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도대체 가족이 뭐길래? : 한국에서 가족으로 산다는 것
2) “외로운 싸움”, 그 치열했던 과정
3) 무엇을 배우고 어떻게 변할 것인가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도대체 가족이 뭐길래? : 한국에서 가족으로 산다는 것
2) “외로운 싸움”, 그 치열했던 과정
3) 무엇을 배우고 어떻게 변할 것인가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가족 간의 친밀함은 상호존중과 자율성이 지켜질 때 비로소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가족은 행복해야 한다는 선언으로 “기만적인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여성의 삶을 착취하는 현재의 구조 속에서는 진짜 행복과 애정을 완성할 수 없다. 사회의 가부장적인 구조를 바꾸면 사회운동을 하라는 말은 어불성설이다. 가족은 일상의 영역인 동시에 이 사회의 차별적이고 불평등한 권력구조를 가진 또 하나의 사회이며, 사회구조를 바꾼다는 것은 나와 가장 밀접한 일상의 인식과 문화를 바꾸는 것을 반드시 수반해야 하기 때문이다.
여성인권운동의 종착지는 개인을 억압하는 모든 차별과 폭력의 종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가족은 나를 도와줄 수 있는 공동체임과 동시에 여성인권운동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좋은 게 좋은거다”라는 말로 가족 내의 ‘갈등’과 ‘분란’을 막고 있었던 수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ㅇ읽어보기를 바란다. 나에게는 편안한 공간인 가족이 누군가에게는 계속해서 싸우고 투쟁해야 하는 공간이었는지 성찰하기를 바란다. 그리하여 바로 지금, 여기에서부터의 변화를 통해 진짜로 서로 사랑하고 존중할 수 있는 가족을 만들어가기를 바란다.
4. 참고문헌
나는 당신들의 아랫사람이 아닙니다, 2019, 배윤민정, 푸른숲
Barret, M. and Mcintosh, M. 1982. “Narcissism and the Family: a Critique of Lasch.” New Left Review.
김동춘. 2020. 『한국인의 에너지, 가족주의』 피어나.
김순남. 2018. “정상성 속에 가려진 견고한 가족문화의 변화와 규범을 진단한다.” 『아시아여성연구』 57(1): 239-250.
김혜영. 1996. “한국 가족문화의 계급별 특성에 관한 경험적 연구.” 『경제와사회』 31 : 240-262.
김환희·고병진. 2018. “한부모가족 담론의 균열과 변형된 정상가족 신화로의 포섭.”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8): 262-271.
도경은. 2022. “가정폭력 피해 경험 다시 읽기 : 20대 피해 자녀들의 의미화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선희. 1995. “가족중심주의에 대한 유교적 해석.” 가족학논집 7 : 21-44.
성시정. 1998. “IMF 시대 가족주의 담론의 등장과 성 정체성의 위기.” 『여성학연구』 8(1): 75-91.
안호용·김흥주. 2000. “한국 가족 변화의 사회적 의미.” 『한국사회』 3: 89-132.
이재경. 2007. 『가족의 이름으로: 한국근대가족과 페미니즘』 또하나의문화.
장경섭. 1991. “가족문제.” 고영복 편. 『현대사회문제』 사회문화연구소.
조주은. 2005. “‘정상가족’은 정상이 아니다.” 『여성과사회』 16: 262-273.
최일성. 2000. “유교 ‘정상가족 이데올로기’ 비판: 구조주의적 이데올로기론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최홍기. 1991. “유교와 가족.” 『가족학논집』 3: 207-227.
여성이 결혼 후 불러야 하는 호칭 개선을”. 진주원. 여성신문. 2017.10.03.
https://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7336
‘도련님’ ‘처남’... 가족간 차별하는 호칭 개선한다. 진주원. 여성신문. 2019.01.24.
https://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4937
‘올케’, ‘시댁’, ‘처가’... “가족 호칭 나만 불편한가요?”. 박경은, 아주경제. 2019.05.15.
https://www.ajunews.com/view/20190514150727619
여성인권운동의 종착지는 개인을 억압하는 모든 차별과 폭력의 종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가족은 나를 도와줄 수 있는 공동체임과 동시에 여성인권운동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좋은 게 좋은거다”라는 말로 가족 내의 ‘갈등’과 ‘분란’을 막고 있었던 수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ㅇ읽어보기를 바란다. 나에게는 편안한 공간인 가족이 누군가에게는 계속해서 싸우고 투쟁해야 하는 공간이었는지 성찰하기를 바란다. 그리하여 바로 지금, 여기에서부터의 변화를 통해 진짜로 서로 사랑하고 존중할 수 있는 가족을 만들어가기를 바란다.
4. 참고문헌
나는 당신들의 아랫사람이 아닙니다, 2019, 배윤민정, 푸른숲
Barret, M. and Mcintosh, M. 1982. “Narcissism and the Family: a Critique of Lasch.” New Left Review.
김동춘. 2020. 『한국인의 에너지, 가족주의』 피어나.
김순남. 2018. “정상성 속에 가려진 견고한 가족문화의 변화와 규범을 진단한다.” 『아시아여성연구』 57(1): 239-250.
김혜영. 1996. “한국 가족문화의 계급별 특성에 관한 경험적 연구.” 『경제와사회』 31 : 240-262.
김환희·고병진. 2018. “한부모가족 담론의 균열과 변형된 정상가족 신화로의 포섭.”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8): 262-271.
도경은. 2022. “가정폭력 피해 경험 다시 읽기 : 20대 피해 자녀들의 의미화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선희. 1995. “가족중심주의에 대한 유교적 해석.” 가족학논집 7 : 21-44.
성시정. 1998. “IMF 시대 가족주의 담론의 등장과 성 정체성의 위기.” 『여성학연구』 8(1): 75-91.
안호용·김흥주. 2000. “한국 가족 변화의 사회적 의미.” 『한국사회』 3: 89-132.
이재경. 2007. 『가족의 이름으로: 한국근대가족과 페미니즘』 또하나의문화.
장경섭. 1991. “가족문제.” 고영복 편. 『현대사회문제』 사회문화연구소.
조주은. 2005. “‘정상가족’은 정상이 아니다.” 『여성과사회』 16: 262-273.
최일성. 2000. “유교 ‘정상가족 이데올로기’ 비판: 구조주의적 이데올로기론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최홍기. 1991. “유교와 가족.” 『가족학논집』 3: 207-227.
여성이 결혼 후 불러야 하는 호칭 개선을”. 진주원. 여성신문. 2017.10.03.
https://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7336
‘도련님’ ‘처남’... 가족간 차별하는 호칭 개선한다. 진주원. 여성신문. 2019.01.24.
https://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4937
‘올케’, ‘시댁’, ‘처가’... “가족 호칭 나만 불편한가요?”. 박경은, 아주경제. 2019.05.15.
https://www.ajunews.com/view/2019051415072761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