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무신집권기 전개과정과 그 의의에 대해 서술
2.참고문헌
2.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최우 정권은 결국 항복하며 몽골의 조공 요구 압박이 커지게 된다. 1233년 제2차 몽골침략 때는 용인 처인성의 김윤후가 몽골의 살리타를 사살하지만 이 때 고려대장경이 소실하게 된다. 1235년 제3차 몽골침략에서는 황룡사 9층목탑과 대구 부인사의 초조대장경이 소실하게 되었다. 그러나, 1236년부터 강화도에 대장도감을 설치하고 팔만대장경 조판을 시작하여 1251년에 완성하게 된다. 몽골의 수차례 침략으로 국가가 어려워지고 1258년 무오정변으로 최의가 살해되며 최씨 정권이 몰락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서 약 80년간의 무신집권기가 끝나고 원종이 즉위하면서 권문세족기로 넘어가게 된다.
2.참고문헌
-이다지, 이다지 한국사 : 전근대 편: 흥미진진 스토리텔링으로 한국사 다지기, 브레인스토어, 2015
2.참고문헌
-이다지, 이다지 한국사 : 전근대 편: 흥미진진 스토리텔링으로 한국사 다지기, 브레인스토어, 201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