상 위험성이 거의 없음
25-50점: 낙상 위험성이 낮음.
51-125점: 낙상 위험성이 높음.
9.참고문헌
http://www.kimsonline.co.kr/drugcenter/search/totalSearch/%EB%8D%B0%ED%8C%8C%EC%BD%94%ED%8A%B8%EC%A0%95
[네이버 지식백과] 마그밀정500mg [Magmil Tab. 500mg] (의약품사전, 약학정보원)
환인히단토인정100mg [Hydantoin Tab. 100mg Whanin] (의약품사전, 약학정보원)
데파코트정250mg [Depakote Tab. 250mg] (의약품사전, 약학정보원)
바렌탁주 [Valentac Injection] (의약품사전, 약학정보원)
뇌전증 [epilepsy]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변비 [constipation]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양극성 정동장애 [Bipolar affective disorder]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제1권, 2010.12.01, 통계청)
후향적 자료분석을 통한 낙상위험 사정도구의 타당도 비교 = Validation of Fall Risk Assessment Scales Among Korean Hospitalized Patients From Retrospective Data Analysis/강영옥/2014
[출처] [기본간호학] Chapter08. 체온유지요구|
[네이버 지식백과] 대한멸균생리식염수1L [Isotonic Sodium Chloride Injection 1L Daihan] (의약품사전, 약학정보원)
정신건강간호학┃양수, 하양숙, 이경순 외 2명 저┃현문사 ┃ 2013.02.20
추천자료
정신간호학 컨퍼런스, 케이스 스터디 - 양극성장애 Bipolar 1. manic
정신분열병(schizophrenia) 간호 케이스스터디 A+자료
[A+정신간호학 실습] 정신분열증(조현병/schizoprenia)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
A+ 정신간호학 케이스 ◆ ADHD 케이스 스터디 자료◆
bipolar disorder 조울증 정신간호학 case study 간호진단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수면장애
정신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정신간호학 간호진단_조현병_A+_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6개] 조현병 schizophrenia 간호과정 case study (항상 과제 A+ 받고 당연히 이 케...
정신간호학실습, 조현병Schizophrenia 케이스스터디 A+
A+,정신간호,정신간호학,정신간호스터디,정신간호케이스,정신간호학케이스,양극성장애,양극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