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광고 언어의 정의 및 특징
2.1. 광고 언어의 정의
2.2. 광고 언어의 특징
3. 광고 언어가 일상 언어에 미치는 영향
4. 광고 언어의 문제점
5. 해결 방안
6. 결론
2. 광고 언어의 정의 및 특징
2.1. 광고 언어의 정의
2.2. 광고 언어의 특징
3. 광고 언어가 일상 언어에 미치는 영향
4. 광고 언어의 문제점
5. 해결 방안
6. 결론
본문내용
고 언어로만 한정하여 보면 규제 수준은 매우 미약하다. 선정적이거나 폭력적인 표현 등에 대해서만 집중적으로 규제될 뿐, 속어나 잘못된 문법의 사용, 외래어의 남용 등에 대해서는 실질적인 규제가 전무한 실정이다. 물론 광고 언어에 대한 규제에 대해 반대하는 측에서는 광고 언어는 언어 사용의 특수 형태 중 하나이며, 신조어의 생성과 소멸을 통해 사회상과 그 변화를 가장 잘 비추어주는 영역이므로 별도의 규제는 필요하지 않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언어는 자연스럽게 변화하게 되고 고정시킬 수 없으며 광고 언어에 대해 규제하는 것은 득보다 실이 클 것이라는 논지인 것이다.
이는 일견 타당한 측면도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고 언어가 가지고 있는 막대한 영향력과 일상 언어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고려하면 전면적인 규제는 아니더라도 최소한의 기준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방송, 인쇄 광고를 막론하는 광고 언어 사용 기준을 마련하고, 광고의 내용이 아닌 광고에 쓰인 언어만을 사후적으로 심의하는 기관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기관이 강제성을 가지게 할 수는 없을지라도 최소한 특정한 광고에서 사용된 광고 언어가 부정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알릴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광고를 제작하는 광고주나 기획사 등에서도 다시 한 번 돌이켤볼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6. 결론
광고는 현대 사회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요소로 자리매김한 지 오래이다. 광고 없이는 기업의 홍보가 거의 불가능해질 뿐 아니라, TV, 인터넷, 신문 등의 방송 자체가 매우 침체될 것이 자명하다. 따라서 광고 자체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것 또한 편협한 시각일 수 있다.
그럼에도 동시에 광고의 영향에서 기인하는 부정적 영향이 존재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연구에서 언급한 언어적 영향을 배제하더라도 광고는 과소비를 유도하고, 허위, 과장된 표현을 통해 소비자를 현혹하고 현명한 소비를 저해할 수 있으며, 화장품과 같은 일부 산업에서는 광고비가 생산비에 못지않게 증대되어 소비자가 구매하는 상품 비용의 상당수를 광고료로 전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앞서 살펴본 일상 언어에 대한 부정적 영향 또한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행정부의 광고 규제 말고도 기업 스스로가 올바른 광고를 제작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소비자 또한 잘못되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광고를 하는 기업의 상품에 대해 구매를 거절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은 자연스럽게 광고를 제작하는 기업에 대한 압력으로 이어져 기업 자체적인 자정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 이 때 비로소 광고의 순기능이 강화되는 선순환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한상숙, 『광고언어의 수사적 표현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도로흠, 『텔레비전 광고언어의 수사법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정보산, 『放送 廣告 言語가 靑少年의 言語 生活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 高等學生의 TV 廣告 카피 模倣 使用 行態를 中心으로』, 동아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1999
이는 일견 타당한 측면도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고 언어가 가지고 있는 막대한 영향력과 일상 언어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고려하면 전면적인 규제는 아니더라도 최소한의 기준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방송, 인쇄 광고를 막론하는 광고 언어 사용 기준을 마련하고, 광고의 내용이 아닌 광고에 쓰인 언어만을 사후적으로 심의하는 기관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기관이 강제성을 가지게 할 수는 없을지라도 최소한 특정한 광고에서 사용된 광고 언어가 부정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알릴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광고를 제작하는 광고주나 기획사 등에서도 다시 한 번 돌이켤볼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6. 결론
광고는 현대 사회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요소로 자리매김한 지 오래이다. 광고 없이는 기업의 홍보가 거의 불가능해질 뿐 아니라, TV, 인터넷, 신문 등의 방송 자체가 매우 침체될 것이 자명하다. 따라서 광고 자체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것 또한 편협한 시각일 수 있다.
그럼에도 동시에 광고의 영향에서 기인하는 부정적 영향이 존재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연구에서 언급한 언어적 영향을 배제하더라도 광고는 과소비를 유도하고, 허위, 과장된 표현을 통해 소비자를 현혹하고 현명한 소비를 저해할 수 있으며, 화장품과 같은 일부 산업에서는 광고비가 생산비에 못지않게 증대되어 소비자가 구매하는 상품 비용의 상당수를 광고료로 전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앞서 살펴본 일상 언어에 대한 부정적 영향 또한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행정부의 광고 규제 말고도 기업 스스로가 올바른 광고를 제작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소비자 또한 잘못되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광고를 하는 기업의 상품에 대해 구매를 거절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은 자연스럽게 광고를 제작하는 기업에 대한 압력으로 이어져 기업 자체적인 자정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 이 때 비로소 광고의 순기능이 강화되는 선순환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한상숙, 『광고언어의 수사적 표현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도로흠, 『텔레비전 광고언어의 수사법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정보산, 『放送 廣告 言語가 靑少年의 言語 生活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 高等學生의 TV 廣告 카피 模倣 使用 行態를 中心으로』, 동아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199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