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보수와 진보가 다른 이유
1.1 보수와 진보의 다른 도덕성
Ⅱ. 본론
2. 도덕적 판단의 비밀
2.1 도덕에는 감정이 얼룩진다.
2.2 개인주의적 도덕 vs 집단주의적 도덕
3. 6가지 도덕 매트릭스
3.1 배려와 피해
3.2 공정과 불공정
3.3 충성과 배신
3.4 권위와 전복
3.5 고귀함과 추함
3.6 자유와 억압
Ⅲ. 결론
4. 우리에겐 보수와 진보 모두 필요하다
1. 보수와 진보가 다른 이유
1.1 보수와 진보의 다른 도덕성
Ⅱ. 본론
2. 도덕적 판단의 비밀
2.1 도덕에는 감정이 얼룩진다.
2.2 개인주의적 도덕 vs 집단주의적 도덕
3. 6가지 도덕 매트릭스
3.1 배려와 피해
3.2 공정과 불공정
3.3 충성과 배신
3.4 권위와 전복
3.5 고귀함과 추함
3.6 자유와 억압
Ⅲ. 결론
4. 우리에겐 보수와 진보 모두 필요하다
본문내용
수와 진보가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는 이유)
목 차
서론
1. 보수와 진보가 다른 이유
1.1 보수와 진보는 다른 도덕 기준을 가지고 있다.
본론
2. 도덕적 판단의 비밀
2.1 도덕에는 감정이 얼룩진다.
2.2 개인주의적 도덕 vs 집단주의적 도덕
3. 6가지 도덕 매트릭스
3.1 배려와 피해
3.2 공정과 불공정
3.3 충성과 배신
3.4 권위와 전복
3.5 고귀함과 추함
3.6 자유와 억압
결론
4. 우리에겐 보수와 진보 모두 필요하다
서론
1.1 보수와 진보는 다른 도덕 기준을 가지고 있다.
한국 정치의 갈등과 양극화는 점점 심화되고 있다. 보수주의자와 진보주의자는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토론을 하기 보다는 왜 반대 진영이 문제투성이인지 깨닫게 하는데 노력을 기울인다. 보수와 진보는 서로를 이해하지 못한다. 도덕 심리학자 조너선 하이트는 『바른 마음』에서 보수와 진보가 왜 다른지, 왜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는지 그 이유를 도덕에서 찾는다. 도덕은 감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정치적 판단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보수와 진보는 생물학적으로 다른 도덕 심리를 가지고 태어나기 때문에, 태어날때부터 정치적 입장 차이가 결정된다는 것이다.
보수와 진보를 나누는 심리 기반은 총 6가지다. 배려/피해 기반, 자유/압제 기반, 공평성/부정 기반, 충성심/배신 기반, 권위/전복, 고귀함/추함 기반이다. 진보주의자는 배려/피해, 자유/압제, 공평성/부정 세 가지 도덕 매트릭스를 사용해 도덕적 판단을 하고, 보수주의자는 6가지 매트릭스를 다 사용한다. 그래서 도덕적 판단과 정치적 이슈에 대한 입장이 달라지게 된다. 서로 다른 도덕 기반을 가지고 있기에 세상을 지각하는 틀이 달라지기에, 정치적 입장도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보수와 진보가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는 이유다.
본론
2. 도덕적 판단의 비밀
2.1 도덕에는 감정이 얼룩진다.
저자는 우선 다양한 실험을 통해 인간이 감정에 어떻게 지배받는지를 설명한다. 우리는 우리의 결정이 이성적이고 합리적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감정의 노예다. 우리는 일상의 대부분을 직관과 감정을 이용해 살아가며, 도덕적 판단 역시 감정에 의해 좌우된다. 마트에서 생닭을 사 성행위를 한 사람은 비도덕적인 행동을 한 것일까? 생닭과 성행위를 한 사람의 한 사람의 행동은 아무도 보지 못했고 누구에게도 피해를 주지 않았다. 그런데도 생닭과 성행위를 한 짓은 비도덕적이라고 대답한 사람이 많았다. 실험자들이 그렇게 답변한 이유에 대해 캐묻자, 말문이 막힌 그들은 당연한 걸 말로 해야만 아느냐며 화를 냈다. 신기한 점은, 그렇게 대답한 사람 대부분이 보수주의자였던 것이다.
반면 생닭과 성행위를 한 행동이 역겹지만 비도덕적이라고 말할 수 없다고 대답한 사람들은 대부분이 진보주의자였다. 무슨 차이가 보수와 진보가 다른 도덕적 판단을 하게 만들었을까? 보수는 감정을, 진보는 논리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보수주의자는 감정에 우선한 도덕적인 판단을 하기 때문에 생닭과 성행위한 행동이 아무에게도 피해를 주지 않았음에도 비도덕적이라 답한 것이다. 이
목 차
서론
1. 보수와 진보가 다른 이유
1.1 보수와 진보는 다른 도덕 기준을 가지고 있다.
본론
2. 도덕적 판단의 비밀
2.1 도덕에는 감정이 얼룩진다.
2.2 개인주의적 도덕 vs 집단주의적 도덕
3. 6가지 도덕 매트릭스
3.1 배려와 피해
3.2 공정과 불공정
3.3 충성과 배신
3.4 권위와 전복
3.5 고귀함과 추함
3.6 자유와 억압
결론
4. 우리에겐 보수와 진보 모두 필요하다
서론
1.1 보수와 진보는 다른 도덕 기준을 가지고 있다.
한국 정치의 갈등과 양극화는 점점 심화되고 있다. 보수주의자와 진보주의자는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토론을 하기 보다는 왜 반대 진영이 문제투성이인지 깨닫게 하는데 노력을 기울인다. 보수와 진보는 서로를 이해하지 못한다. 도덕 심리학자 조너선 하이트는 『바른 마음』에서 보수와 진보가 왜 다른지, 왜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는지 그 이유를 도덕에서 찾는다. 도덕은 감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정치적 판단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보수와 진보는 생물학적으로 다른 도덕 심리를 가지고 태어나기 때문에, 태어날때부터 정치적 입장 차이가 결정된다는 것이다.
보수와 진보를 나누는 심리 기반은 총 6가지다. 배려/피해 기반, 자유/압제 기반, 공평성/부정 기반, 충성심/배신 기반, 권위/전복, 고귀함/추함 기반이다. 진보주의자는 배려/피해, 자유/압제, 공평성/부정 세 가지 도덕 매트릭스를 사용해 도덕적 판단을 하고, 보수주의자는 6가지 매트릭스를 다 사용한다. 그래서 도덕적 판단과 정치적 이슈에 대한 입장이 달라지게 된다. 서로 다른 도덕 기반을 가지고 있기에 세상을 지각하는 틀이 달라지기에, 정치적 입장도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보수와 진보가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는 이유다.
본론
2. 도덕적 판단의 비밀
2.1 도덕에는 감정이 얼룩진다.
저자는 우선 다양한 실험을 통해 인간이 감정에 어떻게 지배받는지를 설명한다. 우리는 우리의 결정이 이성적이고 합리적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감정의 노예다. 우리는 일상의 대부분을 직관과 감정을 이용해 살아가며, 도덕적 판단 역시 감정에 의해 좌우된다. 마트에서 생닭을 사 성행위를 한 사람은 비도덕적인 행동을 한 것일까? 생닭과 성행위를 한 사람의 한 사람의 행동은 아무도 보지 못했고 누구에게도 피해를 주지 않았다. 그런데도 생닭과 성행위를 한 짓은 비도덕적이라고 대답한 사람이 많았다. 실험자들이 그렇게 답변한 이유에 대해 캐묻자, 말문이 막힌 그들은 당연한 걸 말로 해야만 아느냐며 화를 냈다. 신기한 점은, 그렇게 대답한 사람 대부분이 보수주의자였던 것이다.
반면 생닭과 성행위를 한 행동이 역겹지만 비도덕적이라고 말할 수 없다고 대답한 사람들은 대부분이 진보주의자였다. 무슨 차이가 보수와 진보가 다른 도덕적 판단을 하게 만들었을까? 보수는 감정을, 진보는 논리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보수주의자는 감정에 우선한 도덕적인 판단을 하기 때문에 생닭과 성행위한 행동이 아무에게도 피해를 주지 않았음에도 비도덕적이라 답한 것이다. 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