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청소년상담실제 ) (1) 안전하고 편안한 대상(가족, 친구, 기타 등)을 내담자로 하여 최소 10분 이상의 상담을 진행하면서 (2) 내담자와의 대화에서 열린 질문, 간접질문, 왜 아닌 질문을 적용한 대화를 아래 예시와 같이 축어록으로 제시(2)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다문화청소년상담실제 ) (1) 안전하고 편안한 대상(가족, 친구, 기타 등)을 내담자로 하여 최소 10분 이상의 상담을 진행하면서 (2) 내담자와의 대화에서 열린 질문, 간접질문, 왜 아닌 질문을 적용한 대화를 아래 예시와 같이 축어록으로 제시(2)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상담 진행 과정
(2) 축어록_질문 기법 분석 기준
(3) 상담 진행 중 느낀점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
내담자8 : 가끔 학기 초에만 경계하는 약간 낯가리는 아이들이 있는데, 내가 성격이 워낙 밝고 더 치대는 성격이다 보니가 금새 풀리기도 하고. 근데 이제 편견을 가지고 날 보는 애들은 아예 상대를 안해버리기도 해. 내가 지치니까.
상담자9 : 그럴때마다 힘들겠다. 그럴땐 어떤 생각이 들어?(간접 질문)
내담자9 : 사실 이미 초등학교때부터 편견은 많이 겪기도 했고, 오히려 생각해보면 순수하게 놀리는 아이들보다 은근한 눈으로 바라보고 눈치주는 어른들이 더 슬프고 상처였던 것 같아.
- 생략 -
(3) 상담 진행 중 느낀점
항상 밝기만 해보였던 내담자 역시도 일전에 많은 고통과 그리고 상처의 경험을 통해서 성장할 수 밖에 없었다는 사실에 굉장한 충격이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래 가지고 있는 기질과 장점을 자신의 강점으로 만들어서 반장도 하기도 하고 나서서 리더십을 보여주는 내담자의 모습에 본인 스스로도 정말 배울점이 많다고 생각하게 하는 모의상담이 되었다.
처음에는 단 둘이 만나는 것에 대해서 어색했지만 이내 계속해서 어색함을 풀어주기 위해서 공통 분모인 친동생에 대해서 얘기하고 또 내가 나왔던 고등학교를 다니는 만큼 예전 얘기를 하면서 긴장감을 풀고 나서 말해서 그런지 내담자가 좀 더 활발하게 그리고 적극적으로 자신의 문제를 말해주는 것 같아서 이 점에 대해서는 앞으로의 라포 형성때도 열심히 써봐야 겠다고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3. 결론
특히나 다문화 청소년의 경우 청소년 시기를 완벽하게 한국어를 구사하는 친구들도 왕따나 따돌림의 경험이 있는데, 언어 완벽 구사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의사 소통 자체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아이들의 경우, 그리고 피부색과 같이 외형적인 모습이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차별을 받는 경우 역시도 점점 사회가 발전해도, 시민 의식이 높아져도 여전히 우리 아이들이 다문화 청소년들에게 상처를 주고 있을지도 모른다.
이로 인해서 학업 성적도 낮아지고 또 새로운 관계 형성에 대해서 이미 겁을 먹고 다가가기 때문에 적극적인 성격으로 변하기 쉽지 않은 다문화 청소년에 대해서는 당연하게도 다른 아이들에게 모든 문화적 가치관은 존중받아야 마땅하며 그들의 행동과 언어, 문화 역시도 포용할 줄 알아야 하는 개방성을 일찍이부터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한다.
4. 참고문헌
- 정의철, 커뮤니케이션북스, 다문화 커뮤니케이션, 2013
- 구정화, 해냄, 청소년을 위한 사회학 에세이, 2011

키워드

가족,   친구,   기타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2.17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69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