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상과 현실이 충돌한다. 산재 인정 범위를 확대한다는 취지는 근로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건강과 복지를 증진하는 데 좋다. 문제는 기업의 산재보험료 부담 증가다. 더 큰 문제는 모든 관련 질병을 업무 탓으로 돌리는 도덕적 해이다. 기업들이 근로환경 개선을 위해 내놓은 근본적인 근로자 대책 자체가 동력을 잃을 수 있다는 점도 큰 우려다. 그렇다면 조금 더 공부하면서 노동자, 기업, 의사 등 산재판정 전문가 등 \'3자 회의\'를 충분히 진행하는 것도 좋은 보완책이다. 서두르는 것은 좋은 일이 아니다. 노동자가 취급하는 대상의 무게나 수, 실제 작업환경 등과 연계해 산업재해 인정률을 분석하는 유럽 국가들의 사례도 참고할 만하다. 산업재해 등급을 세분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되 전문가 의견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