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병과정을 설명하시오. (10점)
바이러스는 숙주의 세포 내에 유입되어 숙주를 이용해 복제하고, 이 과정에서 세포에 손상을 일으킨다. 바이러스는 일정한 향성이 있는데, 이는 바이러스가 종류에 따라 각각 특정한 세포 내에만 들어갈 수 있고 복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이러스는 인식, 부착, 투과, 탈 외피, 복제와 같은 과정을 통해 발병되어 세포 내에서 자신과 동일한 바이러스로 복제한 뒤 세포 밖으로 방출되어 다른 세포를 감염시키며 바이러스를 전파한다.
12. 허혈의 발생기전을 설명하시오. (10점)
허혈이란 산소와 영양분이 감소되어 초래되는 세포의 손상 상태로 허혈 상태에서는 구조와 기능이 정상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조직의 기능이 저하된다. 허혈이 발생하는 이유는 심박출량의 감소에 의해 전신의 혈액량이 감소하고, 이는 관상동맥 혈류를 일으켜 심근에 손상 및 허혈을 일으키게 된다. 그리고 혈관의 저항이 증가되어 허혈이 발생되기도 하는데 혈관의 저항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는 쇼크, 생리적 스트레스에 의해 혈관이 수축되어 혈액 공급이 되지 않아 발생한다. 그리고 선천성으로 동정맥에 기형이 있거나 외상, 문합으로 모세혈관 혈류가 조직을 통과하지 못해 허혈이 발생하게 된다.
13. 급성 호흡곤란증후군의 정의와 과정(3단계)을 설명하시오. (10점)
급성 호흡곤란증후군이란 다양한 원인에 의해 폐포에서 모세혈관 벽의 투과성이 증가해 폐포강 내에 삼출액이 차고, 호중구 의존성 폐손상, 사이토카인의 증가, 표면 활성제 및 응고체계 이상 등에 의해 산소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저산소증을 나타내는 중증 임상 증후군이다.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이 발생되는 과정은 3단계를 거쳐 나타나게 된다. 첫 번째 조기 삼출기는 폐포-모세혈관 투과성이 증가해 폐부종이 나타나는데 이는 손상된 날로부터 3일 이내 나타난다. 2번째 단계는 증식기로, 폐포 상피세포의 증식이 나타나고 손상 3일에서 10일 이내 나타난다. 3번째 단계는 섬유화기로 손상된지 3주 후에 나타나며, 폐의 실질 부분에 섬유화가 진행되어 폐의 탄성이 감소하고 폐포의 허탈이 발생하게 된다.
참고문헌
방송대 강의자료
김제형. (2013).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새로운 정의. 대한중환자의학회지, 28(1), 10-16.
강명재 외 공저. (2015). 일반병리학. 고문사
김금순 외 공저. (2017). 성인간호학1. 수문사
김금순 외 공저. (2017) 성인간호학2. 수문사
바이러스는 숙주의 세포 내에 유입되어 숙주를 이용해 복제하고, 이 과정에서 세포에 손상을 일으킨다. 바이러스는 일정한 향성이 있는데, 이는 바이러스가 종류에 따라 각각 특정한 세포 내에만 들어갈 수 있고 복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이러스는 인식, 부착, 투과, 탈 외피, 복제와 같은 과정을 통해 발병되어 세포 내에서 자신과 동일한 바이러스로 복제한 뒤 세포 밖으로 방출되어 다른 세포를 감염시키며 바이러스를 전파한다.
12. 허혈의 발생기전을 설명하시오. (10점)
허혈이란 산소와 영양분이 감소되어 초래되는 세포의 손상 상태로 허혈 상태에서는 구조와 기능이 정상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조직의 기능이 저하된다. 허혈이 발생하는 이유는 심박출량의 감소에 의해 전신의 혈액량이 감소하고, 이는 관상동맥 혈류를 일으켜 심근에 손상 및 허혈을 일으키게 된다. 그리고 혈관의 저항이 증가되어 허혈이 발생되기도 하는데 혈관의 저항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는 쇼크, 생리적 스트레스에 의해 혈관이 수축되어 혈액 공급이 되지 않아 발생한다. 그리고 선천성으로 동정맥에 기형이 있거나 외상, 문합으로 모세혈관 혈류가 조직을 통과하지 못해 허혈이 발생하게 된다.
13. 급성 호흡곤란증후군의 정의와 과정(3단계)을 설명하시오. (10점)
급성 호흡곤란증후군이란 다양한 원인에 의해 폐포에서 모세혈관 벽의 투과성이 증가해 폐포강 내에 삼출액이 차고, 호중구 의존성 폐손상, 사이토카인의 증가, 표면 활성제 및 응고체계 이상 등에 의해 산소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저산소증을 나타내는 중증 임상 증후군이다.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이 발생되는 과정은 3단계를 거쳐 나타나게 된다. 첫 번째 조기 삼출기는 폐포-모세혈관 투과성이 증가해 폐부종이 나타나는데 이는 손상된 날로부터 3일 이내 나타난다. 2번째 단계는 증식기로, 폐포 상피세포의 증식이 나타나고 손상 3일에서 10일 이내 나타난다. 3번째 단계는 섬유화기로 손상된지 3주 후에 나타나며, 폐의 실질 부분에 섬유화가 진행되어 폐의 탄성이 감소하고 폐포의 허탈이 발생하게 된다.
참고문헌
방송대 강의자료
김제형. (2013).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새로운 정의. 대한중환자의학회지, 28(1), 10-16.
강명재 외 공저. (2015). 일반병리학. 고문사
김금순 외 공저. (2017). 성인간호학1. 수문사
김금순 외 공저. (2017) 성인간호학2. 수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