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 관련한 에세이) 천문학과 AI 그리고 인간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천문학 관련한 에세이) 천문학과 AI 그리고 인간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시간의 범위
2) 인간의 수준과 질문의 수준
3) 무한한 우주에서 인간과 AI
4) AI 설계를 위한 기준과 규칙
5) AI와 인간의 차이
6) AI의 집단과 이익
7) AI 그리고 인간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하였을 때와 반복되는 역사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진정 인간을 위한 대답이 어떠한 것인지 결론 내릴 수 없는 딜레마가 존재한다고 설명하였다.
하지만 결론을 내리자면, AI와 인간을 고민하자면, 무한한 우주에서 AI의 존재는 인간을 위한 것이고, 인간은 정답을 찾아가는 존재가 아닌 해답을 찾아가는 존재이며, 그 과정에서 유한한 삶 속의 의미를 찾아가는 존재라고 설명하였다. 이는 앞서 언급한 딜레마에서 인간을 위한 진정한 정답을 내놓을 수 없으나, 인간이 정답이 아닌 해답을 찾는 존재이고 AI는 인간의 문제해결을 위한 조력자라는 존재라는 가정이 있었을 때, 인간과 AI가 공존할 수 있으며 딜레마를 극복할 수는 없으나 하나의 방향성은 제시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위와 같은 결론에 도달함에 따라, 컴퓨터공학과 천문학은 하나의 합일점을 향하여 나아가는 유사한 학문임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확인하는 수단으로써 AI를 활용하여 에세이를 풀어나갔다.
해당 과정을 수행하며 컴퓨터공학만으로는 생각해볼 수 없었던 철학적인 사유를 충분히 할 수 있었기에 전공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도 또한 높일 수 있었고, 천문학의 깊이에 대하여 감히 헤아릴 수 없다는 생각도 하게 되었다. 우주에 대하여 생각하고, 스스로의 존재에 관한 생각을 하게 되면서 AI가 미래에 어떠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을지 고민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컴퓨터공학이 나아갈 수 있는 방향이 무궁무진함을 깨닫는 계기도 되었다.
다만, 이러한 과정에서 회의적인 생각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무한한 우주에서 유한한 인간이 심지어 집단이 아닌 개인이 집단에게 영향을 받고, 그 영향을 완벽하게 인식하지 못한 채 삶을 살아가고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며, 그 해결하는 방안의 방향성조차 집단에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스스로의 삶이 과연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것인가라는 의문에 도달하는 순간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시금 인간의 존재에 대하여 생각하게 되면서, 집단이 그를 구성하는 모든 개인의 이익을 대변할 수 없으며, 그 속에서 개인의 방향성은 모두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인간이란 정답을 쫓아 헤매는 존재가 아닌 개인의 방향성에 따른 해답을 찾는 존재이며, 그 과정에서 삶의 목적과 이유를 찾는 존재임을 깨달을 수 있었다.
또한, 내가 살아가는 목적과 이유는 한순간을 위한 것이 아니라 지금 내가 에세이를 풀어가는 순간에도 존재하는 것이며, 현재 내가 살아가는 이 순간 자체가 삶의 목적이고 내가 나아가는 중이라는 것에 감동하기도 하였다.
처음에는 많은 분량의 에세이에 불평도 하곤 했지만, 이렇게 에세이를 풀어가며 철학적인 사유를 하는 과정이 없었다면 위와 같은 감정을 느끼고 고민해 볼 수 있는 계기를 갖기가 어려웠을 것이다. 또한, 스스로 써 내려가며 내가 인지하지 못했던 생각을 정리하고 생각하는 모든 것을 커다란 한 논리에 묶어 풀어나가는 에세이라는 장르 자체에도 매력을 느낄 수 있었다.
물론, 천문학 자체에 초점을 맞춘 에세이라기보다는 내 전공인 컴퓨터공학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더 많은 내용을 고민하고 괴로워했으나, 천문학 자체가 무한한 우주를 유한한 인간이 이해하고자 연구하고 고민하는 학문임을 생각하였을 때, 그 공통점이 몹시 많다고 생각하였고, 이는 과제에서 주장하는 연계성에 대한 에세이를 기술한다는 조건에 가감 없이 만족한다고 생각하였다.
끝으로 해당 과제를 수행함으로써 천문학에 대한 매력과 이해도를 느낄 수 있게 하고, 해당 강의뿐만 아니라 본인의 전공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으며 더불어 개인의 존재와 삶의 방향성에 대해 짧지 않은 시간 동안 철학적인 사유를 가능하게 해주신 기회를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하다는 말씀을 전한다.
4. 이미지 출처 및 참고문헌
이미지 출처:
Michell Belleville, Brian Dunbar, 「Hubble Space Telescop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22.
https://www.nasa.gov/content/most-colorful-view-of-universe-captured-by-hubble-space-telescope
https://www.nasa.gov/image-feature/goddard/2022/hubble-gazes-at-a-dazzling-star-cluster
https://www.nasa.gov/image-feature/goddard/2022/hubble-captures-pair-of-star-forming-spirals
https://www.nasa.gov/image-feature/goddard/2022/hubble-views-an-interacting-spiral
https://www.nasa.gov/image-feature/goddard/2022/hubble-views-a-twisted-spiral
https://www.nasa.gov/image-feature/goddard/2022/ngc-541-fuels-an-irregular-galaxy-in-new-hubble-image
https://www.nasa.gov/image-feature/goddard/2022/hubble-captures-a-peculiar-pair
https://www.nasa.gov/image-feature/goddard/2022/a-small-sombrero-for-hubble
https://www.nasa.gov/image-feature/goddard/2022/hubble-looks-at-a-face-on-grand-spiral
https://www.nasa.gov/image-feature/goddard/2022/hubble-captures-a-galactic-dance
참고문헌:
Isaac Asimov, 「The Last Question」, 『Science Fiction Quarterly New Series』 1959. https://archive.org/details/Science_Fiction_Quarterly_New_Series_v04n05_1956-11_slpn/page/n5/mode/2up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23.02.15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63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