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자기 성찰의 맑은 거울
2부 문화 공감과 소통의 글
3부 운문호일의 시와 언어
4부 부드러움의 더 강한 힘
총평
참고문헌
2부 문화 공감과 소통의 글
3부 운문호일의 시와 언어
4부 부드러움의 더 강한 힘
총평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세월을 정리하며 스스로의 부족함을 이야기하고 있다. 끊임없이 성찰하는 그의 모습을 통해 앞으로 그의 글이 얼마나 더 빛이 날지 기대되는 바이다. 저자는 책머리에서 좋은 비평은 작가와 작품에 대한 따뜻한 애정에서 시작된다고 말했다. 그는 좋은 비평에 대한 자신의 정의를 증명하듯 <영혼의 숨겨진 보화>에서 실제로 많은 작가와 작품에 대한 그만의 따뜻한 애정을 선보였다. 단지 작품에만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작가 내부를 되짚어보기 위한 그의 노력들은 독자가 작품만을 보고 느끼지 못했을 작품의 가치를 그의 비평을 통해 느끼게 하였다. 바로 이러한 것이 비평의 목적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책을 읽으며 매순간 연습 삼아 비평을 해오던 나의 글들이 얼마나 부족했는지를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글쓰기에 대한 열정도 부족하고 좋은 글을 쓰기 위한 연습도 미약하다는 것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수많은 글을 읽고 외우며 자신만의 글을 만들어내기 위해 노력한 저자와 비교했을 때 나의 노력은 보잘 것 없었다. 이러한 점에서 이 책은 내게 전환점을 마련해주었다. 지금까지의 시간을 성찰하고 앞으로 더 나은 글쓰기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글을 쓸 때마다 지금의 깨달음을 매순간 기억한다면 느리지만 조금씩 발전해나갈 수 있으리란 확신도 얻었다. 성찰은 분명 발전의 기회를 준다. 글뿐만 아니라 삶 자체에 대한 성찰은 가치 있는 삶을 살아가기 위한 필수 덕목이다.
동일한 작품에 대해서도 비평가에 따라 서로 다른 관점에 비평을 쓴다. 비평에는 옳고 그름이 없다. 호불호가 있을 뿐이다. 그럼에도 비평가에게는 공감과 소통이라는 책무가 있다. 자신과 같은 작품을 읽은 독자가 비평가의 글을 읽고 공감하기 위해서는 진심을 담아 글을 써야 한다. 작품 이면의 모습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작품에 대한 애정이 필요하다. 작가가 어떠한 마음으로 작품을 썼는지 탐구하다보면 작품을 읽을 때 드러나지 않았던 여러 가지 감상을 떠올릴 수 있다. 하나의 작품에 애정을 가진 비평가들의 글이 더해질 때 해당 작품의 가치는 더욱 빛날 수 있다. 비평가의 글을 읽고 새로운 깨달음을 얻은 후 작품을 다시 읽는다면 처음과는 다른 감정을 느낄 수 있다. 이것이 비평을 하는 이유이자, 비평의 목적이라고 생각한다. 저자는 문학 속 숨겨진 보화를 찾는 탐험가이자 그것의 가치를 빛나게 하는 세공가와 같은 역할을 했다. 원석을 다듬어 빛을 더하듯 저자는 평생에 걸쳐 이러한 작업을 반복해왔다. 그럼에도 교만하지 않고 늘 겸손한 태도를 갖는 그의 마음가짐은 글을 쓰는 사람뿐만 아니라 저마다의 일에 최선을 다하고 있는 모두에게 큰 울림을 준다. 우리는 하루하루 최선을 다하며 살아가고 있다. 매일 반복되는 일상을 보내는 것 같지만 최선을 다한 하루하루가 쌓인 후 그 시간을 되돌아보면 누구나 <영혼의 숨겨진 보화>와 같은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다. 나 역시 한 분야에 걸쳐 스스로에게 부끄럽지 않은 결실을 만들어내는 삶을 살아가고자 한다.
참고문헌
- 김종회(2019). 영혼의 숨겨진 보화. 민음사
책을 읽으며 매순간 연습 삼아 비평을 해오던 나의 글들이 얼마나 부족했는지를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글쓰기에 대한 열정도 부족하고 좋은 글을 쓰기 위한 연습도 미약하다는 것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수많은 글을 읽고 외우며 자신만의 글을 만들어내기 위해 노력한 저자와 비교했을 때 나의 노력은 보잘 것 없었다. 이러한 점에서 이 책은 내게 전환점을 마련해주었다. 지금까지의 시간을 성찰하고 앞으로 더 나은 글쓰기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글을 쓸 때마다 지금의 깨달음을 매순간 기억한다면 느리지만 조금씩 발전해나갈 수 있으리란 확신도 얻었다. 성찰은 분명 발전의 기회를 준다. 글뿐만 아니라 삶 자체에 대한 성찰은 가치 있는 삶을 살아가기 위한 필수 덕목이다.
동일한 작품에 대해서도 비평가에 따라 서로 다른 관점에 비평을 쓴다. 비평에는 옳고 그름이 없다. 호불호가 있을 뿐이다. 그럼에도 비평가에게는 공감과 소통이라는 책무가 있다. 자신과 같은 작품을 읽은 독자가 비평가의 글을 읽고 공감하기 위해서는 진심을 담아 글을 써야 한다. 작품 이면의 모습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작품에 대한 애정이 필요하다. 작가가 어떠한 마음으로 작품을 썼는지 탐구하다보면 작품을 읽을 때 드러나지 않았던 여러 가지 감상을 떠올릴 수 있다. 하나의 작품에 애정을 가진 비평가들의 글이 더해질 때 해당 작품의 가치는 더욱 빛날 수 있다. 비평가의 글을 읽고 새로운 깨달음을 얻은 후 작품을 다시 읽는다면 처음과는 다른 감정을 느낄 수 있다. 이것이 비평을 하는 이유이자, 비평의 목적이라고 생각한다. 저자는 문학 속 숨겨진 보화를 찾는 탐험가이자 그것의 가치를 빛나게 하는 세공가와 같은 역할을 했다. 원석을 다듬어 빛을 더하듯 저자는 평생에 걸쳐 이러한 작업을 반복해왔다. 그럼에도 교만하지 않고 늘 겸손한 태도를 갖는 그의 마음가짐은 글을 쓰는 사람뿐만 아니라 저마다의 일에 최선을 다하고 있는 모두에게 큰 울림을 준다. 우리는 하루하루 최선을 다하며 살아가고 있다. 매일 반복되는 일상을 보내는 것 같지만 최선을 다한 하루하루가 쌓인 후 그 시간을 되돌아보면 누구나 <영혼의 숨겨진 보화>와 같은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다. 나 역시 한 분야에 걸쳐 스스로에게 부끄럽지 않은 결실을 만들어내는 삶을 살아가고자 한다.
참고문헌
- 김종회(2019). 영혼의 숨겨진 보화. 민음사
추천자료
[독후감] 잭 캔필드(Jack Canfield) & 마크 빅터한센(Mark Victor Hansen)의 <영혼을 위...
[독후감][서평] 문학에서 세상을 만나다
반 고흐 영혼의 편지 독후감 - 영혼의 편지 가장 인상깊었던 내용과 나의생각과 책을 읽고 얻...
반 고흐 영혼의 편지 독후감,서평
비평 ) 김종회 저, 영혼의 숨겨진 보화를 읽고, 비평적 감상문을 쓰시오
요약감상 ) 김종회 영혼의 숨겨진보화를 읽고 1부 2부 3부 4부 각 1부씩 A4 용지 1장 분량으...
감상문 ) 김종회 저, 『영혼의 숨겨진 보화』(민음사, 2019)를 읽고, 비평적 감상문을 쓰시오...
비평적감상문 ) 영혼의 숨겨진 보화 비평적 감상문
[독후감][비평적 감상문] 천재들의 초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