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외생변수 통제방법 중, 외적 통제방법 6가지를 쓰고 각각을 상세히 설명하시오(15점).
2. 관심있는 연구문제를 선정한 후에는 수행할 만한 가치가 있는 연구인지 결정하기 위해 연구문제를 평가하게 된다. 이때 고려하게 되는 평가의 기준 3가지를 쓰고 각각을 상세히 설명하시오(10점).
3. 다음을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4점, 순서에 맞춰 답안 작성)
( ⓐ )는 모집단의 특성을 수치로 나타낸 것으로 일반적으로 그리스 문자로 표시하여 모집단의 평균은 뮤(μ), 표준편차는 시그마(σ)로 표기한다.
( ⓑ )는 모집단의 규모가 커서 모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없는 경우에 표본을 추출하여 표본의 특성을 수치로 나타낸 것으로 일반적으로 로마자 알파벳으로 표기한다.
4. 다음은 간호연구 수강생 9명의 기말고사 성적표이다. ⓐ 중앙값, ⓑ 표본의 표준편차는 얼마인가? (과정도 간략히 기술할 것,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4점, 순서에 맞춰 답안 작성)
45, 45, 62, 65, 80, 90, 93, 95, 100
5. 표준정규분포표를 활용하여 Z= 1.96의 확률(넓이)을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시오(3점).
6. 다음은 빈칸에 알맞은 용어는? (2점)
( )는 표본분포의 표준편차로, 표본평균들의 분포가 모집단의 평균 주위에 어느 정도 퍼져있는지를 의미한다. 즉, 모집단에서 표본을 무작위로 추출할 때 통계량이 모수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추정한 값이다. 이 값은 모집단의 표준편차를 로 나눈 것과 같다.
7. 추론통계는 적용되는 가정에 따라 모수적 통계와 비모수적 통계로 나뉜다. 이때 모수적 통계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어떤 가정을 만족해야 하는지 기술하시오(6점).
8. 가설검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2가지)는 무엇인지 설명하고,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기술하시오(4점).
9. 다음은 빈칸에 알맞은 용어는? (2점)
( )은 논문에서 인용한 모든 문헌을 일정한 형식에 맞춰 작성한 것이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참고한 논문뿐만 아니라, 신문, 데이터베이스, 인터넷 자료 등 모두 포함해서 작성해야 하며, 디지털 콘텐츠에 부여되는 고유 식별번호인 DOI가 있는 논문은 각 서지사항 마지막에 기술하도록 한다.
2. 관심있는 연구문제를 선정한 후에는 수행할 만한 가치가 있는 연구인지 결정하기 위해 연구문제를 평가하게 된다. 이때 고려하게 되는 평가의 기준 3가지를 쓰고 각각을 상세히 설명하시오(10점).
3. 다음을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4점, 순서에 맞춰 답안 작성)
( ⓐ )는 모집단의 특성을 수치로 나타낸 것으로 일반적으로 그리스 문자로 표시하여 모집단의 평균은 뮤(μ), 표준편차는 시그마(σ)로 표기한다.
( ⓑ )는 모집단의 규모가 커서 모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없는 경우에 표본을 추출하여 표본의 특성을 수치로 나타낸 것으로 일반적으로 로마자 알파벳으로 표기한다.
4. 다음은 간호연구 수강생 9명의 기말고사 성적표이다. ⓐ 중앙값, ⓑ 표본의 표준편차는 얼마인가? (과정도 간략히 기술할 것,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4점, 순서에 맞춰 답안 작성)
45, 45, 62, 65, 80, 90, 93, 95, 100
5. 표준정규분포표를 활용하여 Z= 1.96의 확률(넓이)을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시오(3점).
6. 다음은 빈칸에 알맞은 용어는? (2점)
( )는 표본분포의 표준편차로, 표본평균들의 분포가 모집단의 평균 주위에 어느 정도 퍼져있는지를 의미한다. 즉, 모집단에서 표본을 무작위로 추출할 때 통계량이 모수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추정한 값이다. 이 값은 모집단의 표준편차를 로 나눈 것과 같다.
7. 추론통계는 적용되는 가정에 따라 모수적 통계와 비모수적 통계로 나뉜다. 이때 모수적 통계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어떤 가정을 만족해야 하는지 기술하시오(6점).
8. 가설검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2가지)는 무엇인지 설명하고,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기술하시오(4점).
9. 다음은 빈칸에 알맞은 용어는? (2점)
( )은 논문에서 인용한 모든 문헌을 일정한 형식에 맞춰 작성한 것이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참고한 논문뿐만 아니라, 신문, 데이터베이스, 인터넷 자료 등 모두 포함해서 작성해야 하며, 디지털 콘텐츠에 부여되는 고유 식별번호인 DOI가 있는 논문은 각 서지사항 마지막에 기술하도록 한다.
본문내용
비모수적 통계로 나뉜다. 이때 모수적 통계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어떤 가정을 만족해야 하는지 기술하시오(6점).
모수적 통계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모집단이 정상적인 분포를 이룬다고 가정되어야 한다, 즉, 모집단 분포가 정상성을 띄어야 하며, 비교할 각각의 표본 집단의 모집단 변량이 서로 동일할 것을 전제로 하는 변량의 동질성이 가정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주어진 변수의 값이 등간척도 혹은 비율 척도인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하며, 명목 혹은 서열 척도의 경우에는 원칙적으로는 모수적 통계방법 적용이 불가하다. 이러한 모수적 통계 방법의 종류에는 F검정법, T검정법 등이 있다.
8. 가설검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2가지)는 무엇인지 설명하고,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기술하시오(4점).
가설의 검정은 표본에서 뽑은 통계량을 기초로 모집단의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기 때문에 어떤 표본이 선택되는지에 따라서 잘못된 결론이 도출될 수 있다. 가설검정의 오류로는 1종 오류와 2종 오류가 있는데, 1종 오류는 α 오류라고도 하며, 귀무 가설이 참임에도 불구하고, 귀무가설을 기각함으로써 발생하는 오류이다. 유의수준을 너무 크게 정하는 경우에 영가설을 기각할 가능성이 커지며, 자연스럽게 1종 오류의 가능성도 커지게 된다.
또 다른 오류로는 제 2종 오류가 있으며, 실제로는 귀무가설이 틀렸음에도 불구하고 귀무가설을 옳은 것으로 받아들이는 오류이다. 유의수준을 너무 작게 정하는 경우에는 영가설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이 두 가지의 오류는 서로 상반되기 때문에 한가지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 유의수준을 너무 작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또 다른 오류를 증가시키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제 2종 오류의 영향이 제 1종 오류보다는 덜 위험하기 때문에 제 2종 오류를 범하는 것을 택하게 된다.
즉, 연구자는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적절한 임계값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통상적으로 α=.05 수준에서 해당 영가설이 기각될 경우 귀무가설을 채택하게 된다.
9. 다음은 빈칸에 알맞은 용어는? (2점)
( )은 논문에서 인용한 모든 문헌을 일정한 형식에 맞춰 작성한 것이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참고한 논문뿐만 아니라, 신문, 데이터베이스, 인터넷 자료 등 모두 포함해서 작성해야 하며, 디지털 콘텐츠에 부여되는 고유 식별번호인 DOI가 있는 논문은 각 서지사항 마지막에 기술하도록 한다.
답: 참고문헌
참고문헌
강의안 자료
모수적 통계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모집단이 정상적인 분포를 이룬다고 가정되어야 한다, 즉, 모집단 분포가 정상성을 띄어야 하며, 비교할 각각의 표본 집단의 모집단 변량이 서로 동일할 것을 전제로 하는 변량의 동질성이 가정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주어진 변수의 값이 등간척도 혹은 비율 척도인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하며, 명목 혹은 서열 척도의 경우에는 원칙적으로는 모수적 통계방법 적용이 불가하다. 이러한 모수적 통계 방법의 종류에는 F검정법, T검정법 등이 있다.
8. 가설검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2가지)는 무엇인지 설명하고,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기술하시오(4점).
가설의 검정은 표본에서 뽑은 통계량을 기초로 모집단의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기 때문에 어떤 표본이 선택되는지에 따라서 잘못된 결론이 도출될 수 있다. 가설검정의 오류로는 1종 오류와 2종 오류가 있는데, 1종 오류는 α 오류라고도 하며, 귀무 가설이 참임에도 불구하고, 귀무가설을 기각함으로써 발생하는 오류이다. 유의수준을 너무 크게 정하는 경우에 영가설을 기각할 가능성이 커지며, 자연스럽게 1종 오류의 가능성도 커지게 된다.
또 다른 오류로는 제 2종 오류가 있으며, 실제로는 귀무가설이 틀렸음에도 불구하고 귀무가설을 옳은 것으로 받아들이는 오류이다. 유의수준을 너무 작게 정하는 경우에는 영가설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이 두 가지의 오류는 서로 상반되기 때문에 한가지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 유의수준을 너무 작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또 다른 오류를 증가시키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제 2종 오류의 영향이 제 1종 오류보다는 덜 위험하기 때문에 제 2종 오류를 범하는 것을 택하게 된다.
즉, 연구자는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적절한 임계값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통상적으로 α=.05 수준에서 해당 영가설이 기각될 경우 귀무가설을 채택하게 된다.
9. 다음은 빈칸에 알맞은 용어는? (2점)
( )은 논문에서 인용한 모든 문헌을 일정한 형식에 맞춰 작성한 것이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참고한 논문뿐만 아니라, 신문, 데이터베이스, 인터넷 자료 등 모두 포함해서 작성해야 하며, 디지털 콘텐츠에 부여되는 고유 식별번호인 DOI가 있는 논문은 각 서지사항 마지막에 기술하도록 한다.
답: 참고문헌
참고문헌
강의안 자료
추천자료
[간호연구] 2020년 1학기 기말시험 온라인평가 과제물
(방송통신대 간호연구 기말시험)외생변수 통제방법 중, 내적 통제방법 6가지 측정도구의 신뢰...
간호연구 2021년 1학기 기말시험(온라인과제물)
[간호연구 기말 2022년] 1. 외생변수 통제방법 중, 외적 통제방법 2. 연구문제를 평가 시 고...
[간호연구 2022년 기말] 1. 외생변수 통제방법 중, 외적 통제방법 2. 연구문제 평가의 기준 3...
간호연구
(2022년 방송통신대 간호연구 기말과제물)외생변수 통제방법 중 외적 통제방법 6가지를 쓰고 ...
간호연구 ) 외생변수 통제방법 중, 내적 통제방법 6가지를 쓰고 각각을 상세히 설명하시오 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