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 문제제기 및 조사의 범위 제시
본론
2. 외래어의 잘못된 사용실태
2.1방송에서의 외래어
2.2간판에서의 외래어
2.3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나타난 외래어 사용의 실태
3.문제점 지적
3.1외래어 과다사용으로 인한 서양 우월 의식의 잠재
3.2잘못된 외래어 사용으로 인한 외국어 습득에의 오류
4.대안과 해결방안 제시
4.1 정부의 노력
4.2 사회단체의 노력
4.3 개인의 노력
결론
1. 문제제기 및 조사의 범위 제시
본론
2. 외래어의 잘못된 사용실태
2.1방송에서의 외래어
2.2간판에서의 외래어
2.3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나타난 외래어 사용의 실태
3.문제점 지적
3.1외래어 과다사용으로 인한 서양 우월 의식의 잠재
3.2잘못된 외래어 사용으로 인한 외국어 습득에의 오류
4.대안과 해결방안 제시
4.1 정부의 노력
4.2 사회단체의 노력
4.3 개인의 노력
결론
본문내용
해결 방안이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영어 차용어에 대한 관심과 정책이 전혀 부재했던 것은 아니지만 이와 관련한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는 것은 이에 대한 관심과 대책이 충분하지 못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외래어 표기법이나 외국어를 한국어로 바꾸자는 외래어 순화에 국한되어진 영어 차용어에 대한 정부 관심은 미미한 실정이다. 물론"국어로 기재되지 아니한 경우 상표등록의 출원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상표법 시행 규칙(제2조 1항 3호)'과 "광고물의 문자는 한글 맞춤법,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등에 맞추어 한글로 표시함을 원칙으로 하되 외국 문자로 표시할 경우에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한글과 병기하여야 한다."라는 '옥외 광고물 등 관리법 시행령(제4장 13조 1항)' 등이 존재 하나 그 법령의 강도가 미미한 편이다. 이에 외래어의 남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국가는 외래어 사용실태에 대한 조사를 확실히 하여야하고, 법으로 상표나 상호에 있어서 한국어 사용을 장려해야한다.
또한 외래어의 잘못된 사용에 대해서도 대안이 마련되어야한다. 예를 들어 방송에서의 언어 오용은 제도적으로 규제되어야 하며 그밖에 '표준 외래어사전'을 편찬하여 널리 보급하여야 할 것이다.
4.2 사회단체의 노력(언중들의 노력)
사회단체들은 '국어 순화운동'을 통해서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부각시키며 불필요한 외래어를 우리말로 바꾸어 사용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국어 순화운동'이 전개 되고 있는 원인은 바로 우리말 속에 넘쳐흐르고 있는 사이비 외래어와 아직 우리말 속에 동화되지 못한 외국어들 때문이다. 물론 어느 나라든 외래어를 가지지 않은 경우가 없지만, 외래어는 어디까지나 자기나라 고유어로 제대로 표현이 되지 않을 경우에 한해서만 받아 들여야 하는 것이다. 다음은 우리가 흔히 쓰는 외래어중 우리말로 고쳐 써야 될 경우의 예를 들어본 것이다.
넘버(NUMBER)--------------번호
리셉션(RECEPTION)----------환영회
미팅 (MEETING)-------------모임
박스(BOX)------------------상자
보너스(BONUS)--------------상여금
사인(SIGN)------------------서명
서비스(SERVICE)--------------봉사
스폰서(SPONSOR)-------------후원자
핸들(HANDLE)---------------운전대
또한 잘못 사용되는 외래어를 조사하고 사회적으로 '외래어 올바로 알고 쓰기운동'을 벌여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 조성에 힘써야 할 것이다.
4.3. 우리의 의식개혁이 필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우리말을 사용하는 우리들의 의식개혁과 올바른 실행이다. 나 자신부터 우리말의 소중함을 알고 일상에서 외래어의 남용을 자제하고, 올바른 사용에 애써야 할 것이다.
5. 맺 음 말
국제화 시대를 맞이하여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는 우리에게 외래어사용을 피할 수없게 하면서도 우리말을 지켜내야 한다는 사명까지 주고 있다.
오늘날 외래어의 사용은 분명 지나치다. 이는 우리 주변을 살펴보면 금방 알 수 있는 문제이다(대표적으로 방송과 간판 등을 통해 ).불필요하게 많이 사용하는 것도 문제지만 그 중 상당수가 잘못 사용되고 있다는 것 역시 문제인 것이다.
외래어를 남용 하는 현실 속 에서 우리는 자칫 이유 없는 서양 우월 의식을 싹틔울 수 있으며 이는 우리 민족의 언어, 그리고 민족의 운명에 까지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잘못된 외래어의 사용역시 우리에게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수 많은 우리 국민들이 필요에의해 외국어를 습득하고 있는 현실에서 잘못된 외래어의 일상으로의 침투는 학습자들에게 불리한 언어습득 환경으로 작용하여 치명적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외래어가 오.남용 되는 현실을 방관 할 수 만은 없다. 대게 사회적 문제의 해결을 위해선 사회 각 분야의 노력이 필요한데 이 문제 그렇다. 정부 사회단체 그리고 개인의 노력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방식의 노력과 개혁을 필요로 한다.
우선 정부에서는 제도적으로 접근해야한다. 외래어의 오남용을 규제하는 법을 만들고, 예산의 확충을 통해 해당 공공기관이 활발하게 정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야한다. 여러 사회단체들은 국어순화운동을 통해 사회전반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외래어의 오남용에 대해 경각심을 일깨워 주며 개인들이 자발적. 능독적으로 문제를 의식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그리고 최종적으로 각 개인들의 무분별한 외래어 사용에 대한 반성과 우리말을 진정으로 아끼는 마음을 가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외래어가 넘쳐나는 현실 속에서 더욱더 우리말의 소중함을 알고 가능하면 외래어 대신 우리말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부득이 하게 외래어를 사용해야 할 경우 올바른 사용법을 알고 바르게 사용하자.
#참고자료#
1.논문자료:
* 김희정<영어 차용어의 한국어 수용에 관한연구>경희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2001년 2월. p1 p27,28 p46~48 p53
* 정성한<외래어 표기가 영어 발음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교육학과.2001년 8월. p1~3 p49~64 p75,76
*박미진<우리말 상호와 외래어 상호연구>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1995년. p17 p28 p31~51
2.단행본:
*노명완,<영어로 미국 잡아먹기>,도서출판 한샘(서울), 1993. p6머릿말.
*Robert Rodman,,THOMSON HEINLE(Boston), 2002. p.224
*한호순<인천지역의 외래어 사용실태 조사연구(A study on the Use of Loan ward in Inchon District)> 인하교육대학원(인천), 1996. pp90~92
3.인터넷 자료:
*중앙일보논단 <공중파방송의 외래어규제>(2003.7 )출처:중앙일보 홈페이지논단사설
*김홍익,<우리말과 우리얼>(2001). 출처; 한국일보 홈페이지 오피니언 30765번 사설
*이종호<외래어 제대로 알고 쓰자>(2000) 추천 http://urimal.cs.pusan.ac.kr
.
지금까지의 영어 차용어에 대한 관심과 정책이 전혀 부재했던 것은 아니지만 이와 관련한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는 것은 이에 대한 관심과 대책이 충분하지 못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외래어 표기법이나 외국어를 한국어로 바꾸자는 외래어 순화에 국한되어진 영어 차용어에 대한 정부 관심은 미미한 실정이다. 물론"국어로 기재되지 아니한 경우 상표등록의 출원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상표법 시행 규칙(제2조 1항 3호)'과 "광고물의 문자는 한글 맞춤법,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등에 맞추어 한글로 표시함을 원칙으로 하되 외국 문자로 표시할 경우에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한글과 병기하여야 한다."라는 '옥외 광고물 등 관리법 시행령(제4장 13조 1항)' 등이 존재 하나 그 법령의 강도가 미미한 편이다. 이에 외래어의 남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국가는 외래어 사용실태에 대한 조사를 확실히 하여야하고, 법으로 상표나 상호에 있어서 한국어 사용을 장려해야한다.
또한 외래어의 잘못된 사용에 대해서도 대안이 마련되어야한다. 예를 들어 방송에서의 언어 오용은 제도적으로 규제되어야 하며 그밖에 '표준 외래어사전'을 편찬하여 널리 보급하여야 할 것이다.
4.2 사회단체의 노력(언중들의 노력)
사회단체들은 '국어 순화운동'을 통해서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부각시키며 불필요한 외래어를 우리말로 바꾸어 사용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국어 순화운동'이 전개 되고 있는 원인은 바로 우리말 속에 넘쳐흐르고 있는 사이비 외래어와 아직 우리말 속에 동화되지 못한 외국어들 때문이다. 물론 어느 나라든 외래어를 가지지 않은 경우가 없지만, 외래어는 어디까지나 자기나라 고유어로 제대로 표현이 되지 않을 경우에 한해서만 받아 들여야 하는 것이다. 다음은 우리가 흔히 쓰는 외래어중 우리말로 고쳐 써야 될 경우의 예를 들어본 것이다.
넘버(NUMBER)--------------번호
리셉션(RECEPTION)----------환영회
미팅 (MEETING)-------------모임
박스(BOX)------------------상자
보너스(BONUS)--------------상여금
사인(SIGN)------------------서명
서비스(SERVICE)--------------봉사
스폰서(SPONSOR)-------------후원자
핸들(HANDLE)---------------운전대
또한 잘못 사용되는 외래어를 조사하고 사회적으로 '외래어 올바로 알고 쓰기운동'을 벌여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 조성에 힘써야 할 것이다.
4.3. 우리의 의식개혁이 필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우리말을 사용하는 우리들의 의식개혁과 올바른 실행이다. 나 자신부터 우리말의 소중함을 알고 일상에서 외래어의 남용을 자제하고, 올바른 사용에 애써야 할 것이다.
5. 맺 음 말
국제화 시대를 맞이하여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는 우리에게 외래어사용을 피할 수없게 하면서도 우리말을 지켜내야 한다는 사명까지 주고 있다.
오늘날 외래어의 사용은 분명 지나치다. 이는 우리 주변을 살펴보면 금방 알 수 있는 문제이다(대표적으로 방송과 간판 등을 통해 ).불필요하게 많이 사용하는 것도 문제지만 그 중 상당수가 잘못 사용되고 있다는 것 역시 문제인 것이다.
외래어를 남용 하는 현실 속 에서 우리는 자칫 이유 없는 서양 우월 의식을 싹틔울 수 있으며 이는 우리 민족의 언어, 그리고 민족의 운명에 까지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잘못된 외래어의 사용역시 우리에게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수 많은 우리 국민들이 필요에의해 외국어를 습득하고 있는 현실에서 잘못된 외래어의 일상으로의 침투는 학습자들에게 불리한 언어습득 환경으로 작용하여 치명적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외래어가 오.남용 되는 현실을 방관 할 수 만은 없다. 대게 사회적 문제의 해결을 위해선 사회 각 분야의 노력이 필요한데 이 문제 그렇다. 정부 사회단체 그리고 개인의 노력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방식의 노력과 개혁을 필요로 한다.
우선 정부에서는 제도적으로 접근해야한다. 외래어의 오남용을 규제하는 법을 만들고, 예산의 확충을 통해 해당 공공기관이 활발하게 정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야한다. 여러 사회단체들은 국어순화운동을 통해 사회전반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외래어의 오남용에 대해 경각심을 일깨워 주며 개인들이 자발적. 능독적으로 문제를 의식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그리고 최종적으로 각 개인들의 무분별한 외래어 사용에 대한 반성과 우리말을 진정으로 아끼는 마음을 가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외래어가 넘쳐나는 현실 속에서 더욱더 우리말의 소중함을 알고 가능하면 외래어 대신 우리말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부득이 하게 외래어를 사용해야 할 경우 올바른 사용법을 알고 바르게 사용하자.
#참고자료#
1.논문자료:
* 김희정<영어 차용어의 한국어 수용에 관한연구>경희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2001년 2월. p1 p27,28 p46~48 p53
* 정성한<외래어 표기가 영어 발음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교육학과.2001년 8월. p1~3 p49~64 p75,76
*박미진<우리말 상호와 외래어 상호연구>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1995년. p17 p28 p31~51
2.단행본:
*노명완,<영어로 미국 잡아먹기>,도서출판 한샘(서울), 1993. p6머릿말.
*Robert Rodman,
*한호순<인천지역의 외래어 사용실태 조사연구(A study on the Use of Loan ward in Inchon District)> 인하교육대학원(인천), 1996. pp90~92
3.인터넷 자료:
*중앙일보논단 <공중파방송의 외래어규제>(2003.7 )출처:중앙일보 홈페이지논단사설
*김홍익,<우리말과 우리얼>(2001). 출처; 한국일보 홈페이지 오피니언 30765번 사설
*이종호<외래어 제대로 알고 쓰자>(2000) 추천 http://urimal.cs.pusan.ac.kr
.
추천자료
통신상에서의 채팅 언어 사용실태와 그 문제점
자주 사용하는 외래어 모음(수능영어공부 참고용)
[프리젠테이션][파워포인트][발표력신장 프로그램][발표][발표력]프리젠테이션의 정의, 프리...
잘못된 어법 사용 상황별 예시
C언어 게임소스 : 가위바위보(if 문 사용)
유아 언어 말하기, 의사소통 모의수업 교육 활동 계획안과 교구교재계획안 첨부, 나와 가족, ...
통신언어의 사례와 특징, 받침의 단순화, 줄임말, 비속어의 사용, 의성어, 의태어, 명사회된 ...
몸짓언어가 왜 중요하고 제스처 사용 시 주의할 점은 무엇인지 토론하시오
비구어(오전 7시 부터 오후 19시간 동안) 사용후 언어와 사회성에 대한 체험적 관계에 대한 생각
청소년기 언어 발달과 신조어 사용 (통신어, 매스컴, 최근 신조어, 신조어 뜻, 신조어 원인, ...
렉시콘 The Lexicon 심성어휘집. 특정한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낱말의 총집합 (Lexicon 정의,...
「사이버 폭력」에 대해서 (사이버 공간 언어폭력과 범죄, 문제점, 정보시스템 불법침입 및 ...
I-Message의 개념을 정리하고 본인이 실생활에 사용하는 언어 중 I-Message로 표현할 수 상황...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한국어의 어문 규범 중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표준발음, 외래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