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본론
2.문헌고찰
3.사례연구
4.간호과정
5.참고문헌
2.문헌고찰
3.사례연구
4.간호과정
5.참고문헌
본문내용
협착, 빈혈, 에테르 마취
↓ 당뇨병, 설사, 구토, 폐렴, 중금속 중독, 쿠싱병, 화상, 장
협착, 열성상태
BUN(Blood Urea Nitrogen)
5-23 mg/㎗
11.9
7.9
↑ 신장질환, 요로폐쇄, 신장 결핵, 만성통풍
↓ 임신 후반기, 신진대사 저조
Creatinine
0.5-1.4 mg/㎗
0.94
0.78
↑ 담도협착, 임신, 신우염, 근육외상
T. Protein
6.5-8.3 g/㎗
Albumin
3.5-5.1 g/㎗
2.7
↑탈수증(dehydration)으로 인한 혈액의 농축시
↓간에서 합성기능이 저하시, 흡수장애, 영양불량,혈관외유출(출혈,화상,부종,복수,흉수), 요로의 배설항진(신증후군, 신장염)
ALP(Alkaline Phosphatase)
40-250 U/L
GOT
0~40 U/L
29
22
GPT
0~40 U/L
23
8
(6) 기타 검사
검사명
검사일
결과
Chest
X-ray
7/25
Elevation of both diaphram and some subsegmental atelectasis in RLL.
No active lesion in lung.
Echocardiographic
7/26
Mild concentric LVH, mild LAE(visual estimated)
Mild AR, Trivial MR, Trivial TR
(7) 치료 및 경과
(1) 환자에게 시행한 일반적인 치료:
활력징후 (09:00)
날짜
내용
7/25
7/26
7/27
7/28
7/29
7/30
7/31
8/1
BP
110/70
100/60
120/70
120/80
140/90
110/70
120/70
130/70
P
85
83
79
80
90
88
83
86
RR
20
20
20
20
20
20
20
20
BT
36.5
36.5
36.5
37.5
36.7
36.5
36.5
36.7
SPO2
92%
94%
92%
96%
98%
92%
97%
95%
(2) 약물치료
Medication 적응증 및 용법
1)Plavix
①용법/용량
뇌졸중, 심근경색 또는 말초동맥성 질환자 : 1일 1회 1정
②작용
동맥경화용제, 항응혈제, 항혈전제, 섬유소용해제
③적응증
뇌졸중, 심근경색, 말초동맥성질환, 급성관상동맥증후군
④부작용
본제과민증, 소화성궤양 또는 두개내 출혈과 같은 병리적 출혈
2)Mucosta
①용법/용량
위궤양:1회 100mg, 1일3회(아침,저녁,취침전)
②작용
위궤양
③적응증
급성위염, 만성위염의 급성악화기의 위점막 병변의 개선
④부작용
본제 성분 과민증 기왕력자.
3)Aspirin
①용법/용량
불안정 협심증 환자의 비치명적 심근경색 위험감소 : 1일 75-300mg
일과성 허혈발작 위험감소 : 1일 30-300mg
최초 심근경색 후 재경색 예방 : 1일 300mg
CABG 또는 PTCA후 뇌경색 환자의 혈전 및 색전형성 억제 :
1일 1회 100mg, 증상에 따라 1일 300mg
②작용
항응혈제, 항혈전제, 섬유소용해제
③적응증
불안정형 협심증
일과성 허혈발작
재경색예방, CABG나 PTCA후 혈전생성 억제
④부작용
살리실산제제에 과민증 기왕력자, 소화성 궤양 아스피린천식 또는 기왕력자, 혈우병등등은주의하여 투여.
4)Vesicare
①용법용량
통상 성인(고령자 포함)에서는 권장용량으로서 5mg을 1일 1회 투여한다. 필요한 경우 1일 1회 최대 10mg까지 증량할 수 있다. 이 약은 식사와 무관하게 복용할 수 있으며 물과 함께 한번에 삼키도록 한다.
②작용/효과
절박성 뇨실금, 빈뇨, 요절박과 같은 과민성방광 증상의 치료
④금기
1) 요폐 증상이 있는 환자 2) 중독성 거대결장을 포함한 중증의 위장관 상태를 가진 환자 3) 중증근무력증 환자 4) 협우각 녹내장 환자
2.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
간호진단 목록
문제번호
진단명(원인요소 진술 - 관련된 - 간호진단)
발생일
종료일
1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07-26
-07-28
2
질병과 관련된 통증
-07-26
-07-27
2) 간호과정 기록지
# 1. Nsg Dx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7/26)
Subjective Data
\"시술한 팔목이 아파요“
Objective Data
대상자는 침습적 절차와 관련된 시술을 하였다.
(2012.07.26 Coronary Arteriography 함)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wound 주위에 발별이나 발적, WBC의 상승 화농성 oozing등의 감염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plan
1.대상자의 wound의 감염증상을 사정하고 기록할 것 이다.
2.WBC의 수치를 보고 기록 할 것이다.
3.대상자에게 상처 관리 방법을 설명 할 것이다.
Implication
1.대상자의 wound의 감염증상(발적, 발열, WBC의 상승, oozing)을 사정하고 기록 하였다.
2.WBC의 수치를 보고 기록하였다.
3.대상자에게 상처는 건조하고 통풍이 잘 되게 하여야 한다고 설명 하였다.
evaluation
1.Wound의 oozing이 없고 clear하였다.
2.WBC의 수치가 정상보다 증가하였으나 떨어지고있다.
3.대상자의 Wound에 발적이나, 발열의 감염 증상이 없었다.
# 2.Nsg Dx : 질병과 관련된 통증 (7/26)
Subjective Data
\"머리가 아파요“
Objective Data
headache ->slight NRS:3 checked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대상자 통증의 정도가 3->1로 감소한다.
plan
1.대상자의 정서를 지지하는 간호를 할 것이다.
2.대상자의 통증을 check하고 기록 할 것이다.
Implication
1.통증양상 관찰하고 진통제 투여 할수 있을음 설명하였다.
2.무리한 활동을 자제 시켰다.
evaluation
1.headache 감소함
2.NRS: 1checked
참고문헌
1.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현문사, 성미혜의 3명 공저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상, 2011, 현문사
이은옥 외, 간호진단과 중재, 2007, 서울대학교출판부
송미순 외, 진단적 검사와 간호, 2001, 현문사
www.druginfo.co.kr
↓ 당뇨병, 설사, 구토, 폐렴, 중금속 중독, 쿠싱병, 화상, 장
협착, 열성상태
BUN(Blood Urea Nitrogen)
5-23 mg/㎗
11.9
7.9
↑ 신장질환, 요로폐쇄, 신장 결핵, 만성통풍
↓ 임신 후반기, 신진대사 저조
Creatinine
0.5-1.4 mg/㎗
0.94
0.78
↑ 담도협착, 임신, 신우염, 근육외상
T. Protein
6.5-8.3 g/㎗
Albumin
3.5-5.1 g/㎗
2.7
↑탈수증(dehydration)으로 인한 혈액의 농축시
↓간에서 합성기능이 저하시, 흡수장애, 영양불량,혈관외유출(출혈,화상,부종,복수,흉수), 요로의 배설항진(신증후군, 신장염)
ALP(Alkaline Phosphatase)
40-250 U/L
GOT
0~40 U/L
29
22
GPT
0~40 U/L
23
8
(6) 기타 검사
검사명
검사일
결과
Chest
X-ray
7/25
Elevation of both diaphram and some subsegmental atelectasis in RLL.
No active lesion in lung.
Echocardiographic
7/26
Mild concentric LVH, mild LAE(visual estimated)
Mild AR, Trivial MR, Trivial TR
(7) 치료 및 경과
(1) 환자에게 시행한 일반적인 치료:
활력징후 (09:00)
날짜
내용
7/25
7/26
7/27
7/28
7/29
7/30
7/31
8/1
BP
110/70
100/60
120/70
120/80
140/90
110/70
120/70
130/70
P
85
83
79
80
90
88
83
86
RR
20
20
20
20
20
20
20
20
BT
36.5
36.5
36.5
37.5
36.7
36.5
36.5
36.7
SPO2
92%
94%
92%
96%
98%
92%
97%
95%
(2) 약물치료
Medication 적응증 및 용법
1)Plavix
①용법/용량
뇌졸중, 심근경색 또는 말초동맥성 질환자 : 1일 1회 1정
②작용
동맥경화용제, 항응혈제, 항혈전제, 섬유소용해제
③적응증
뇌졸중, 심근경색, 말초동맥성질환, 급성관상동맥증후군
④부작용
본제과민증, 소화성궤양 또는 두개내 출혈과 같은 병리적 출혈
2)Mucosta
①용법/용량
위궤양:1회 100mg, 1일3회(아침,저녁,취침전)
②작용
위궤양
③적응증
급성위염, 만성위염의 급성악화기의 위점막 병변의 개선
④부작용
본제 성분 과민증 기왕력자.
3)Aspirin
①용법/용량
불안정 협심증 환자의 비치명적 심근경색 위험감소 : 1일 75-300mg
일과성 허혈발작 위험감소 : 1일 30-300mg
최초 심근경색 후 재경색 예방 : 1일 300mg
CABG 또는 PTCA후 뇌경색 환자의 혈전 및 색전형성 억제 :
1일 1회 100mg, 증상에 따라 1일 300mg
②작용
항응혈제, 항혈전제, 섬유소용해제
③적응증
불안정형 협심증
일과성 허혈발작
재경색예방, CABG나 PTCA후 혈전생성 억제
④부작용
살리실산제제에 과민증 기왕력자, 소화성 궤양 아스피린천식 또는 기왕력자, 혈우병등등은주의하여 투여.
4)Vesicare
①용법용량
통상 성인(고령자 포함)에서는 권장용량으로서 5mg을 1일 1회 투여한다. 필요한 경우 1일 1회 최대 10mg까지 증량할 수 있다. 이 약은 식사와 무관하게 복용할 수 있으며 물과 함께 한번에 삼키도록 한다.
②작용/효과
절박성 뇨실금, 빈뇨, 요절박과 같은 과민성방광 증상의 치료
④금기
1) 요폐 증상이 있는 환자 2) 중독성 거대결장을 포함한 중증의 위장관 상태를 가진 환자 3) 중증근무력증 환자 4) 협우각 녹내장 환자
2.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
간호진단 목록
문제번호
진단명(원인요소 진술 - 관련된 - 간호진단)
발생일
종료일
1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07-26
-07-28
2
질병과 관련된 통증
-07-26
-07-27
2) 간호과정 기록지
# 1. Nsg Dx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7/26)
Subjective Data
\"시술한 팔목이 아파요“
Objective Data
대상자는 침습적 절차와 관련된 시술을 하였다.
(2012.07.26 Coronary Arteriography 함)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wound 주위에 발별이나 발적, WBC의 상승 화농성 oozing등의 감염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plan
1.대상자의 wound의 감염증상을 사정하고 기록할 것 이다.
2.WBC의 수치를 보고 기록 할 것이다.
3.대상자에게 상처 관리 방법을 설명 할 것이다.
Implication
1.대상자의 wound의 감염증상(발적, 발열, WBC의 상승, oozing)을 사정하고 기록 하였다.
2.WBC의 수치를 보고 기록하였다.
3.대상자에게 상처는 건조하고 통풍이 잘 되게 하여야 한다고 설명 하였다.
evaluation
1.Wound의 oozing이 없고 clear하였다.
2.WBC의 수치가 정상보다 증가하였으나 떨어지고있다.
3.대상자의 Wound에 발적이나, 발열의 감염 증상이 없었다.
# 2.Nsg Dx : 질병과 관련된 통증 (7/26)
Subjective Data
\"머리가 아파요“
Objective Data
headache ->slight NRS:3 checked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대상자 통증의 정도가 3->1로 감소한다.
plan
1.대상자의 정서를 지지하는 간호를 할 것이다.
2.대상자의 통증을 check하고 기록 할 것이다.
Implication
1.통증양상 관찰하고 진통제 투여 할수 있을음 설명하였다.
2.무리한 활동을 자제 시켰다.
evaluation
1.headache 감소함
2.NRS: 1checked
참고문헌
1.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현문사, 성미혜의 3명 공저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상, 2011, 현문사
이은옥 외, 간호진단과 중재, 2007, 서울대학교출판부
송미순 외, 진단적 검사와 간호, 2001, 현문사
www.druginfo.co.kr
추천자료
성인간호학실습 A+받은 방광암 케이스입니다. 문헌고찰,간호진단 포함
a+ 받은 성인간호학 총담관결석 케이스 (진단2개, 간호과정 2개)
A+ 칭찬받은 신부전 케이스/ 낙상위험성 케이스 , 심박출량 감소 케이스 / 간호과정 2개, 간...
간호과정, 간호진단 3개, A+받은 Case study, 당뇨병, 당뇨병성족부병증, 당뇨발, DM, DM foo...
간호과정, 간호진단 6개, A+받은 Case study, 경막하출혈, 뇌출혈, SDH, 성인간호실습케이스 ...
A++자료입니다)성인간호학 실습, 협심증 케이스, 협심증 간호진단 3개, 케이스 스터디/A+보장
A+받은 Case study, 만성폐쇄성폐질환,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성인...
A+받은 Case study, 폐렴, Pneumonia, 성인간호실습케이스 간호과정, 간호진단 2개(기도개방...
[성인간호학 실습 A+] 불안정형 협심증 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