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1) 서평_상식과 교양으로 읽는 중국의 역사
(2) 서평_중국 수업
3.결론
4.참고문헌
2.본론
(1) 서평_상식과 교양으로 읽는 중국의 역사
(2) 서평_중국 수업
3.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아닌 적게는 수십년에 걸쳐서 걸리는 정책이기에, 아직은 평가하기는 이르다고 말할 수 있다. 사실상 생각해보면 중국이 전 세계적인 이슈, 환경과 같은 이슈에 발 벗고 나선 적이 있었나 생각해보면 잘 있지도 않았고, 워낙 한국에서 흘러나오는 중국에 관한 부정적인 뉴스 때문에 나조차도 편견을 가지고 있었나 생각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나 대통령 직선제를 이뤄내기 위해 수많은 희생을 만들었던 대한민국의 이 정책을, 중국의 선거 민주주의 비판 논리를 보면서 많은 생각을 들게 만들었다. 시진핑이 자신의 장기 집권을 위해서 계속하여 법을 위법하며, 제정하는 것을 보고 저것이 과연 21세기에 맞는 일인것인가 굉장하게 고민했었는데, 이들의 논리에 사실 민주주의가 모든 나라에게 완벽한 정답은 아닌가라는 생각을 조금은 하게 되었다.
이들의 논리는 공산주의, 그리고 사회주의의 이론이 모두 중국에 관통하는 이론은 아니라고 설명한다. 민주주의는 보통 엘리트들이 집권하지만, 중국의 리더는 사실 능력자를 선출한다고 주장한다. 사실 이에 관해서는 미국의 트럼프, 대한민국의 박근혜와 같은 어딘가 결함이 있는 리더가 선출될 수 있다는 민주주의에 아주 큰 팩트를 날린 것임은 틀림없다. 또한 단순하게 자신의 정당의 부와 승리를 위해서 행동하는 정치이지, 이것은 모두 국민을 위한 행동이 아니라는 것, 그리고 민심을 대변하고자 하지만 오히려 다르게 나오는 경향이 있어서 선거가 전부는 아니라는 등 현재 많은 갈래로 갈라진 대한민국을 보면서 이들의 논리가, 의외로 평생을 민주주의 국가에서 살아왔던 나의 논리를 조금은 흔들리게 만든 것이 아주 놀라웠다.
3.결론
사실상 이웃 나라에 가까운 중국에 대해서 이 두 권의 책을 읽으면서 원래 알고 있었던 사실을 좀 더 알 수도 있었지만, 정말 전혀 생각도 못했던 사실들도 많았다. 책을 읽어 나가면서 사실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었던 중국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들이 조금은 오해를 풀 수도 있게 되었다.
두 책 모두 술술 읽을 수 있는 문체로 쓰여 있으며, 두 저자 모두 중국에 대해서 이미 전문가이며 자신의 지식을 통해서 쓴 책이라 더욱 더 신뢰감이 들었다. 중국에 대해서 알아야 하는 사람들, 그리고 중국인은 왜 저렇게 행동할까 라는 생각을 조금 이해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정말 적극 추천하는 두 책이었다.
4.참고문헌
상식과 교양으로 읽는 중국의 역사(이유진, 글항아리) 8190
중국수업(이욱연, 휴머니스트)
특히나 대통령 직선제를 이뤄내기 위해 수많은 희생을 만들었던 대한민국의 이 정책을, 중국의 선거 민주주의 비판 논리를 보면서 많은 생각을 들게 만들었다. 시진핑이 자신의 장기 집권을 위해서 계속하여 법을 위법하며, 제정하는 것을 보고 저것이 과연 21세기에 맞는 일인것인가 굉장하게 고민했었는데, 이들의 논리에 사실 민주주의가 모든 나라에게 완벽한 정답은 아닌가라는 생각을 조금은 하게 되었다.
이들의 논리는 공산주의, 그리고 사회주의의 이론이 모두 중국에 관통하는 이론은 아니라고 설명한다. 민주주의는 보통 엘리트들이 집권하지만, 중국의 리더는 사실 능력자를 선출한다고 주장한다. 사실 이에 관해서는 미국의 트럼프, 대한민국의 박근혜와 같은 어딘가 결함이 있는 리더가 선출될 수 있다는 민주주의에 아주 큰 팩트를 날린 것임은 틀림없다. 또한 단순하게 자신의 정당의 부와 승리를 위해서 행동하는 정치이지, 이것은 모두 국민을 위한 행동이 아니라는 것, 그리고 민심을 대변하고자 하지만 오히려 다르게 나오는 경향이 있어서 선거가 전부는 아니라는 등 현재 많은 갈래로 갈라진 대한민국을 보면서 이들의 논리가, 의외로 평생을 민주주의 국가에서 살아왔던 나의 논리를 조금은 흔들리게 만든 것이 아주 놀라웠다.
3.결론
사실상 이웃 나라에 가까운 중국에 대해서 이 두 권의 책을 읽으면서 원래 알고 있었던 사실을 좀 더 알 수도 있었지만, 정말 전혀 생각도 못했던 사실들도 많았다. 책을 읽어 나가면서 사실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었던 중국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들이 조금은 오해를 풀 수도 있게 되었다.
두 책 모두 술술 읽을 수 있는 문체로 쓰여 있으며, 두 저자 모두 중국에 대해서 이미 전문가이며 자신의 지식을 통해서 쓴 책이라 더욱 더 신뢰감이 들었다. 중국에 대해서 알아야 하는 사람들, 그리고 중국인은 왜 저렇게 행동할까 라는 생각을 조금 이해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정말 적극 추천하는 두 책이었다.
4.참고문헌
상식과 교양으로 읽는 중국의 역사(이유진, 글항아리) 8190
중국수업(이욱연, 휴머니스트)
추천자료
논술비법 제1강 (고득점 논술답안과 보고서를 작성하는 노하우-사례40개제시)
소설교육평가의 실태와 개선방향
[학교독서교육]독서교육(독서지도)의 필요성 고찰과 학교 독서교육(독서지도)의 중요성, 학교...
독서토론(문학토론, 독서토의)의 의미, 유형, 독서토론(문학토론, 독서토의)의 성격, 독서토...
[과학교과평가]과학과평가(과학교육평가)의 분류와 과학과평가(과학교육평가)의 측정, 과학과...
지적재산권의 사회주의적 담론
[독서교육][독서지도]독서의 정의 고찰과 독서교육(독서지도)의 내용, 독서교육(독서지도)의 ...
신문활용교육(신문활용학습, NIE)의 개념과 필요성, 신문활용교육(신문활용학습, NIE)의 지도...
유수진의 부자언니부자연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