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S케이스-Brain Tumor (두개내종양) A++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NS케이스-Brain Tumor (두개내종양)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대상자 사정

Ⅱ. Disease Description

Ⅲ. 약물

Ⅳ. 특수 검사 및 결과

Ⅴ. 수술 및 검사

Ⅵ. 느낀 점

< 참고문헌 >

본문내용

-1-2-3-4-5-6-7-8-9-10
5월 19일
0-1-2-3-4-5-6-7-8-9-10
5월 20일
0-1-2-3-4-5-6-7-8-9-10
3.대상자가 두통이 "띵하게" 있다 말하였고, Lt.parietal bone area에 pain이 있어서 담당간호사가 Dr. notify하였다.(Dr.가 observation하자고 하였음.)
4.뇌압상승증상인 두통, 동공의 변화가 있었다.
- 두통은 Lt.parietal bone area에 있었고, pupil R/O L/O 4.4이었다.( 5월18일 18시)
5.정신 상태는 명료하였으며, pupil R/O L/O 4.4, Motor Intact하였다.
6.조용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다른 환자와 보호자분에게 늦게까지 텔레비전을 보지 않도록 하였고, 다른 보호자분들에 방문을 자제하여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7.진통제인(Keromin 30mg)을 하루에 3회 IV를 통하여 투여하였다.
8.심호흡, 조기이상, 상상요법이 통증완화에 효과가 있음을 설명하고, 먼저 시범을 보인 후 대상자가 따라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를 격려하였다.
9.대상자가 주로 낮에 잠을 자고 수면시 머리부위에 각도가 없이 수면을 취하고 있어, 두개압상승방지를 위해 침대를 30도 Elevation시켜주었다.
10.가족에게 환자의 통증완화방법에 대해 교육하고 옆에 있을 수 있도록 정서적인 지지를 하였다.
11.대상자에게 진통제의 효과와 부작용이 적힌 교육 자료를 주고, 설명하였다.
12. 대상자에게 비약물적 통증경감요법(심호흡법, 조기이상, 상상요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1.대상자는 비약물적 통증경감요법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었고, 설명하며, 시범 보일 수 있었다.
2.Visual analog scale상 통증이 0으로 감소되었다.
5월 18일
0-1-2-3-4-5-6-7-8-9-10
5월 19일
0-1-2-3-4-5-6-7-8-9-10
5월 20일
0―2-3-4-5-6-7-8-9-10
3.통증은 완화되었으나 진통제의 사용은 그대로 용량을 유지하면서 사용하고 있었다.
4.대상자의 활력징후는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5/18
B.P.
T
P
MD
130/80
37.4
78
8PM
130/80
36.8
74
5/19
B.P.
T
P
6AM
110/70
36
80
2PM
120/80
36
80
8PM
130/80
36.2
80
5/20
B.P.
T
P
6AM
100/70
36.8
72
2PM
120/80
36.5
80
8PM
120/80
36.4
74
#3. 환경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간호평가
< S-DATA >
“8인실이라 잠을 잘 못자겠네”
“나는 신경이 원래 예민한데.”
“코고는 소리가 너무 심해.”
“쉽게 잠을 잘 못자요”
“의사선생님께 수면제를 처방해달라고 해주세요.”
< O-DATA >
1.대상자의 진단명은 Brain Tumor 이다.
2.수면양상변화 : 주로 낮에 수면을 취함.
3.수면 중 자주 깸(6회 이상)(보호자, 활력징후 측정 시 관찰, night nurse 관찰)
4.8인실 사용하고 있다.
5.5월19일 눈이 충혈 되고 하품을 하며, 기운이 없어 보였다.
6. 대상자의 활력징후측정결과
5/18
B.P.
T
P
MD
130/80
37.4
78
8PM
130/80
36.8
74
< 장기 목표>
대상자는 수면장애가 사라질 것이다.
< 단기 목표 >
1.대상자는 하루에 7~8시간의 수면을 취한다.
2.대상자는 수면 부족의 신체적, 심리적 징후가 사라진다.
3.대상자는 수면제 없이도 숙면을 취할 수 있다.
4.대상자는 수면시간 증가에 따라 48시간이내에 자신의 수면 양에 대해 만족감이 증가했다고 표현한다.
5 대상자는 취침 전 이완요법을 시행 할 수 있다.
< 진단적 계획 >
1.대상자의 활력징후를 8시간마다 측정한다.
2.대상자의 수면장애요인과 수면부족 징후를 사정한다.
(원인과 징후를 사정함으로써 그 원인을 제거하고, 징후를 사라지기 위해서 간호중재를 계획할 수 있다.)
3.대상자의 수면시간을 체크한다.
< 치료적 계획 >
4.대상자가 낮에는 가능한 깨어있도록 하고 밤에는 수면을 증진하는 방법을 계획한다.
(낮에 자는 것보다 밤에 자는 것이 바이오리듬에 좋고, 환자가 더 개운하게 느낄 수 있다.)
5.대상자의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환경으로 바꾸어준다.
6.필요시 의사 처방에 의거하여 수면제를 투여한다.
< 교육적 계획 >
7.대상자에게 이완요법을 가르치고 취침 시 실시하도록 교육한다.
5/18
B.P.
T
P
MD
130/80
37.4
78
8PM
130/80
36.8
74
5/19
B.P.
T
P
6AM
110/70
36
80
2PM
120/80
36
80
8PM
130/80
36.2
80
5/20
B.P.
T
P
6AM
100/70
36.8
72
2PM
120/80
36.5
80
8PM
120/80
36.4
74
1.대상자의 활력징후는 8시간마다 측정하였다.
2.대상자의 수면장애요인과 수면부족 징후를 사정하였다.
①대상자 수면장애요인
a.다인실 사용 b.소음
②수면부족징후
a.충혈된 눈
b.기운이 없어 보임
c.눈 밑 그림자
d.하품을 자주함.
일시
수면시간
5월 18일
2시간
5월 19일
5시간
5월 20일
7시간
3.대상자의 수면시간을 체크 하였다.
4.낮잠은 자지 않도록 하고, 낮에 낮잠보다는 Ambulation하도록 하였다.
5. 조용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다른 환자와 보호자분에게 늦게까지 텔레비전을 보지 않도록 하였고, 다른 보호자분들에 방문을 자제하여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6.의사의 수면제 처방이 없어 투여하지 않았다.
7.명상요법, 심상요법을 교육하고 취침 전 실시하도록 교육했다.
일시
수면시간
5월 18일
2시간
5월 19일
5시간
5월 20일
7시간
1.대상자는 점차 수면시간이 증가하여 하루 7시간의 수면을 취하였다.
2.대상자는 눈이 충혈 되지 않았고 기운 있어 보이며, 하품을 하는 횟수가 줄어들었다.
3.대상자는 수면제 없이 숙면을 취했다.
4.대상자는 수면시간에 대해 만족감이 증가하였다고 표현했다.
5 대상자는 취침 전 이완요법을 시행하였다.
  • 가격1,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6.10.06
  • 저작시기201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10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