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유니버설 디자인의 활용
1) 장애인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 색각이상자를 위한 모바일 웹사이트
2) 아동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 보육시설 건축 및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
3) 노인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 노인을 위한 가구
2. 유니버설 디자인이 우리 사회에 주는 가치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및 참고문헌
Ⅱ. 본론
1. 유니버설 디자인의 활용
1) 장애인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 색각이상자를 위한 모바일 웹사이트
2) 아동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 보육시설 건축 및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
3) 노인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 노인을 위한 가구
2. 유니버설 디자인이 우리 사회에 주는 가치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잡기 능력 저하, 장시간 서 있기 곤란, 허리 굽음, 골다공증, 관절염 등으로 인해 거동이 불편하여 주로 의자 또는 침대에 누워 생활한다.
이와 같은 신체적 변화로 인해 노인은 낙상으로 인한 골절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노인의 안전을 고려하기 위한 모서리가 둥근 형태의 목재, 쿠션 등의 부드러운 소재로 마감된 가구를 선택하도록 서울시 복지시설 유니버설 디자인은 지침을 내렸다.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한 이유는 모서리에 부딪힘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설정하였고, 여의치 않을 경우 모서리에 부딪혀도 안전하게 둥글거나 비스듬하게 마감하거나 모서리 보호대를 설치하도록 했다. 그리고 실금, 실변, 손 떨림으로 인한 흘림과 같은 문제로 인해 가구가 오염되어 쾌적한 생활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청소가 용이한 단순한 디자인과 재질을 적용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노인은 보행이 어렵기 때문에 보행을 위하여 지팡이, 워커, 휠체어와 같은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보조기구의 부피가 넓고, 보관이 어려워 어수선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림 7 첫 번째 사진처럼 지팡이를 걸쳐놓을 수 있도록 홈이 파여있는 테이블, 휠체어를 타는 노인을 위한 세면대를 디자인함으로써 보행기구를 사용하는 노인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어수선한 환경으로부터 정리됨으로써 낙상까지 예방할 수 있다.
2. 유니버설 디자인이 우리 사회에 주는 가치
유니버설 디자인의 실제 활용 사례를 통해 누구나 삶을 쾌적하고 편안하게 살 수 있기 위한 디자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서 설명한 대로 유니버설 디자인은 ‘평등’에 입각하여 설계된 디자인이라는 패러다임을 토대로 발전하였기 때문에 복지국가를 실현하는 데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Ⅲ. 결론
인권을 중요시하는 현대사회에서 특히 유니버설 디자인의 관심과 그 중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국내의 경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에서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하여 진행해온 것을 알 수 있다. 공공기관의 경우 적극적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을 시행하고 있지만, 이 외 사회적 인식은 부족하기 때문에 민간 부문의 경우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은 선진복지 국가에 비해 뒤처져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복지 실현을 위해 사회적 약자를 위한 디자인을 설계함으로써 모두가 함께 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국가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하며, 유니버설 디자인이 널리 알려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를 위한 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Ⅳ. 참고자료 및 참고문헌
김인경 and 정소하. (2012).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어린이병원 환자복 개발 - 서울시 공공디자인 개선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4(1), 161-174.
이미경, & 박진완. (2012). 색각이상자를 위한 모바일 웹사이트의 컬러유니버설디자인 연구.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5(3), 118-127.
내 손안에 서울(서울시 대표 소통포털). (2018.12.06.). \"한눈에 쏙!\" 색각이상자도 보기 편한 지하철 노선도. 서울특별시
THIS IS GAME. (2016.02.01.) [카드뉴스] 디아블로3와 프렌즈팝, 그리고 당신 주변에 있을 4.5%. 반세이
최진희 and 최길동. (2021). 노인복지시설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평가 연구 - 남해군 지역시설을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포럼, 26(3), 69-80.
서울특별시. (2022). 서울시 복지시설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어린이집)
서울특별시. (2021). 서울시 복지시설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노인요양시설)
이와 같은 신체적 변화로 인해 노인은 낙상으로 인한 골절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노인의 안전을 고려하기 위한 모서리가 둥근 형태의 목재, 쿠션 등의 부드러운 소재로 마감된 가구를 선택하도록 서울시 복지시설 유니버설 디자인은 지침을 내렸다.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한 이유는 모서리에 부딪힘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설정하였고, 여의치 않을 경우 모서리에 부딪혀도 안전하게 둥글거나 비스듬하게 마감하거나 모서리 보호대를 설치하도록 했다. 그리고 실금, 실변, 손 떨림으로 인한 흘림과 같은 문제로 인해 가구가 오염되어 쾌적한 생활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청소가 용이한 단순한 디자인과 재질을 적용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노인은 보행이 어렵기 때문에 보행을 위하여 지팡이, 워커, 휠체어와 같은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보조기구의 부피가 넓고, 보관이 어려워 어수선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림 7 첫 번째 사진처럼 지팡이를 걸쳐놓을 수 있도록 홈이 파여있는 테이블, 휠체어를 타는 노인을 위한 세면대를 디자인함으로써 보행기구를 사용하는 노인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어수선한 환경으로부터 정리됨으로써 낙상까지 예방할 수 있다.
2. 유니버설 디자인이 우리 사회에 주는 가치
유니버설 디자인의 실제 활용 사례를 통해 누구나 삶을 쾌적하고 편안하게 살 수 있기 위한 디자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서 설명한 대로 유니버설 디자인은 ‘평등’에 입각하여 설계된 디자인이라는 패러다임을 토대로 발전하였기 때문에 복지국가를 실현하는 데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Ⅲ. 결론
인권을 중요시하는 현대사회에서 특히 유니버설 디자인의 관심과 그 중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국내의 경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에서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하여 진행해온 것을 알 수 있다. 공공기관의 경우 적극적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을 시행하고 있지만, 이 외 사회적 인식은 부족하기 때문에 민간 부문의 경우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은 선진복지 국가에 비해 뒤처져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복지 실현을 위해 사회적 약자를 위한 디자인을 설계함으로써 모두가 함께 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국가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하며, 유니버설 디자인이 널리 알려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를 위한 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Ⅳ. 참고자료 및 참고문헌
김인경 and 정소하. (2012).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어린이병원 환자복 개발 - 서울시 공공디자인 개선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4(1), 161-174.
이미경, & 박진완. (2012). 색각이상자를 위한 모바일 웹사이트의 컬러유니버설디자인 연구.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5(3), 118-127.
내 손안에 서울(서울시 대표 소통포털). (2018.12.06.). \"한눈에 쏙!\" 색각이상자도 보기 편한 지하철 노선도. 서울특별시
THIS IS GAME. (2016.02.01.) [카드뉴스] 디아블로3와 프렌즈팝, 그리고 당신 주변에 있을 4.5%. 반세이
최진희 and 최길동. (2021). 노인복지시설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평가 연구 - 남해군 지역시설을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포럼, 26(3), 69-80.
서울특별시. (2022). 서울시 복지시설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어린이집)
서울특별시. (2021). 서울시 복지시설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노인요양시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