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Brain CT
MRI
두개골 X-선 촬영
Evoked potential
TCD
Myelography
Cerebral Angiography
EEG
EMG
혈장삼투압 검사
전해질 검사
Serum protein
MRI
두개골 X-선 촬영
Evoked potential
TCD
Myelography
Cerebral Angiography
EEG
EMG
혈장삼투압 검사
전해질 검사
Serum protein
본문내용
한 병소에서 이상 뇌파가 나타나고 이상뇌파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시기는 과호흡이 끝난 직후이다.
*수면 : 수면 뇌파는 정상인에서는 좌우 대칭적으로 같다.
*광자극 : 대상자에게 눈을 감도록 한 후 후레쉬와 같이 순간적인 강한 빛을 비춤으로 써 이상 뇌파를 유발시키는 방법이다.
⑧결과를 분석한다.
: 서파는 뇌의 기질적 병소나 전반적인 뇌기능 저하에서 볼 수 있다.
<간호>
①검사후 전극을 제거하고 두피와 머리에 붙은 젤리를 제거한다.
②머리를 감도록 하고 필요시 옷을 입도록 돕는다.
③진정제를 복용했던 대상자에게는 침대난간등을 올려주어 낙상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한다.
EMG
근육으로 가는 신경을 자극하여 근육에서 나타나는 반응을 보는 검사인데 추간판 탈출증에 의하여 신경근이 자극받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객관적 검사이다.
혈장삼투압 검사
SIADH, 탈수, 요붕증 등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로서 정맥혈을 5~10ml 채취를 하는데, 음식과 수분 제한은 필요하지 않다.
삼투압은 용매에 녹아 있는 용질의 mole 농도와 비례하므로 1L수분중의 milliosmol 수를 단위로 mOsm/L 로 표시한다. 정상 혈장삼투압은 285~295mOsm/L 이다. 혈장 삼투압은 전해질 농도, 특히 Na의 농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혈장삼투압(mOsm/L )= 1.86× Na(mmol/L) + glucose(mg/dl) /18 + BUN(mg/dl) /2.8≒2×Na
기준범위 : 270 ~310mOsm/L
전해질 검사
전해질이란 체액에 녹아 있는 전기를 잘 통하게 하는 이온으로 전해질 검사를 통해 혈액 속에 있는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칼슘 이온 등 우리 몸에 필요한 전해질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전해질은 신경 자극의 전달, 지혈, 근육의 수축 등과 같은 생리 작용을 하는데, 건강한 상태에서는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질병에 걸리게 되면 체액의 전해질 농도가 변화할 수 있으므로 전해질의 농도를 측정하여 질병이나 장기의 장애 등 진단의 용도로 사용된다.
Serum protein
총단백은 대부분 알부민과 글로불린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혈청 단백검사의 이용은 단백질 전기영동 검사가 가능할 때만 check 할 수 있다. 혈청 단백질 전기영동은 알부민 α-1, α-2, β, γ 글로불린으로 다양한 단백질 분절이 분류되는 하나의 과정이다. 알부민은 형청 교질삼투압을 유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맡는다.
신경계 진단 검사
*수면 : 수면 뇌파는 정상인에서는 좌우 대칭적으로 같다.
*광자극 : 대상자에게 눈을 감도록 한 후 후레쉬와 같이 순간적인 강한 빛을 비춤으로 써 이상 뇌파를 유발시키는 방법이다.
⑧결과를 분석한다.
: 서파는 뇌의 기질적 병소나 전반적인 뇌기능 저하에서 볼 수 있다.
<간호>
①검사후 전극을 제거하고 두피와 머리에 붙은 젤리를 제거한다.
②머리를 감도록 하고 필요시 옷을 입도록 돕는다.
③진정제를 복용했던 대상자에게는 침대난간등을 올려주어 낙상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한다.
EMG
근육으로 가는 신경을 자극하여 근육에서 나타나는 반응을 보는 검사인데 추간판 탈출증에 의하여 신경근이 자극받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객관적 검사이다.
혈장삼투압 검사
SIADH, 탈수, 요붕증 등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로서 정맥혈을 5~10ml 채취를 하는데, 음식과 수분 제한은 필요하지 않다.
삼투압은 용매에 녹아 있는 용질의 mole 농도와 비례하므로 1L수분중의 milliosmol 수를 단위로 mOsm/L 로 표시한다. 정상 혈장삼투압은 285~295mOsm/L 이다. 혈장 삼투압은 전해질 농도, 특히 Na의 농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혈장삼투압(mOsm/L )= 1.86× Na(mmol/L) + glucose(mg/dl) /18 + BUN(mg/dl) /2.8≒2×Na
기준범위 : 270 ~310mOsm/L
전해질 검사
전해질이란 체액에 녹아 있는 전기를 잘 통하게 하는 이온으로 전해질 검사를 통해 혈액 속에 있는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칼슘 이온 등 우리 몸에 필요한 전해질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전해질은 신경 자극의 전달, 지혈, 근육의 수축 등과 같은 생리 작용을 하는데, 건강한 상태에서는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질병에 걸리게 되면 체액의 전해질 농도가 변화할 수 있으므로 전해질의 농도를 측정하여 질병이나 장기의 장애 등 진단의 용도로 사용된다.
Serum protein
총단백은 대부분 알부민과 글로불린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혈청 단백검사의 이용은 단백질 전기영동 검사가 가능할 때만 check 할 수 있다. 혈청 단백질 전기영동은 알부민 α-1, α-2, β, γ 글로불린으로 다양한 단백질 분절이 분류되는 하나의 과정이다. 알부민은 형청 교질삼투압을 유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맡는다.
신경계 진단 검사
키워드
추천자료
약물남용
뇌척수액, 소변검사, 혈장삼투압
충추신경계
경막하출혈 케이스 스터디
뇌내출혈(ICH)와 뇌동맥류
응급실 케이스
뇌출혈 환자 case study
내과중환자실 case study(miliary TB)
다발성 골수종 케이스 Case
[신경과]의학용어 정리 및 해설
의학용어 요약
[간호관리학] 중환자실(ICU (intensive care unit)) 간호사의 직무분석 : 일반 간호사 (직무...
CARS(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ccu case) 급성관상동맥증후군 (NSTMI Non ST elevation myocardiac infarction 비 ST절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