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Ι. 서론
Ⅱ. 본론
1. 로컬푸드란?
2. 로컬푸드의 유형
1) 도시농업
2) 농민장터
3) 생산장터
4) 생활협동조합
5) 농산물 꾸러미
3. 우리지역 로컬푸드 운동
1) 공주시 로컬푸드 운동
2) 세종시 로컬푸드 운동
4. 내가 만들고 싶은 로컬푸드 운동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로컬푸드란?
2. 로컬푸드의 유형
1) 도시농업
2) 농민장터
3) 생산장터
4) 생활협동조합
5) 농산물 꾸러미
3. 우리지역 로컬푸드 운동
1) 공주시 로컬푸드 운동
2) 세종시 로컬푸드 운동
4. 내가 만들고 싶은 로컬푸드 운동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다. 첫 번째는 부여시와 격년으로 시행하는 ‘백제문화축제’이며, 두 번째는 ‘공주 석장리 구석기 축제’이다. 세 번째는 ‘공주 알밤 축제’이다. 이처럼 전국적인 유명세를 가지고 있는 축제에서 기존처럼 소량으로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에서 체계적으로 홍보하고 관리를 해주는 것이다. 혹자는 일회성이라 큰 효과가 없다고 말하겠지만, 전국적으로 많은 사람이 오기 때문에, 일회성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이때 고객을 확보하여 ‘꾸러미 박스’를 보내는 방식으로 로컬운동을 확대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Ⅲ. 결론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우리나라는 유통업계가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를 갈취하고 있다. 물론, 유통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유통이 주가 되고 소비와 생산이 격하되는 것은 주객이 전도되는 것이라 생각한다.
최근, 물가가 급격하게 오르고 있어 소시민들의 고통이 심각하다. 필자는 이러한 로컬푸드 운동이 소시민의 경제에 상당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기에, 더욱 확대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외에도 대부분의 소규모 농가들이 매우 가난하게 살고 있다. 그동안은 소규모 경작이어서 제대로 팔기도 어려웠고 그 품질을 인정받지 못해서 상품화시키지 못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로컬푸드 운동을 통해 소규모라도 판매할 수 있는 창구를 얻게 되었다. 소비자와 생산자가 모두 행복할 수 있는 로컬푸드 운동이야말로, 지역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운동이 아닐까 싶다.
Ⅳ. 참고문헌
논문
김종남, 2020,「대전ㆍ충청ㆍ세종 지역의 로컬푸드 활성화 연구 : 소비자, 지역농민, 매장관계자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忠南大學校 大學院 소비자생활정보학과 석사학위논문』.
오지현·홍은실, 2017,「로컬푸드의 소비자 지식과 태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로컬푸드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제28권 제4호.
2. 사이트
생활경제(https://www.econovill.com/news).
한경산업(https://www.hankyung.com/economy).
충청뉴스(http://www.ccnnews.co.kr/news).
충청일보(https://www.ccdailynews.com/news).
대전일보(http://www.daejonilbo.com/news).
세종포스트(https://www.sjpost.co.kr/news).
굿모닝충청(http://www.goodmorningcc.com/news).
Ⅲ. 결론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우리나라는 유통업계가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를 갈취하고 있다. 물론, 유통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유통이 주가 되고 소비와 생산이 격하되는 것은 주객이 전도되는 것이라 생각한다.
최근, 물가가 급격하게 오르고 있어 소시민들의 고통이 심각하다. 필자는 이러한 로컬푸드 운동이 소시민의 경제에 상당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기에, 더욱 확대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외에도 대부분의 소규모 농가들이 매우 가난하게 살고 있다. 그동안은 소규모 경작이어서 제대로 팔기도 어려웠고 그 품질을 인정받지 못해서 상품화시키지 못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로컬푸드 운동을 통해 소규모라도 판매할 수 있는 창구를 얻게 되었다. 소비자와 생산자가 모두 행복할 수 있는 로컬푸드 운동이야말로, 지역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운동이 아닐까 싶다.
Ⅳ. 참고문헌
논문
김종남, 2020,「대전ㆍ충청ㆍ세종 지역의 로컬푸드 활성화 연구 : 소비자, 지역농민, 매장관계자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忠南大學校 大學院 소비자생활정보학과 석사학위논문』.
오지현·홍은실, 2017,「로컬푸드의 소비자 지식과 태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로컬푸드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제28권 제4호.
2. 사이트
생활경제(https://www.econovill.com/news).
한경산업(https://www.hankyung.com/economy).
충청뉴스(http://www.ccnnews.co.kr/news).
충청일보(https://www.ccdailynews.com/news).
대전일보(http://www.daejonilbo.com/news).
세종포스트(https://www.sjpost.co.kr/news).
굿모닝충청(http://www.goodmorningcc.com/new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