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학개론 ) 한국어에서 문장을 확대하는 방식을 설명하고, 이에 사용되는 어미와 전성어미의 목록과 기능에 대해서 논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어학개론 ) 한국어에서 문장을 확대하는 방식을 설명하고, 이에 사용되는 어미와 전성어미의 목록과 기능에 대해서 논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문장의 확대
2-2. 어미
2-3. 인용절
2-4. 연결어미의 종류
2-5. 종결어미
2-6. 전성어미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생략되는 경우가 더 많다.
간접 인용절의 특징으로는 간접인용절의 서술어 중에는 일부 종결어미만 결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접속이란 단어는 두 개 이상의 절이 연결어미와 만나서 더 큰 문장이 되는 것을 말한다.
2-4. 연결어미의 종류
연결어미는 의미에 따라 다양하게 나뉜다. ‘-아/어’와 같은 일부 연결어미는 문맥에 따라서
매우 많은 의미를 나타낸다. 어간에 붙어서 다음 말과 이어주는 구실을 하는 어미로, 대동적인 연결 어미인 ~고, ~며, ~나 등이 있다. 보조적인 연겨으이 어미로는 ~아/어, ~게, ~지 등이 있다. 또 종속적인 연결 어미로는 ~면, ~지 등이 있다. 쉽게 예문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자.
예시) 겨울이 가고 봄이 왔다 (가다 + ~고)
예시) 노래를 들으며 공부를 한다. (듣다 + ~으며)
예시) 힘이 세나 키는 작다 (세다 +~나)
예시) 기분이 좋지 않다. (좋다 + ~지)
2-5. 종결어미
종결어미는 문장을 종결짓게 하는 어말적 어미이다. 즉, 말 그대로 종결짓는 어미라는 것이다.
감탄문이나 평서문, 의문문 및 명령문 등 문자 마지막을 끝맺음 하는 어미를 말한다.
2-6. 전성어미
전성어미는 용언의 어간의 위치에 붙어 다른 품사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어미를 말한다. 전성 어미는 크게 명사형, 관형사형, 부사형 전성 어미로 나눌 수가 있다.
명사형 전성어미의 위치는 용언의 어간에 위치하여 용언이 명사와 비슷하거나 같은 기능을 하게 하는 활용형을 말하며 예로는 ~음, ~기 등이 있다. 예문을 통해 알아보면
예시) 옳은 것과 그름이 가장 중요하다 (그르다+ 미음)
예시) 그 사람의 깨끗함은 알아줘야해. (깨끗하다 + 미음)
물론 명사형 전성어미가 결합하였다 하더라도 단어가 명사가 된다는 것은 아니다, 명사의 기능을 하는 명사형이지 단어가 명사가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관형사적 전성어미의 위치는 용언의 어간에 위치하며 용언이 관형어와 비슷하거나 같은 기능을 하게 활용하는 것이다. 이 어미는 현재형, 과거형, 미래형이 있는데 형용사와 동사의 쓰임이 조금 다르다.
마지막으로 부사형 전성어미의 위치는 용언의 어간에 결합하는 것으로 용언이 부사와 비슷하거나 같은 기능을 하게 활용한다. 간혹 부사형 전성어미를 종속적 어미로 포함하는 경우도 발생되곤 한다.
3. 결론
연결 어미의 정의에서 접근해보면 그 연결 어미를 포괄할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우리는 보조적인 연결 어미의 정의를 따로 정의하여야 한다. 또 이러한 것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문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특정 어미가 다양한 어미로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어야 하기 때문에 우리는 이러한 기술 차이를 분명하게 해 주어야 한다. 연결 어미와 전성 어미가 각각 형성하는 절에 대해 일관되고 체계적인 명칭과 정의가 제시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4. 참고문헌
구본관박재연이선웅이진호(2015), 한국어 문법 총론 I, 집문당.
권재일(1992), 한국어 통사론, 대우학술총서인문사회과학 67, 민음사
이익섭(2003), 국어부사절의 성립, 태학사
  • 가격4,9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3.02.21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72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