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작배경(원작소개)
2. 기획의도
1) 원작 드라마의 화제성
2) 콘텐츠를 활용하는 매체의 다양화
3) 글로벌 콘텐츠로의 도약
4) 시의적절한 주제와 소재
3. 공연개요
4. 배우, 스태프 소개
5. 작품소개
1) 줄거리
2) 시놉시스
3) 뮤지컬 넘버
4) 장면별 노래가사
5) 무대나 공연 관련 사진
2. 기획의도
1) 원작 드라마의 화제성
2) 콘텐츠를 활용하는 매체의 다양화
3) 글로벌 콘텐츠로의 도약
4) 시의적절한 주제와 소재
3. 공연개요
4. 배우, 스태프 소개
5. 작품소개
1) 줄거리
2) 시놉시스
3) 뮤지컬 넘버
4) 장면별 노래가사
5) 무대나 공연 관련 사진
본문내용
금 7시 30분 /주말 및 공휴일 2시, 6시 (월 공연 없음)
러닝타임: 120분(인터미션: 20분)
관람등급: 만 15세 이상 관람가
가격: VIP 100,000원, R 90,000원, S 75,000원, A 30,000원
주최: 오디컴퍼니㈜, 충무아트센터, 넷플릭스서비시스코리아
4. 배우, 스태프 소개
[배우]
성기훈역: 조정석, 강하늘
조상우역: 송창의, 류정한
오일남역: 민영기, 정성화
강새벽역: 정선아, 차지연
[스태프]
원작: 황동혁 감독
작곡: 안예은
연출: 심설인
무대디자인: 인혜란
의상디자인: 안현주
분장디자인: 채송화
조명디자인: 민경수
음향디자인: 김지현
영상디자인: 박상연
소품디자인: 정애솔
무대감독: 강필수, 강은미
5. 작품소개
1) 줄거리
주인공인 성기훈은 이혼을 당해 노모와 함께 살고 있다. 도박으로 딴 돈을 소매치기를 당하고, 사채업자에게 쫓겨 신체포기각서를 쓴다. 딸의 생일선물조차 제대로 챙겨주지 못하고 쓸쓸히 귀가하던 중 정장 차림의 남자가 나타나 10만원을 걸고 딱지치기를 제안하고, 기훈은 딱지치기를 통해 거금을 번다. 이후 정장 남자로부터 오징어게임 초대장을 받는데, 딸조차 결별한 아내를 따라 해외로 이민을 갈 예정이라는 것을 알게 된 후 충동적으로 초대장에 적혀있는 번호로 전화를 건다. 수면가스로 인해 잠이 들고 깨어나 보니 게임장에서 456번의 번호를 달고 깨어난다. 딱지치기로 돈을 번 것과 같이 이번에도 게임을 하면 456억의 상금을 벌 수 있다는 음성 설명이 나오면서 운동장으로 이동해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그런데 게임 과정에서 사망자가 나오면서 사람들은 겁을 먹었고, 결국 게임 중단을 요청하여 게임은 중단되게 된다. 그러나 현실로 돌아온 사람들은 현실도 게임과 다를 바 없이 불행하다는 것을 깨닫고 456억의 상금을 잊지 못해 게임으로 돌아온다. 이후 설탕 뽑기 게임, 편먹기 게임, 구슬게임, 유리판 징검다리 게임을 거쳐 최후의 오징어 게임을 통해 승자를 뽑게 되고, 그 자리는 성기훈이 차지한다. 게임에서 이겼으나 나머지 455명 사람들은 모두 죽었기 때문에 마냥 기쁘지 못한 성기훈은 이후 게임을 주도한 사람이 게임에 함께 참여했던 오일남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사람의 선악에 대한 오일남의 괘변에 혼란을 느낀다. 그 이후 기훈은 다른 사람이 딱지치기 게임을 하는 것을 목격하고 2번째 오징어게임을 막기 위해 발길을 돌리며 끝이 난다.
2) 시놉시스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를 놀라게 한 드라마 <오징어게임>이 뮤지컬로 돌아온다.
456억 원의 상금이 걸린 목숨을 건 서바이벌, 참가자는 빚에 쫓기는 사람들, 최후의 승자는 누가 될 것인가?
3) 뮤지컬 넘버
Act 1
1-1. 오프닝 태풍
1-1. 프롤로그 - 불행의 냄새
2-1. 내기해보자
2-2. 운수 좋은 날
3-1. 무궁화 꽃이 피던 날
3-2. 배틀로얄
4-1. 어디서나 서열은 있다
5-1. 도전과 포기
5-2. 돈 게임은 곧 지옥
5-3. 게임은 재밌어!
6-1. 우산을 쓴 남자
6-2. 별 따내기
7-1. 인생은 편 먹기
7-2. 각자도생
7-3. 위기 속에서 버려지는 것은
8-1. 암흑 속의 평등
8-2. 혼란 속의 질서
9-1. 뒷주머니
9-2. 우린 깐부잖아
Act 2.
10-1. 단 한 걸음
10-2. 논개처럼 숭고하진 않지만
11-1. 프론트맨
11-2. 분열
12-1. 마지막 만찬
12-2. 최후엔 자신밖에 남지 않는다
13-1. 오징어 게임
13-2. 누굴 위한 싸움인가
14-1. 일상으로의 복귀
14-2. 내게 행복을 주는 것
15-1. 오일남
15-2. 인간의 본성
4) 장면별 노래가사
① 장면: 게임에 대한 설명을 듣고 참가자들이 차례대로 찬성, 반대 버튼을 누르는 장면
노래 제목: 도전과 포기 (성기훈役 노래)
==========
진행요원: 다음! 456번! 게임 진행에 찬성할 것인가, 반대할 것인가? 버튼을 누르시오.
성기훈: 아이, 잠시, 잠시만요!
대화도 통하지 않는 이 게임에서,
상식도 통하지 않는 이 게임에서,
도전하는 것이 맞는가?
(기훈이 손을 찬성 버튼으로 옮긴다.)
다 같이: 아냐! 절대 안 돼!
사람이 죽어 나가는 이 게임에서,
언제 죽을지 모르는 이 게임에서,
살아나갈 수 있는가?
(기훈이 손을 반대 버튼으로 옮긴다.)
다 같이: 안 돼! 절대 아냐!
456억을 얻을 수 있는 기회인데
딸과 살 수 있는 기회인데
상금을 받을 순 있는가?
(기훈이 천장에 달려있는 상금을 바라본다.)
다 같이: 아냐! 절대 안 돼!
456명을 이겨야 하는 게임인데
다음 종목조차 모르는 게임인데
목숨을 걸 가치가 있는가?
(기훈이 목을 쓰다듬는다.)
다 같이: 안 돼! 절대 아냐!
성기훈: 그래, 난 결정했소! (반대버튼을 눌러버린다.) 이런 게임에 참여하는 건 말도 안 되지. 나는 반대요!
(암전)
② 장면: 폭우 속에서 성기훈과 조상우 간 벌어지는 오징어 게임 최후의 결전 장면
제목: 누굴 위한 싸움인가 (성기훈役, 조상우役 노래)
==========
(폭우 속 오징어게임 판 위에서 두 사람이 마주본다.)
(기훈)끝이 없는 경쟁, 다른 사람의 발목을 잡아 끌어내리는 싸움
매번 지기만 하는 것도 이젠 정말 지겨워
이 게임에서 나가고 싶어
나가면 뭐가 다른가 싶어
결국 옆 사람을 밟고 올라서야 살아남을 수 있는 걸
(함께)이건 모두의 불행인 걸
이 게임에 승자는 없는 걸
누굴 위한 싸움인지 싸움을 위한 싸움인지
선의의 경쟁이란 허상인지
모두가 행복한 건 상상인지
(상우)성공한 줄 알았지, 다른 사람의 머리 꼭대기 위에 서는 싸움
매번 이길 줄 알았는데 이젠 정말 우스워
아무리 이겨도 끝나지 않아
아무리 이겨도 기쁘지 않아
결국 옆 사람을 불행하게 만들고 위로 올라가는 걸
(함께)이건 모두의 불행인 걸
이 게임에 패자밖에 없는 걸
뭣을 위한 싸움인지 싸움을 위한 싸움인지
도의적 책임이란 허상인지
모두가 행복한 건 상상인지
5) 무대나 공연 관련 사진
① 게임 참가자들이 게임 참가를 위해 도열한 모습 예시 출처: 뮤지컬 영웅
② 게임 진행요원이 참가자를 사살하는 모습 예시 출처: 서울종합예술실용학교 무용예술계열 졸업발표회
러닝타임: 120분(인터미션: 20분)
관람등급: 만 15세 이상 관람가
가격: VIP 100,000원, R 90,000원, S 75,000원, A 30,000원
주최: 오디컴퍼니㈜, 충무아트센터, 넷플릭스서비시스코리아
4. 배우, 스태프 소개
[배우]
성기훈역: 조정석, 강하늘
조상우역: 송창의, 류정한
오일남역: 민영기, 정성화
강새벽역: 정선아, 차지연
[스태프]
원작: 황동혁 감독
작곡: 안예은
연출: 심설인
무대디자인: 인혜란
의상디자인: 안현주
분장디자인: 채송화
조명디자인: 민경수
음향디자인: 김지현
영상디자인: 박상연
소품디자인: 정애솔
무대감독: 강필수, 강은미
5. 작품소개
1) 줄거리
주인공인 성기훈은 이혼을 당해 노모와 함께 살고 있다. 도박으로 딴 돈을 소매치기를 당하고, 사채업자에게 쫓겨 신체포기각서를 쓴다. 딸의 생일선물조차 제대로 챙겨주지 못하고 쓸쓸히 귀가하던 중 정장 차림의 남자가 나타나 10만원을 걸고 딱지치기를 제안하고, 기훈은 딱지치기를 통해 거금을 번다. 이후 정장 남자로부터 오징어게임 초대장을 받는데, 딸조차 결별한 아내를 따라 해외로 이민을 갈 예정이라는 것을 알게 된 후 충동적으로 초대장에 적혀있는 번호로 전화를 건다. 수면가스로 인해 잠이 들고 깨어나 보니 게임장에서 456번의 번호를 달고 깨어난다. 딱지치기로 돈을 번 것과 같이 이번에도 게임을 하면 456억의 상금을 벌 수 있다는 음성 설명이 나오면서 운동장으로 이동해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그런데 게임 과정에서 사망자가 나오면서 사람들은 겁을 먹었고, 결국 게임 중단을 요청하여 게임은 중단되게 된다. 그러나 현실로 돌아온 사람들은 현실도 게임과 다를 바 없이 불행하다는 것을 깨닫고 456억의 상금을 잊지 못해 게임으로 돌아온다. 이후 설탕 뽑기 게임, 편먹기 게임, 구슬게임, 유리판 징검다리 게임을 거쳐 최후의 오징어 게임을 통해 승자를 뽑게 되고, 그 자리는 성기훈이 차지한다. 게임에서 이겼으나 나머지 455명 사람들은 모두 죽었기 때문에 마냥 기쁘지 못한 성기훈은 이후 게임을 주도한 사람이 게임에 함께 참여했던 오일남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사람의 선악에 대한 오일남의 괘변에 혼란을 느낀다. 그 이후 기훈은 다른 사람이 딱지치기 게임을 하는 것을 목격하고 2번째 오징어게임을 막기 위해 발길을 돌리며 끝이 난다.
2) 시놉시스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를 놀라게 한 드라마 <오징어게임>이 뮤지컬로 돌아온다.
456억 원의 상금이 걸린 목숨을 건 서바이벌, 참가자는 빚에 쫓기는 사람들, 최후의 승자는 누가 될 것인가?
3) 뮤지컬 넘버
Act 1
1-1. 오프닝 태풍
1-1. 프롤로그 - 불행의 냄새
2-1. 내기해보자
2-2. 운수 좋은 날
3-1. 무궁화 꽃이 피던 날
3-2. 배틀로얄
4-1. 어디서나 서열은 있다
5-1. 도전과 포기
5-2. 돈 게임은 곧 지옥
5-3. 게임은 재밌어!
6-1. 우산을 쓴 남자
6-2. 별 따내기
7-1. 인생은 편 먹기
7-2. 각자도생
7-3. 위기 속에서 버려지는 것은
8-1. 암흑 속의 평등
8-2. 혼란 속의 질서
9-1. 뒷주머니
9-2. 우린 깐부잖아
Act 2.
10-1. 단 한 걸음
10-2. 논개처럼 숭고하진 않지만
11-1. 프론트맨
11-2. 분열
12-1. 마지막 만찬
12-2. 최후엔 자신밖에 남지 않는다
13-1. 오징어 게임
13-2. 누굴 위한 싸움인가
14-1. 일상으로의 복귀
14-2. 내게 행복을 주는 것
15-1. 오일남
15-2. 인간의 본성
4) 장면별 노래가사
① 장면: 게임에 대한 설명을 듣고 참가자들이 차례대로 찬성, 반대 버튼을 누르는 장면
노래 제목: 도전과 포기 (성기훈役 노래)
==========
진행요원: 다음! 456번! 게임 진행에 찬성할 것인가, 반대할 것인가? 버튼을 누르시오.
성기훈: 아이, 잠시, 잠시만요!
대화도 통하지 않는 이 게임에서,
상식도 통하지 않는 이 게임에서,
도전하는 것이 맞는가?
(기훈이 손을 찬성 버튼으로 옮긴다.)
다 같이: 아냐! 절대 안 돼!
사람이 죽어 나가는 이 게임에서,
언제 죽을지 모르는 이 게임에서,
살아나갈 수 있는가?
(기훈이 손을 반대 버튼으로 옮긴다.)
다 같이: 안 돼! 절대 아냐!
456억을 얻을 수 있는 기회인데
딸과 살 수 있는 기회인데
상금을 받을 순 있는가?
(기훈이 천장에 달려있는 상금을 바라본다.)
다 같이: 아냐! 절대 안 돼!
456명을 이겨야 하는 게임인데
다음 종목조차 모르는 게임인데
목숨을 걸 가치가 있는가?
(기훈이 목을 쓰다듬는다.)
다 같이: 안 돼! 절대 아냐!
성기훈: 그래, 난 결정했소! (반대버튼을 눌러버린다.) 이런 게임에 참여하는 건 말도 안 되지. 나는 반대요!
(암전)
② 장면: 폭우 속에서 성기훈과 조상우 간 벌어지는 오징어 게임 최후의 결전 장면
제목: 누굴 위한 싸움인가 (성기훈役, 조상우役 노래)
==========
(폭우 속 오징어게임 판 위에서 두 사람이 마주본다.)
(기훈)끝이 없는 경쟁, 다른 사람의 발목을 잡아 끌어내리는 싸움
매번 지기만 하는 것도 이젠 정말 지겨워
이 게임에서 나가고 싶어
나가면 뭐가 다른가 싶어
결국 옆 사람을 밟고 올라서야 살아남을 수 있는 걸
(함께)이건 모두의 불행인 걸
이 게임에 승자는 없는 걸
누굴 위한 싸움인지 싸움을 위한 싸움인지
선의의 경쟁이란 허상인지
모두가 행복한 건 상상인지
(상우)성공한 줄 알았지, 다른 사람의 머리 꼭대기 위에 서는 싸움
매번 이길 줄 알았는데 이젠 정말 우스워
아무리 이겨도 끝나지 않아
아무리 이겨도 기쁘지 않아
결국 옆 사람을 불행하게 만들고 위로 올라가는 걸
(함께)이건 모두의 불행인 걸
이 게임에 패자밖에 없는 걸
뭣을 위한 싸움인지 싸움을 위한 싸움인지
도의적 책임이란 허상인지
모두가 행복한 건 상상인지
5) 무대나 공연 관련 사진
① 게임 참가자들이 게임 참가를 위해 도열한 모습 예시 출처: 뮤지컬 영웅
② 게임 진행요원이 참가자를 사살하는 모습 예시 출처: 서울종합예술실용학교 무용예술계열 졸업발표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