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2. 본론
3. 결론
본문내용
있는 것이다.
크리스가 도착한 로즈의 집의 분위기는 완벽한 좌우 대칭을 보여주고 있는데, 해당 대칭의 경우에는 액자식 대칭으로 크리스가 무언가 갇힌 공간으로 들어간다는 느낌을 준다. 이러한 것을 감독이 의도하였다는 것은 감독판 영화에서 더 잘 드러나는데, 감독판에서 집의 모두를 죽인 이후에 크리스가 감옥에 들어가는 장면은 크리스가 로즈의 집과 들어가는 장면과 동일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는 경매를 하는 장면에서도 나타나는데 인물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는 구조 속에서 크리스의 사진은 액자 속에 갇혀있음을 반복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음악의 사용에 있어서도 미스테리로서의 공포적인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는데, 크리스가 밤에 밖에서 담배를 피우려고 하는 장면에서 크리스에게 어떠한 흑인이 달려오는 장면에서는 기괴한 음악을 삽입하여 크리스가 느끼는 공포에 공감하게 하는 동시에 화면의 전환과 함께 효과음을 넣어 창문에서 서 있는 여성 또한 이상하다는 인식을 강하게 심어준다.
결론
영화는 계속해서 프레임 속에 인물들을 가둠으로써 인물이 갇혀있음을 나타내는 동시에 갇혀있는 대상이 영화 속의 인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도 포함됨을 알려주고 있다. 영화의 인물들을 우리를 화면 너머의 우리를 바라보면서 우리 또한 그들이 만들어놓은 고정관념에 사로잡혀 갇혀있다는 인식을 주는 것이다.
겟 아웃이라는 영화는 스토리 자체로도 탄탄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화면 구성에 있어서 대비와 대칭을 통해 주제 인식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는 작품이며, 화면 밖에 있는 우리마저도 하나의 구성으로서 영화를 형성하고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크리스가 도착한 로즈의 집의 분위기는 완벽한 좌우 대칭을 보여주고 있는데, 해당 대칭의 경우에는 액자식 대칭으로 크리스가 무언가 갇힌 공간으로 들어간다는 느낌을 준다. 이러한 것을 감독이 의도하였다는 것은 감독판 영화에서 더 잘 드러나는데, 감독판에서 집의 모두를 죽인 이후에 크리스가 감옥에 들어가는 장면은 크리스가 로즈의 집과 들어가는 장면과 동일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는 경매를 하는 장면에서도 나타나는데 인물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는 구조 속에서 크리스의 사진은 액자 속에 갇혀있음을 반복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음악의 사용에 있어서도 미스테리로서의 공포적인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는데, 크리스가 밤에 밖에서 담배를 피우려고 하는 장면에서 크리스에게 어떠한 흑인이 달려오는 장면에서는 기괴한 음악을 삽입하여 크리스가 느끼는 공포에 공감하게 하는 동시에 화면의 전환과 함께 효과음을 넣어 창문에서 서 있는 여성 또한 이상하다는 인식을 강하게 심어준다.
결론
영화는 계속해서 프레임 속에 인물들을 가둠으로써 인물이 갇혀있음을 나타내는 동시에 갇혀있는 대상이 영화 속의 인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도 포함됨을 알려주고 있다. 영화의 인물들을 우리를 화면 너머의 우리를 바라보면서 우리 또한 그들이 만들어놓은 고정관념에 사로잡혀 갇혀있다는 인식을 주는 것이다.
겟 아웃이라는 영화는 스토리 자체로도 탄탄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화면 구성에 있어서 대비와 대칭을 통해 주제 인식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는 작품이며, 화면 밖에 있는 우리마저도 하나의 구성으로서 영화를 형성하고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