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디자인(키오스크 접근성) ) 키오스크의 세대별 접근성의 차이와 접근성 격차 해소를 위한 보편적 방안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술, 디자인(키오스크 접근성) ) 키오스크의 세대별 접근성의 차이와 접근성 격차 해소를 위한 보편적 방안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키오스크의 접근성
2.1. 연령과 접근성 간의 상관관계
2.2. 접근성 차가 미치는 부정적 영향
3. 접근성 격차 해소 - 기존 방안에 대해
3.1. 기존 방안
3.2. 기존 방안의 문제점
4. 접근성 격차 해소 - 개선된 방안에 대해
4.1. 개선된 방안
4.2. 개선된 방안이 가져올 긍정적 영향
5.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기능의 저하를 경험하는데, 특히 시각과 청각 등의 감각이 저하되면서 다양한 자극을 수용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이는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많은 시니어들이 감각의 저하를 경험하고 또 사회 역할을 상실하게 되면서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 또, 대부분의 경우 중장년층은 변화하기보다는 자신들이 살아온 삶의 방식을 유지하고 싶어하는 경향이 강하고, 새로운 환경에 대해 부담과 불안을 느낀다고 한다.
사회는 점점 더 빠른 속도로 디지털화 되어가고 있다. 이미 디지털 세계와 친숙한 어린 세대의 경우에는, 한 번도 대면 주문을 해본 적이 없는 비율도 커지고 있다고 한다. 본래를 얼굴을 보고 직원에게 직접, 혹은 전화로 주문을 하는 것이 알반적인 관습이었지만 핸드폰 어플을 이용한 비대면 주문이나 키오스크의 사용 매장이 늘어나면서 ‘주문’에 대한 관습이 바뀌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빠르게 디지털화 되어가는 세상에서 많은 시니어들이 혼란을 겪고 있으며, 기술을 익히는 것이 더뎌 세상에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디지털 소외’ 현상을 없애기 위해서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뾰족한 해결책이 발견되지 못했다.
앞으로도 디지털 기기에 대한 접근성 문제에 대한 고민은 이어질 것이고, 좀더 시간이 지나면 어떤 획기적인 해결법이 발견되어 ‘디지털 소외’ 현상이 해결될지도 모르는 일이지만 그 때까지는 주위 깊게 주위를 살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을 돕고자 노력하는 것이 우리가 실생활에서 할 수 있는 가장 실천적인 방법일 것이다.
참고 문헌
황성원, 패스트푸드점의 무인주문결제 키오스크 사용자 경험 연구, 디지털콘텐츠학회 2019
김효정, 키오스크 서비스 실패: 시니어들의 부정적인 키오스크 이용 경험을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2021
‘\"느려도 괜찮아요\" 디지털 소외계층 위한 키오스크 눈길’ (서울특별시 2021.08.30.)
https://mediahub.seoul.go.kr/archives/2002568
‘[서포터즈] 진짜 문제는 키오스크가 아니다’ (디지털투데이 2019.02.07.)
http://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6899
‘\"뒤에서 한숨소리 들릴까 조마조마\"…어르신 울리는 키오스크’ (매일경제 2022.05.29.)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22/05/473463/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2.06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46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