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들어가며
Ⅱ.남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
1부, 성인 발달에 대한 관점
1장 인생주기와 그 계절
2장 시대: 인생 주기의 해부학적 구조
3장 발달시기: 인생 구조와 진화과정
4장 네명의 남자
2부, 성인 초기의 초심자 단계
5장 초심자 단계: 성인 초기 전환기, 성인 입문기, 30대 전환기
6장 초심자 단계의 주요한 발달과제
7장 제임스 트레이시의 인생: 기업체 간부
3부, 안정기
9장 안정기: 제2의 성인 인생 구조 형성
10장 안정기의 다섯가지 발달계열
11장 제임스 트레이시의 인생
12장 폴 냄슨의 인생: 소설가
4부, 중년의 전환기와 중년 입문기
13장 중년의 전환기
14장 중년의 개별화: 젊음/늙음,
주요한 양극성
15장 중년의 개별화: 다른 양상들
① 파괴성과 창조성
② 남성성과 여성성
③ 애착, 분리
16장 중년의 전환기: 인생 구조의 수정
① 꿈의 수정
② 스승의 역할과 아버지의 역할
③ 결혼관계의 수정
17장 존바네스의 인생: 생물학자
18장 중년입문기
19장 제임스 트레이스의 인생
5부, 결론
20장 성인기 발달 과제와 가능성
Ⅲ. 마치며..
Ⅱ.남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
1부, 성인 발달에 대한 관점
1장 인생주기와 그 계절
2장 시대: 인생 주기의 해부학적 구조
3장 발달시기: 인생 구조와 진화과정
4장 네명의 남자
2부, 성인 초기의 초심자 단계
5장 초심자 단계: 성인 초기 전환기, 성인 입문기, 30대 전환기
6장 초심자 단계의 주요한 발달과제
7장 제임스 트레이시의 인생: 기업체 간부
3부, 안정기
9장 안정기: 제2의 성인 인생 구조 형성
10장 안정기의 다섯가지 발달계열
11장 제임스 트레이시의 인생
12장 폴 냄슨의 인생: 소설가
4부, 중년의 전환기와 중년 입문기
13장 중년의 전환기
14장 중년의 개별화: 젊음/늙음,
주요한 양극성
15장 중년의 개별화: 다른 양상들
① 파괴성과 창조성
② 남성성과 여성성
③ 애착, 분리
16장 중년의 전환기: 인생 구조의 수정
① 꿈의 수정
② 스승의 역할과 아버지의 역할
③ 결혼관계의 수정
17장 존바네스의 인생: 생물학자
18장 중년입문기
19장 제임스 트레이스의 인생
5부, 결론
20장 성인기 발달 과제와 가능성
Ⅲ. 마치며..
본문내용
자아 위축을 경험하면서 자신의 꿈을 포기하게 될 수도 있다. 심지어 자신의 꿈으로부터 멀어지게 한 배우자를 비난하며 이혼을 하는 경우도 있다. 꿈과 성공은 어쩌면 별개일 수도 있다. 사회적인 성공을 좇다 보면 자신의 꿈을 유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생의 봄에 해당하는 단계(17세-33세)는 꿈과 성공의 함수관계를 잘 조화하는 게 우선적인 과제이다. 레빈슨은 이를 위해서는 꿈을 형성하고 인생 구조 안에 그 꿈 배치하기, 스승(또는 상사)과 관계 맺기, 직업을 선택하고 이력 쌓아가기, 결혼하고 가족 이루기 등의 과제를 잘 진행해나가야 한다고 조언한다.
인생의 가을에 해당하는 40-45세는 중년의 전화기에 해당한다. 이때 사람들은 꿈의 신비적인 면을 재평가하고 중년기 삶에서 꿈의 위치를 수정한다. 40세 무렵이 되면 남성은 전환점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때부터 성인 초기와는 질적으로 다른 계획을 세워야 할 시기이다. 30대에 야망을 성취했든 못했든 중년의 전환기에는 감퇴할 가능성이 있다. 그가 굉장한 성취를 했고 더 큰 성취의 길목에 와 있을지라도 중년의 전환기에는 사다리를 하나 더 올라가는 것, 승진을 하는 것들은 더 이상 큰 의미를 지니지 않게 되는 것이다. 레빈슨은 40대가 되면 성공의 정의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갖게 된다고 말한다. 이제 더 이상 자신이 뛰어난 작가, 기술자 또는 리더여야만 된다고 느끼지 않을 때 좀 더 자유롭게 자기 자신이 되고 자신의 소망과 재능에 따라서 일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 책은 두껍고 쉽게 읽혀지는 책은 아니기 때문에 수박 겉좍기 식으로 발췌독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저자는 성인이 된다는 것에 대한 의미, 성인기의 연구에서도 청소년 시기와 같은 발달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젊음 이 생동감, 성장, 숙련, 용감함 이라고 하면 노년은 취약성, 시들음, 종말, 공허 를 함축하고 있다. 중년을 살아가는 사람이 죽음의 그늘 속에 살아가는 것도 끔직한 일이지만, 젊다는 착각 속에 중년을 살아가는 것도 자기 파괴적인 환상이되기 때문이다. 인생 주기의 각 국면은 자체의 고유한 미덕과 한계를 가지고 있다. 각 계절은 그 자체의 특성과 가치를 갖고 있는 데 특히 이 책은 서른 다섯에서 마흔 다섯 살까지의 중년 시기에 일차적인 관심을 두고 집중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좀 늦었지만 지금 나도 이 시기에 해당한다.
지금보다 이른 나이에 이 책을 읽었다면,내 인생이 조금 달라졌을까? 수 많은 남성들에게 중년의 인생은 서서히 또는 급속히 진행되는 침체의 과정이며 세상과 자신에게서 소원해지는 과정이다. 중년기는 개인적 성취와 사회적 공헌을 하는 시기가 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기 위해서 중년의 전환기의 발달과제를 받아들여야 한다. 중년기의 특수한 발달 과제는 자신과 타인들 속에 내재하는 어린아이 다운, 그리고 어른다운 측면을 더욱더 인식하는 것이다. 다른 계절로 옮겨가는 과정에는 변화와 성장을 위한 고통이 따른다. 사실상 지금 까지는 사십대에 인생이 끝난다는 불안 때문에 성인기의 삶에 대해 침묵을 지켜왔다. 그러나 이제 우리는 인간 성장의 가능성에 대해서 더 많은 것을 알고 싶어한다. 중년의 전환기로 들어갈 때, 지나온 인생 과정을 되돌아보고 물을 것이다. 나는 무엇을 했는가, 나는 이제 어디에 와 있는 가, 나는 어떤 가치가 있는 가. 현재의 자신과 이상 사이의 불균형을 처리해야 한다. 다 이해하기는 어렵지만, 어느덧 중년의 나이에 머물러있는 나에게 좋은 질문을 주는 책이었다. 성공한다면 그 후의 인생은 행복할 것이라는 환상은 진실이 아니다. 지금 나도 꿈을 재정립하고 새롭게 한다면, 나의 중년은 더더욱 빛날 것이라는 확신을 주는 책이다.
인생의 가을에 해당하는 40-45세는 중년의 전화기에 해당한다. 이때 사람들은 꿈의 신비적인 면을 재평가하고 중년기 삶에서 꿈의 위치를 수정한다. 40세 무렵이 되면 남성은 전환점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때부터 성인 초기와는 질적으로 다른 계획을 세워야 할 시기이다. 30대에 야망을 성취했든 못했든 중년의 전환기에는 감퇴할 가능성이 있다. 그가 굉장한 성취를 했고 더 큰 성취의 길목에 와 있을지라도 중년의 전환기에는 사다리를 하나 더 올라가는 것, 승진을 하는 것들은 더 이상 큰 의미를 지니지 않게 되는 것이다. 레빈슨은 40대가 되면 성공의 정의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갖게 된다고 말한다. 이제 더 이상 자신이 뛰어난 작가, 기술자 또는 리더여야만 된다고 느끼지 않을 때 좀 더 자유롭게 자기 자신이 되고 자신의 소망과 재능에 따라서 일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 책은 두껍고 쉽게 읽혀지는 책은 아니기 때문에 수박 겉좍기 식으로 발췌독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저자는 성인이 된다는 것에 대한 의미, 성인기의 연구에서도 청소년 시기와 같은 발달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젊음 이 생동감, 성장, 숙련, 용감함 이라고 하면 노년은 취약성, 시들음, 종말, 공허 를 함축하고 있다. 중년을 살아가는 사람이 죽음의 그늘 속에 살아가는 것도 끔직한 일이지만, 젊다는 착각 속에 중년을 살아가는 것도 자기 파괴적인 환상이되기 때문이다. 인생 주기의 각 국면은 자체의 고유한 미덕과 한계를 가지고 있다. 각 계절은 그 자체의 특성과 가치를 갖고 있는 데 특히 이 책은 서른 다섯에서 마흔 다섯 살까지의 중년 시기에 일차적인 관심을 두고 집중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좀 늦었지만 지금 나도 이 시기에 해당한다.
지금보다 이른 나이에 이 책을 읽었다면,내 인생이 조금 달라졌을까? 수 많은 남성들에게 중년의 인생은 서서히 또는 급속히 진행되는 침체의 과정이며 세상과 자신에게서 소원해지는 과정이다. 중년기는 개인적 성취와 사회적 공헌을 하는 시기가 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기 위해서 중년의 전환기의 발달과제를 받아들여야 한다. 중년기의 특수한 발달 과제는 자신과 타인들 속에 내재하는 어린아이 다운, 그리고 어른다운 측면을 더욱더 인식하는 것이다. 다른 계절로 옮겨가는 과정에는 변화와 성장을 위한 고통이 따른다. 사실상 지금 까지는 사십대에 인생이 끝난다는 불안 때문에 성인기의 삶에 대해 침묵을 지켜왔다. 그러나 이제 우리는 인간 성장의 가능성에 대해서 더 많은 것을 알고 싶어한다. 중년의 전환기로 들어갈 때, 지나온 인생 과정을 되돌아보고 물을 것이다. 나는 무엇을 했는가, 나는 이제 어디에 와 있는 가, 나는 어떤 가치가 있는 가. 현재의 자신과 이상 사이의 불균형을 처리해야 한다. 다 이해하기는 어렵지만, 어느덧 중년의 나이에 머물러있는 나에게 좋은 질문을 주는 책이었다. 성공한다면 그 후의 인생은 행복할 것이라는 환상은 진실이 아니다. 지금 나도 꿈을 재정립하고 새롭게 한다면, 나의 중년은 더더욱 빛날 것이라는 확신을 주는 책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