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 케이스스터디 간경화증(간경변증) Liver Cirrhosis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과 케이스스터디 간경화증(간경변증) Liver Cirrhosis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 출혈환자는 금단증상을 보일 수 있다.
간경화증 환자의 알코올 섭취 및 흡연은 증상의 악화를 초래한다.
# 진단2
자료수집
<주관적 증상>
“배가 아파...”
“성격이 좀 예민해졌어...”
“몸이 좀 떨리는 것 같아...”
<객관적 증상>
알콜성 간경화 의심, 간성뇌증 의심 진단 받음
묻는 말에만 간신히 대답하며 전신 tremor sx 있음
정확한 지남력 떨어짐
복부 통증 호소하심
일반화학검사상 CRP, AST, ALT, Total bilirubin, Ammonia 수치 높음
간호진단2
대사 기능의 장애와 관련된 급성 혼돈의 위험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시에 묻는 말에 90% 이상 정확하고 또렷하게
대답할 정도로 지남력을 회복한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5일 이내에 물음에 암모니아 수치를 정상치인 12~60
수준으로 회복한다.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NRS 척도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통증양상 및 부위를 사정한다.
지남력을 지속적으로 규칙적이고 객관적으로 사정한다.
처방에 따라 Hepatamine을 투여한다.
환자와 보호자에게 현재 상태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통증 경감을 위해 명상, 음악치료 등 비 약물적인 치료방법을 사용한다.
떨림(tremor) 증상이 나타나는 부위를 주의 깊게 관찰한다.
일반화학검사를 진행하여 기존의 검사 결과와 비교한다.
24시간 동안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점검 및 기록한다.
대상자의 혼수가 악화될 수 있는 요인들을 교정한다.
대상자가 섭취하는 단백질을 암모니아의 수치가 정상치가 될 때까지 제한한다.
대상자의 통증 강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다.
지속적인 지남력 평가로 대상자의 지남력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뇌증을 개선하고 아미노산을 보급해주는 약물이다.
정확한 정보의 제공으로 환자와 보호자의 불안을 완화할 수 있다.
간경화 환자의 진통제 사용은 신중히 이루어져야 한다. 비 약물치료로 환자가 통증에 대한 민감도를 줄일 수 있다.
떨림(tremor) 증상은 간성 뇌증의 2단계(증상발현단계)의 특징이다.
일반화학검사 결과를 통해 대상자의 상태가 악화되었는지 호전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인의 대답뿐만 아니라 같은 병실의 사람들에게 확인해서 정확성을 높인다.
저칼륨혈증, 출혈, 저산소증은 간성뇌증을 악화시키는 요인이다.
암모니아로 인해 혼수상태에 빠지기 때문에 단백질을 제한한다.
자료수집
<주관적 증상>
“최근 들어 자주 피곤해져...”
“변을 보는데 피가 보이더라고...”
<객관적 증상>
알콜성 간경화 의심, 간성뇌증 의심 진단 받음
혈액검사상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RBC, PLT, PCT 수치 낮음
일반화학검사상 칼륨, 알부민, 크레아티닌 수치 낮음
일반화학검사상 CRP, AST, ALT, Total bilirubin, Ammonia 수치 높음
ABGA 검사 결과 pH, pO2 증가, pCO2 감소(알칼리증 소견)
간호진단3
조절기전 부전과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에 전해질 균형을 다시 맞출 수 있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혈변을 3일 이내에 멈춘다.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수혈과 수액을 주입하여 전해질 불균형을 교정한다.
처방에 따라 약물을 정해진 용량만큼 대상자에게 투여한다. 구강으로 섭취가 힘들 경우 정맥로를 확보해 주사한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약물 부작용에 대해 교육한다.
ABGA 결과를 모니터하며, 비정상적인 증상과 징후를 관찰한다.
24시간 동안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점검 및 기록한다.
칼륨의 구강 섭취를 늘릴 수 있도록 고칼륨식이 교육을 실시한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기저질환 관리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다.
알코올 중독과 흡연의 위험성에 대해 교육한다.
2개의 IV Line을 확보해 수혈과 수액주입을 실시해 헤모글로빈 수치의 교정과 더불어 전해질 불균형도 교정한다.
저칼륨혈증 및 저마그네슘혈증의 교정, 비타민 결핍 등을 교정하기 위해 투약한다.
증상에 관한 교육은 증상의 조기발견에 도움이 된다.
알칼리증은 저칼륨혈증을 초래하므로 ABGA의 결과는 주의 깊게 모니터해야 한다.
소변량의 증가는 칼륨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아보카도, 바나나, 자몽 등의 칼륨 함유 식품은 저칼륨혈증을 완화시켜준다.
기저질환으로 인한 전해질 불균형은 기저질환의 관리로 개선될 수 있다.
알코올 중독은 전해질불균형 및 각종 질환을 초래하고 흡연은 폐질환을 초래해 알칼리증을 심화시킨다.
# 진단3
3. 참고문헌
황옥남외(2019).성인간호학상.현문사
이은희외(2019).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고문사
민혜숙(2015). 간경변증 환자의 자율성지지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자기결정성이론을 기반으로
김유나(2018). 간경변 합병증 환자의 사망 예후 인자 분석
endocrineweb. Liver DiseaseWhat You Need to Know About this Common Problem of Diabetes
https://www.endocrineweb.com/conditions/type-2-diabetes/liver-disease-what-
you-need-know-about-common-problem-diabetes (2020.07.27.)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협심증.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480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간경변증.
https://health.cdc.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
gnrlzHealthInfoView.do
Media.[혈액검사] 혈액검사로 알 수 있는 질병 / 혈액검사 항목 / 혈액의 기본 개념/
https://m.blog.naver.com/mage7th/220633958102(2016.02.21.)
Naver지식백과.의약품 사전.https://terms.naver.com/
약학정보원.http://www.health.kr/
감사합니다.[스크랩]간성혼수자간호.http://blog.daum.net/0419mm/7236029
이미지: google
  • 가격1,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23.02.27
  • 저작시기202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86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