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양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종양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cal imaging)으로 몸 전체를 screening할 수 있는 PET/CT를 시행 해 볼 수 있다.
PET-CT 란 양전자 방출 촬영기(Positron Emission Tomography)와 컴퓨터 단층촬영기(Computed Tomography)를 하나로 합친 장비입니다.
이러한 PET-CT 는 암 진단에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특히 종양을 CT, 감마카메라 등에 비해 월등히 앞선 시기에 진단할 수 있게 되어 암의 조기 진단을 가능하게 합니다.
PET-CT는 방사선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세포의 생화학적 변화와 함께 우수한 해부학적 영상을 동시에 얻을 수 있어 암과 심장질환을 조기발견하여 예후 등에 매우 유용한 의료장비입니다.
PET-CT의 기능은 이러한 암의 원발 장기의 검사 기능뿐만이 아니라 다른 여러 가지 병의 진단에도 사용되고 있다.
1. 종양
1) 악성종양의 조기진단
2) 재발암의 진단
3) 암치료 경과 관찰
4) 암의 병기 결정
2. 신경정신계
1) 치매의 진단
2) 뇌혈관 질환 진단
3) 뇌성마비 진단
4) 간질 환자 진단
3. 심혈관 질환
1) 관상동백 질환 질단
2) 생존 심근질환 진단
15. 위장 암으로 진단 후 CT, MR 등 소견과 악성 종양 수술 후 조직검사 소견 상 전이가 없었다
고 한다. 1 년뒤 간에 다발성 결절이 발견되어 전이암이라고 통보 받았다. 처음에는 전이암이 없
다고 했다가 나중에 전이암이 생긴 이유는 ?
비교적 서서히 성장하며 신체 여러 부위에 확산, 전이하지 않으며 제거하여 치유시킬 수
있고 특이한 경우를 제외하고 생명에 위협을 초래하지는 않는 양성 종양과는 달리 악성 종
양은 빠른 성장과 침윤성(파고들거나 퍼져나감) 성장 및 체내 각 부위에 확산, 전이(원래 장
소에서 떨어진 곳까지 이동함)하여 생명에 위험을 초래하는 종양이다. 악성종양의 암세포는
원발장기를 떠나 다른 장기로 이동한다. 이때 암이 신체의 다른 부분으로 퍼지는 것은 크게
원발암에서 암조직이 성장하여 직접적으로 주위장기를 침윤하는 것 과 멀리 있는 다른 장기
로 혈관이나 림프관을 따라 원격전이를 하는 것등 전이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폐암의 경
우 암세포는 원발장기인 폐에서 생긴 것이나 직접적으로 흉막까지 침윤할 수 있으며 혈관과
림프관을 따라 뇌와 간 뼈 등의 다른 장기로 퍼질 수 있습니다.k
따라서 환자의 위장암이 악성종양이 아니었다면 전이암이 1년후 발병하지않았을 것이라 생
각된다. 정리하면 전이암이 생긴이유는 양성 종양과 다른 악성 종양의 가장 큰 차이점인 체
내 각 부위로 확산되고 전이되어 생명을 위태롭게 한다는 특징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 CT나 MR 소견과 수술 후 조직검사 소견에 전이가 없었으나 다시 전이암이 생긴 이유는 악성 종양 수술을 할 때 Safety zone이라고 하여 악성 종양이 퍼진 장기의 부위보다 몇 cm를 더 절개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Safety zone을 두었다 할지라도 장기에 세포 몇 개라도 악성종양세포가 남아있었다면 그 세포들로 인해 후에 전이암으로 발전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조직검사 소견 상 전이가 없었다고 판단을 했다고 하므로 조직에 세포가 남아있었을 가능성을 일단 배제하면 다른 이유 중 가장 전이 가능성이 높은 것은 림프관을 통한 암의 전이이다.
전이암이라고 판정을 받은 이유는 1년 뒤 간에서 발견된 다발성 결절의 종양 조직이 간이 아니라 예전에 암이 발생했었던 위장의 조직이라서 전이암이라고 판정을 받았을텐데 림프관을 통한 암의 전이는 발견하기가 매우 어렵다고 한다.
이 경로의 전이는 가장 흔한 암의 전이 방법이며 림프관이나 림프동내에 있는 암세포 색전 (cancer cell embolus)은 현미경상으로만 관찰될 수 있는 작은 병소일 수 있다. 따라서 수술시에 육안적으로 발견할 수 없는 경우가 허다하고 제거되지 못할 경우 재발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 문제의 경우 위장암은 흔히 장간막 림프절에 전이하게 된다고 한다. 그 경로를 통하여 간에 전이되었을 가능성이 높을것이라 생각한다.
위장 암의 진단에서 악성종양으로 판명이 났는데 이 악성종양은 주위 정상적인 조직과 장기를 침범하여 그 주변 조직까지 파괴하는 성질(침윤성, invasion)이 있고, 또 암세포는 체내 다른 부위에 전이(metastasis)를 일으켜 새로운 종양을 만들기도 한다.
위의 경우에 수술 후에 조직검사 소견 상에 전이가 관찰되지 않았다고 했다가 1년 뒤에 간에 전이암이 발견되었다고 했다. 이것은 악성종양의 전이가 발생했기 때문인데 이것은 수술시 전이를 일으키는 암조직을 발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전이는 대체로 림프액이나 혈액을 통해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전이를 일으키는 암조직은 현미경적으로만 관찰될 수 있는 작을 수도 있기 때문에 수술시 육안적으로 발견되지 못할 경우가 많고 따라서 제거되지 못할 경우가 허다하여 수술 후 재발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림프관성 전이는 대체로 림프액의 흐름에 따라 연속적으로 일어나는데 위장관의 암은 흔히 장간막 림프절에 전이하고, 여기에서 흉관(thoracic duct)을 따라 암세포 색전이 전파하여 상쇄골 림프절(supraclavicular lymph node)에 전이한다. 아마도 위의 경우도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위장암이 간으로 전이된 것이 아닌가 사료된다.
혈행성 전이의 경우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암세포는 정맥벽을 관통하여 혈관 내로 들어가게 되는데 혈관 내에 들어간 암세포는 혈관 내의 여러 물질들에 의해 둘러싸여 혈전(thrombus)을 형성하고, 이 혈전이 얼마동안 더 이상의 암세포 전파를 방지하여준다. 그러나 혈전 내에서 종양 세포도 같이 자라서 종양성 혈전(tumor thrombus)을 만들게 되고 결국은 이 종양성 혈전이 부스러져서 종양성 색전(tumor embolus)이 되고, 혈액을 따라 우심방과 우심실에 도달하게 된다. 그 후 이들은 폐동맥을 따라 좌우 폐장에 운반되고 여러 곳에 암의 전이 병소(다발성 전이소)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결과적으로는 위장의 악성종양의 전이로 인해서 간에 전이암이 발생한 것은 알 수 있으나 그 경로를 알기는 힘들다 하겠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5.06.06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05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