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CP의 구성요소
2. ICP안정상태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ICP 상승의 원인
4. ICP 측정방법
5. 조절기전
6. ICP 관리
2. ICP안정상태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ICP 상승의 원인
4. ICP 측정방법
5. 조절기전
6. ICP 관리
본문내용
있다.
⑨ 기침, 긴장, 호흡기와의 스트레스에 의한 급작스러운 두개강내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투여되는 pancuronium과 같은 신경근 마비를 초래하는 물질의 효과를 모니터한다.
⑩ 발열에 대해 철저히 치료한다. 발열은 두개내 혈류를 증가시키고 급작스러운 뇌압의 상승은 높은 강도의 발열을 동반한다. 또한 감염은 두개강내압 상승에 흔히 동반되는 증상이다.
⑪ 인위적으로 혼수상태를 유도하여 뇌대사를 저하시키고 뇌혈류량과 두개강내압의 저하를 위해 고용량의 barbiturate와 다른 마취제를 처방대로 투여한다.
⑫ ICP를 상승시킬 수 있는 체위나 활동은 피한다. 신체선열을 유지하고 목을 구부리거나 돌리는 것은 정맥귀환을 상승시키므로 피하도록 한다. (흡인과 자극의 최소화, 침상머리를 30도 정도 올림)
⑨ 기침, 긴장, 호흡기와의 스트레스에 의한 급작스러운 두개강내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투여되는 pancuronium과 같은 신경근 마비를 초래하는 물질의 효과를 모니터한다.
⑩ 발열에 대해 철저히 치료한다. 발열은 두개내 혈류를 증가시키고 급작스러운 뇌압의 상승은 높은 강도의 발열을 동반한다. 또한 감염은 두개강내압 상승에 흔히 동반되는 증상이다.
⑪ 인위적으로 혼수상태를 유도하여 뇌대사를 저하시키고 뇌혈류량과 두개강내압의 저하를 위해 고용량의 barbiturate와 다른 마취제를 처방대로 투여한다.
⑫ ICP를 상승시킬 수 있는 체위나 활동은 피한다. 신체선열을 유지하고 목을 구부리거나 돌리는 것은 정맥귀환을 상승시키므로 피하도록 한다. (흡인과 자극의 최소화, 침상머리를 30도 정도 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