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목적
3) 준비물품
4) 처치순서
5) ICP의 파형
6) 간호관리
2) 목적
3) 준비물품
4) 처치순서
5) ICP의 파형
6) 간호관리
본문내용
시에 따라 Drain시킵니다.
● ICP 주입부위는 특히 감염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지 살펴야 합니다.
● Drain시 환자의 곁을 떠나지 않아야 하며, Drain시키는 중간중간에 ICP수치를 확인합 니다 (Drain시킨 후,환자의 곁을 떠날 경우 부주의로 많은 뇌척수액이 단시간에 배액 될 수 있습니다).
● 매 근무 교대시마다 배액량을 기록합니다.
● ICP 주입부위는 특히 감염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지 살펴야 합니다.
● Drain시 환자의 곁을 떠나지 않아야 하며, Drain시키는 중간중간에 ICP수치를 확인합 니다 (Drain시킨 후,환자의 곁을 떠날 경우 부주의로 많은 뇌척수액이 단시간에 배액 될 수 있습니다).
● 매 근무 교대시마다 배액량을 기록합니다.
추천자료
Hydrocephalus(뇌수종, 뇌수두증)
학교에서 일어날 수 있는 손상에 대한 응급처치
ICH , IVH, Hydrocephalus 문헌고찰
신경계 진단 검사
ICH(대뇌내출혈)
CVA(뇌졸중), jaundice(황달) case study
지주막하출혈(SAH), 거미막하출혈 case
뇌내출혈에 대한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성인간호 IICH (Intra Cerebral Hemorrhage) 뇌내출혈 케이스
[신경외과] SAH(Subarachnoid hemorrhage) 지주막하출혈
마취의 종류와 간호
[약리학] 비뇨기계에 작용하는 약물, 이뇨제, Diuretics, 항통풍약, Antigout drugs, 전립선...
[약리학] 비뇨기계약물, 이뇨제, Diuretics, , Loop 이뇨약, Thiazide계 이뇨약, K+ 보존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