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현실치료상담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학]현실치료상담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William Glasser에 대해서
2. 주요개념
3. 현실치료의 인간관
4.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
5. 현실치료의 목표
6. 상담자의 역할
7. 현실치료의 원리
8. 현실치료의 과정
9. 현실치료의 특징
10. 현실치료의 공헌점
11. 현실치료의 한계점
12. 전통적인 정신분석과 현실요법의 비교

본문내용

내담자에게 비난적인 말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8) 현실치료는 책임의 개념을 강조한다. ‘타인의 욕구충족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로 ‘책임성’의 개념이며, Glasser는 책임성을 가르치는 것이 현실치료의 핵심개념이라고 주장한다.
10. 현실치료의 공헌점
1) 현실치료는 직접적이고 분명한 상담 방법이다.
2) 현실치료는 선도가 불가능한 자녀들을 둔 부모 집단, 문제행동을 가지고 학교에서 계속 문제를 일으키는 청소년 집단, 다양한 학생들을 다루는 교사집단 등에 상당히 많은 도움을 주며 이 장점은 위기 상황의 상담에서 개인의 역할을 하는데 적당하다.
3) 자신을 다른 사람의 부적절한 행동의 희생자라고 여기는 사람에게 도움이 된다.
4) 다양한 집단에서 다양한 상담 전문가들에게 효과적으로 작용하며, 교육계, 다양한 정신치료 기관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5) 상담기간을 줄일 수 있다.
11. 현실치료의 한계점
1) 단순함과 피상적인면 때문에 일부 상담자들은 현실치료를 반대한다. 그리고 내담자가 어떻게 변해야 하는지를 판단하는 목사나 도덕적 전문가의 역할을 상담자가 떠맡을 수 있다는 위험이 있다.
2) 중요한 문제도 무가치한 극단으로 몰고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과거의 역할을 경시한다는 것은 어떤 문제를 피상적으로 대하게 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3) 행동의 의식적인 면에 중점을 둔다는 점이 장점이 될 수도 있지만 인간 경멸의 무의식적인 면을 지나치게 무시하는 극단으로 치닫는 수도 있다는 점이다.
4) 상담 절차가 실제로 적용된다는 주장을 정당화하기에는 실질적으로 연구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12. 전통적인 정신분석과 현실요법의 비교
전통적인 정신분석
현 실 요 법
-정신질환은 존재한다.
-정신질환은 의미있게 분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진단적인 분류에 기초해서 치료가 이루어진다.
-내담자는 정신질환을 앓고 있다는 개념을 용납하지 않는다. 내담자는 자신의 행동에 대해 책임을 질 수 없는 정신질환자로 취급하면 치료할 수 없다.
-환자의 과거사를 탐색하는 것은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내담자의 과거가 아닌 현재에 초점을 둔다.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이미 일어났던 것을 변화시킬 수 없다. 그래서 내담자가 과거에 의해 제한을 받는다는 사실도 받아들이지 않는다.
-환자는 그의 과거에 중요한 인물에 대해 가졌던 태도를 치료자에게 전이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치료자는 이러한 전이를 설명해야 한다.
-상담자는 초연한 전이적 대상인물이 아니라 따뜻한 인간적인 위치에서 내담자와 친밀한 관계를 맺는다.
-환자가 그의 무의식 세계에 대해 이해하고 통찰해야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상담자는 무의식적 갈등이나 그 원인을 중요시하지 않는다. 내담자는 그의 행동을 무의식적인 동기로 변명할 수 없다.
-환자의 행동이 옳건 그르건 간에 도덕성의 문제를 피한다. 이탈된 행동은 정신질환자의 “부산물이며, 그렇기 때문에 책임이 없다.”
-행동의 도덕성과 책임을 강조한다.
-좀 더 나은 행동을 가르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적절한 개입과 더 나은 행동을 가르치는 것을 통해서 더 나아질 수 있다.
「참고문헌」
김인자(1996). 현실요법과 선택이론, 한국심리상담연구소. 생활심리시리즈 10.
이현림(2000). 상담이론과 실제. 원미사.
홍경자(1984). 현실요법. 중앙적성출판사.
김인자 엮음(1996). 현실요법 논문집. 한국심리상담연구소.
Gerald Corey(1993). 역자 김충기, 김현우. 상담과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성원사
William Glasser(2001). 옮긴이 김인자. 현실요법-선택이론 Work Book. 한국심리상담연구소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3.03.05
  • 저작시기201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94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