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CP(두개내압상승)
☺정의
☺원인
☺증상/증후
-두개내압 사정-
-증상에 따른 간호-
☺병태생리
☺치료
☺수술
☺정의
☺원인
☺증상/증후
-두개내압 사정-
-증상에 따른 간호-
☺병태생리
☺치료
☺수술
본문내용
을 감소시킨다. 고삼투성 제제 사용할 때 뇌조직과 혈액과의 삼투압 차이가 거꾸로 역전되어 반동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4) 스테로이드 제제(ex:dexamethasone, methylpresnisolone) 투여는 뇌압상승에 따른 부종을 조절한다.
5) 이뇨제(ex:furosemide)는 신장에서 Na 재흡수와 수분의 재흡수를 억제함으로써 혈청 삼투성의 증가를 일으키지 않고 뇌압을 저하시킨다. 고삼투성 제제는 혈뇌관문이 정상적인 상태에서만 효과가 있으나 furosemide는 혈뇌관문이 병적인 상태에서도 뇌부종을 감소시킬 수 있다.
6) 신경근 차단제는 제뇌강직과 저체온을 조절하고, 뇌혈류를 감소시킨다.
7) 저체온은 뇌혈류량을 감소시키고 뇌 대사가 저하되므로 뇌압이 감소되지만, 이 방법은 매우 제한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8) 변비예방을 위해 대변완화제와 고섬유식이를 준다.
9) 심호흡, 기침, 체위배액은 주의하여 실시하고, 사용시간이 길어서는 안된다.
10) 체위배액 시에는 머리를 아래로 향하거나 수평을 유지하는 체위는 피하고 체위를 변형하여 실시한다.
11) 뇌압상승 환자에게 억제대를 사용할 때는 심사숙고하여 결정하고, 환자가 억제에 대해 저항하면 뇌압상승이 더 심해지기 때문에 사용할 때는 반드시 가족이나 간병인이 환자 곁에 항상 있어야 한다.
12) 체온을 자주 측정하고 고체온에서 뇌세포는 산소와 포도당을 요구하고 두개내로 혈액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체온상승은 즉시 치료한다.
13) 유해자극은 경련을 유발시켜 뇌압을 상승시킴으로 최소한으로 줄이고, 불빛은 희미하게 하며, 고통을 주는 간호행위는 가능한 줄인다.
14)barbiturate투여
-고장액 치료나 과호흡에 반응이 없는 경우에 다량의 진정제를 투여 할 수도 있다.
-뇌이 대사감소->뇌의 산소 요구량 감소->진정효과
수술
내감압술: 뇌압상승의 원인이 되는 종양이나 혈종을 제거하여 두개 내 공간을 확보
EVD(extra ventricular drainage:뇌척수액 체외배액)
뇌실들 사이에서 폐색이 일어나 CSF순환이 막혔을 때 뇌실 복막측으로 실시4
뇌실절개 및 배액관 삽입은 뇌압을 감소시키는 가장 간단하고 빠른 방법, 머리를 20°정도 상승시켜 정맥배액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
뇌 절제(뇌 용적을 감소시킴)
두개골 절제(뇌의 압박을 감소시킴) :두부손상에서 두개골의 일부를 제거하여 뇌부종에 의 한 뇌압상승을 방지
4) 스테로이드 제제(ex:dexamethasone, methylpresnisolone) 투여는 뇌압상승에 따른 부종을 조절한다.
5) 이뇨제(ex:furosemide)는 신장에서 Na 재흡수와 수분의 재흡수를 억제함으로써 혈청 삼투성의 증가를 일으키지 않고 뇌압을 저하시킨다. 고삼투성 제제는 혈뇌관문이 정상적인 상태에서만 효과가 있으나 furosemide는 혈뇌관문이 병적인 상태에서도 뇌부종을 감소시킬 수 있다.
6) 신경근 차단제는 제뇌강직과 저체온을 조절하고, 뇌혈류를 감소시킨다.
7) 저체온은 뇌혈류량을 감소시키고 뇌 대사가 저하되므로 뇌압이 감소되지만, 이 방법은 매우 제한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8) 변비예방을 위해 대변완화제와 고섬유식이를 준다.
9) 심호흡, 기침, 체위배액은 주의하여 실시하고, 사용시간이 길어서는 안된다.
10) 체위배액 시에는 머리를 아래로 향하거나 수평을 유지하는 체위는 피하고 체위를 변형하여 실시한다.
11) 뇌압상승 환자에게 억제대를 사용할 때는 심사숙고하여 결정하고, 환자가 억제에 대해 저항하면 뇌압상승이 더 심해지기 때문에 사용할 때는 반드시 가족이나 간병인이 환자 곁에 항상 있어야 한다.
12) 체온을 자주 측정하고 고체온에서 뇌세포는 산소와 포도당을 요구하고 두개내로 혈액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체온상승은 즉시 치료한다.
13) 유해자극은 경련을 유발시켜 뇌압을 상승시킴으로 최소한으로 줄이고, 불빛은 희미하게 하며, 고통을 주는 간호행위는 가능한 줄인다.
14)barbiturate투여
-고장액 치료나 과호흡에 반응이 없는 경우에 다량의 진정제를 투여 할 수도 있다.
-뇌이 대사감소->뇌의 산소 요구량 감소->진정효과
수술
내감압술: 뇌압상승의 원인이 되는 종양이나 혈종을 제거하여 두개 내 공간을 확보
EVD(extra ventricular drainage:뇌척수액 체외배액)
뇌실들 사이에서 폐색이 일어나 CSF순환이 막혔을 때 뇌실 복막측으로 실시4
뇌실절개 및 배액관 삽입은 뇌압을 감소시키는 가장 간단하고 빠른 방법, 머리를 20°정도 상승시켜 정맥배액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
뇌 절제(뇌 용적을 감소시킴)
두개골 절제(뇌의 압박을 감소시킴) :두부손상에서 두개골의 일부를 제거하여 뇌부종에 의 한 뇌압상승을 방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