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당과 고구려와의 전쟁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고 전쟁의 영향과 역사적 의의에 대해 기술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당과 고구려와의 전쟁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고 전쟁의 영향과 역사적 의의에 대해 기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수·당 통일 이전 시기

2. 수나라 시기
1) 수문제 집권기
2) 수양제 집권기

3. 당나라 시기
1) 당나라 체제 정비기
2) 여·당 전쟁

4. 전쟁의 영향과 역사적 의의

본문내용

군사에 수송대까지 약 300만 명에 달하는 대군을 이끌고 고구려에 쳐들어왔다. 고구려는 이를 잘 방어해냈지만, 대패한 수나라는 이 전쟁의 여파로 수양제가 살해당하고 각지에서 반란이 발생하여 결국 멸망하게 된다. 수나라가 멸망하고 당나라가 세워지는 과정에서 인구는 거의 3분의 1수준으로 감소하게 된다. 요즘도 그렇지만, 특히 고대에서 인구의 감소는 결국, 국력의 약화를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당나라의 실질적 국력은 수나라에 비해 훨씬 약했다고 볼 수 있다.
이 전쟁으로 인해 수나라에 굴종했던 유목민족들은 다시 세력을 회복하였으며, 고구려 역시 주변에 영향력을 더욱 확대할 수 있었다. 다만, 고구려는 이 전쟁에서 막대한 군사력과 물자를 소모하게 되면서 쇠퇴의 길로 접어들게 된다.
당나라의 전쟁은 수나라의 전쟁보다 더욱 큰 피해를 입었다고 볼 수 있다. 당시 고구려는 요동성, 백암성, 비사성, 개모성 등이 함락되고 주필산 전투에서 대패를 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상당한 숫자의 군대와 백성들을 잃었을 것이다. 반면 당나라는 수양제 때보다 적은 수의 정예군으로 쳐들어왔고 당 태종이 워낙 나라를 잘 다스리고 주변 이민족을 제압했기 때문에 큰 변란이 존재하지 않았다. 두 번 연속 큰 피해를 입은 고구려에 비해 당나라가 받은 피해는 상당히 미미했기 때문에 이는 후에 고구려의 멸망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 두 전쟁의 역사적 의의는 크게 네 가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첫 번째, 두 번의 대 침공을 막아냄으로써 고구려의 국력이 막강하며, 고구려가 한반도를 지키는 일종의 방패제 역할을 했다는 점을 확실하게 보여준 것이다.
두 번째, 고구려가 중국의 대군을 두 차례 대파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기에, 후대 요동을 장악했던 수많은 국가들이 고구려의 후예를 자처하거나 고구려를 굉장히 대단한 나라로 평가(ex) 쿠빌라이)하였다.
세 번째, 삼국사기를 보면 보장왕 7년 7월과 9월 기사에 “기이한 일이 일어나다”란 기록이 있다. 이외에도 9년 7월 기사에는 “재이로 백성이 굶주리다”, 13년 10월 기사에는 “마령 신인이 고구려 멸망을 말하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아마 전쟁의 여파로 인해 민심이 상당히 좋지 못했음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당시에는 성 주변에 먹을 것을 모두 없애는 청야전술을 행했을 것인데, 이로 인해 백성들이 막대한 피해를 입었고 그 민심이 기록에 나타난 것이라 볼 수 있다. 고구려의 내분은 연남생 삼형제 때문만이 아닌, 잦은 전쟁으로 지친 백성들의 이탈과도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즉, 백성을 고통을 받게 하는 나라는 오래 지속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 전쟁인 것이다.
네 번째, 이 두 전쟁의 여파로 인해 과거까지 고구려 내부에 완전히 속하지 못하던 말갈족의 상당수가 고구려인화 되었다는 것을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전까지는 ‘말갈’이라는 기록이 분명히 나오지만, 그 이후에는 말갈이라는 기록 자체가 사실상 사라지기 때문이다. 전쟁의 여파로 고구려와 말갈의 동맹 혹은 복속적 관계에서 하나의 국가로 나아가게 된 것이라 볼 수 있는 것이다.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3.01.06
  • 저작시기202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25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