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의방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담의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면접의 목적

2. 일반적인 평가

3. 상담 기법(16가지 다양한 방법들)
***Hill의 상담자 언어반응유목체계***

본문내용

세요. 아, 그렇군요.
2) 침묵(silence)
상담자의 말과 말 사이에 5초 간의 휴식이 있으면 이것을 상담자의 침묵이라 한다. 단 내담자의 말을 단순히 수용한 이후의 휴식은 제외(例: 예' 이후의 침묵은 제외). 이 유목은 판단하기 쉽다. 스톱 워치(stop watch)를 사용하여 침묵시간을 재고 그것을 기록하면 된다.
3) 시인/안심(approval/reassuarance)
정서적인 지지, 승인, 또는 강화를 뜻한다. 동정을 뜻할 수도 있으며, 내담자의 문제를 감소시키고 불안을 완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예> 그 일 하기가 힘들겠구나', 좋아', 자네가 옳아'
4) 정보(information)
사실, 이론, 자료 등의 형태로 정보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담과정, 상담자의 행동, 장소, 치료비의 배정 등과 관련된 정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내담자가 무엇을 해야할 것인지를 뜻하는 지시는 포함되지 않는다 (그것은 직접적 지시에 속함).
5) 직접적 지시(direct guidance)
상담자가 상담회기 동안 또는 그 외에서 내담자와 상담자 모두를 위해서 제시하는 지시나 충고를 말한다. 내담자로부터 자료를 끌어내는 것이 목적이 아니다(그것은 한정질문이나 개방질문에 속한다).
예> '약속을 변경하고 싶으실 때는 미리 이 번호로 연락하세요'
'숙제는 꼭 해가지고 오세요'
6) 한정질문(close question)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한 두 마디의 대답을 요구하거나 예' 또는 아니오'의 대답을 요구하는 질문이다. 또한 상담자가 그 이전에 한 말을 확인해 보기 위한 질문이다. 이러한 형태의 질문에 답할 수 있는 내담자의 반응은 한정되어 있고 구체적이다. 그 말이 한정질문의 형태로 표현되지만 다른 유목의 준거에 맞으면 그 유목으로 취급한다.
예> '혼자 오셨나요?'
7) 개방질문(open question)
내담자의 반응을 의도적으로 예'나 아니오' 또는 한 두 마디의 단어로 한정시키지 않고 감정(feeling)을 명료화하도록 요구하거나 그 상황을 탐색하도록 요구한다. 상담자의 말들이 개방질문 형태로 언급되지만 다른 유목의 준거에 맞으면 그 유목으로 취급한다.
예> 어제 밤에 어떤 일이 있었나요?
8) 재언급(restatement)
내담자가 한 말을 단순히 반복하거나 바꾸어 말한 것을 뜻한다(반드시 바로 앞에 한 말을 반복하는 것만이 아니다). 보통 내담자의 말보다 말수는 적지만 비슷한 단어들로 되어있고,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다. 암시적으로 언급될 수도 있다.
예> "그러니까 당신은 그 때 혼자였었군요"
"그 말은 아무도 당신을 도와주지 않았다는 말이지요?"
9) 반영(reflection)
내담자의 말을 반복하거나 바꾸어 말한다(반드시 바로 앞의 말을 반복하는 것이 아니어도 된다). 여기서는 반드시 감정(feeling)이 말로 언급되거나 암시되어야 한다. 앞에서 한 말이나, 비언어적 행동, 또는 전체 상황을 앎으로써 반영을 할 수 있다. 암시적으로 언급될 수도 있다.
예> "당신은 괜찮다고 말하고 있는데, 나에게는 초조하게 보이는군요."
(행동의 반영)
"그때 당신은 화가 났었겠군요."(느낌의 반영)
"당신은 ……라고 믿고 있는가 봅니다."(생각의 반영)
10) 해석(interpretation)
내담자가 명확하게 의식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여러 가지 형태의 해석을 취할 수 있다. 겉으로 보기에 따로따로 분리되어 있는 말이나 사건들 사이를 연결지을 수 있고, 방어, 감정, 저항, 또는 전이 (상담자와 내담자 관계)를 해석하는 것일 수도 있고, 주제. 패턴, 또는 내담자의 성격이나 행동 속의 인과관계를 지적하는 것일 수도 있다. 보통 오래된 행동이나 문제에 대한 대안적 방법을 내 놓는다.
예>
내: 지난 밤에 저는 꿈에 아버지와 사냥을 갔는데, 제가 글쎄 사슴인 줄 알고 쏘았는데, 나중에 가까이 가 보니까 아버지가 죽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깜짝 놀라 잠을 깨었습니다.
상: 부모에게 효도해야 한다는 동양문화권에서 볼 때 그런 꿈을 꾸었다는 사실에 자네 마음에 심란하기도 하겠지. 그리고 한편으로는 권위적 존재에 대한 적개심을 간접적으로나마 인정하고 표현했다는 점도 중요하겠지.
11) 직면(confrontation)
이것은 두 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첫째 부분은 말로 언급된 것이라기 보다는 암시된 것일 수 있으며, 내담자가 전달하는 것이나 행동의 어떤 측면을 언급한다. 두번째는 보통 그러나'로 시작하며 불일치점을 지적한다. 이러한 모순이나 불일치점은 여러가지 면에서 볼 수 있는데 말과 행동 사이, 내담자가 언급한 두가지 말 사이, 행동과 행동 사이, 현실적 자아와 이상적 자아 사이, 언어적 행동과 비언어적 행동 사이, 현실과 환상의 차이, 상담자의 지각과 내담자의 지각사이에서 나타난다.
예> "당신은 지금 얼마나 고통스러운지를 말씀하시지만 목소리는 덤덤하게 느껴지네요"
"너는 무엇이든 실패했다고 말하지만, 여기 지금 대학상담실에서 상담하고 있다는 것 은 무엇을 의미하지?"
12) 비언어적 행동 지적(nonverbal referent)
내담자의 비언어적 행동 측면들을 지적하거나 질문한다. 예컨데 몸 자세, 어조, 얼굴 표정, 몸짓 등. 이러한 행동들의 의미는 해석하지 않는다. 이 반응은 구체적인 행동을 언급해야 하고 행동의 원인이 되는 감정은 추론하지 않아야 한다.
예> "당신은 그 여자를 사랑한다고 이야기했는데, 그 여자에 대해 말할 때마다 주먹을 꽉 쥐는군요."
13) 자기 공개(self-disclosure)
상담자가 자기의 개인적인 경험과 감정을 내담자에게 드러낸다. 그 경우가 나라면'으로 시작하는 반응은 이 범주에 넣을 수 있다.
예> 내: 오늘 학교에서 선생님께 매를 맞았어요. 우리 선생님은 잘 때려요.
상: 나도 학교 다닐 때에 숙제를 안 해가서 매를 맞은 것이 있었어. 그 때 몹시 속이 상하더라.
14) 기타(other): 잡담이나 인사, 일기나 사건에 대한 이야기와 같이 내담자의 문제와 관계없는 말, 내담자에 대한 부인이나 비판, 다른 유목에 들어맞지 않는 말, 또는 축어록의 작성상 어려움이나 이해의 곤란성 및 불완전함 때문에 분류하기 어려운 말들이 여기에 속한다.

키워드

  • 가격9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3.11.28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51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