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작(간질), 알츠하이며병 pbl 간호진단, 계획,중재,간호과정_1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발작(간질), 알츠하이며병 pbl 간호진단, 계획,중재,간호과정_1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PBL을 통한 간호사례


2. 문헌고찰


3. 진단검사 ⋯⋯⋯⋯⋯⋯ 1) 일반혈액검사
⋯⋯⋯⋯⋯⋯⋯⋯ 2) 혈청화학검사
⋯⋯⋯⋯⋯⋯⋯⋯ 3) 혈액응고검사 ..

4. 약물


5. 간호과정 ⋯⋯⋯1) 간호과정 #1
의식의 감소과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2) 간호과정 #2
약물 사용과 관련된 불안정한 혈압의 위험

6. 실습에 대한 소감문

7. Reference

본문내용

9:04) BP=54/45mmHg , 하지 거상 시행함
(10:00) BP= 110/60mmHg
계획날짜
장기목표 : 대상자의 혈압은 2일 이내 정상 범위로 돌아올 것이다.
단기목표 1 : 대상자는 1일 이내에 기면 의식상태에서 더 악화되지 않을 것이다.
단기목표 2 : 대상자는 1일 이내에 저혈압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간 호 계 획
이론적 근거
6/1
√진단적 지시
1. 4시간 마다 v/s과 BP을 측정한다.
2. 저혈압의 증상을 확인한다. (어지러움, 얼굴 창백, 식은땀, 숨이 참, 오심 등)
3. lab 결과를 확인한다. (hb, hct Na)
저혈압을 유발하는 약물을 확인한다.
√치료적 지시
저혈압 시 하지를 높여준다.
2. 처방에 따라 수액 속도를 조절한다.
3. 처방에 따라 승압제를 주입한다.
4. 처방에 따라 수액을 보충한다.
5. 침상 안정하도록 교육한다.
.
√교육적 지시
1. 대상자에게 약물 복용 시 어지러움 증이 있으면 알리도록 교육한다.
2. 보호자에게 환자를 움직이지 말도록 교육한다.
3. 보호자에게 혈압 변화에 따른 증상을 설명한다.
√진단적 지시
1. v/s은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2. 저혈압의 증상을 확인하여 증상을 완화시키도록 한다. 어지러움은 빈혈, 저혈압의 증상이 될 수 있다.
3. lab 수치를 통해 저혈압의 원인을 찾을 가능성이 있다.
√치료적 지시
하지를 높여주어 저혈압 증상을 완화시킨다.
2. 수액 속도 조절을 통해 혈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3. 승압제란 혈관을 수축해 혈압을 높이는 약이다.
4. 수액 보충을 통해 혈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
5. 저혈압으로 인해 어지럼증이 나타나고 신체적 외상으로 이어질 수 있기에 침상 안정하도록 교육한다.
√교육적 지시
1. 약물 부작용으로 인한 저혈압인지 확인한다.
2. 지속적인 체위변경으로 인해 혈압이 더 감소될 수 있기에 안정될 때까지 다리를 올린 체위로 침상 안정 하도록 한다.
3. 저혈압으로 인해 어지러움증을 나타낼 수 있음을 설명했다.
수행날짜
간 호 중 재
중 재 결 과
6/1
√진단적 지시
1. 4시간 마다 v/s을 측정하였다.
2. 저혈압의 증상을 확인하였다.
3. lab 결과를 확인하였다.
√치료적 지시
1. 저혈압 시 하지를 높여주었다.
2. 처방에 따라 수액 속도를 조절하였다.
3. 처방에 따라 수액을 보충하였다.
5. 대상자가 깨었을 시 물을 마시도록 하였다.
.
√교육적 지시
1. 대상자에게 약물 복용 시 어지러움 증이 있으면 알리도록 교육했다..
2. 보호자에게 환자를 움직이지 말도록 교육했다.
3. 보호자에게 혈압 변화에 따른 증상을 설명한다.
√진단적 지시
1.
5/31
T
P
R
BP
00;00
37.2
76
16
142/87
4:00
36.4
80
16
147/87
8:00
37.2
75
16
141/89
12:00
37.2
71
16
140/89
16:00
36.7
70
16
128/84
6/1
T
P
R
BP
00;00
37.1
67
16
130/87
4:00
36.4
81
16
132/77
8:00
37.3
82
16
128/70
9:04
36.8
77
16
54/45
10:00
36.9
77
16
110/60
6/2
T
p
R
BP
00;00
36.5
75
16
128/76
4:00
36.4
81
16
132/82
8:00
36.4
81
16
128/89
12:00
36.8
78
16
138/87
16:00
36.7
74
16
130/90
2. 어지러움, 얼굴 창백, 식은땀, 숨이 참, 오심은 관찰되지 않았다.
3.
항목
5/30
6/2
Hb
13.3
11.4▼
Hct
37.4
-
Sodium
137
140
√치료적 지시
저혈압 결과에 따라 하지 거상을 수행하였으며 약 30분 후 저혈압 완화되었다.
처방에 따라 수액 속도를 증가시켰다.
NS 100ml를 주입하였다.
대상자 깨었을 시 구강으로 수분보충을 도왔다.
√교육적 지시
1. 대상자는 보호자에게 어지러움증을 알렸다.
2. 보호자는 환자를 침상안정 시켰다.
3. 보호자는 대상자의 어지러움 증상을 관찰하지 않았다.
평가날짜
간 호 평 가
6/2
<단기목표1> 대상자는 1일 이내에 기면 의식상태에서 더 악화되지 않았다. (달성)
6/2
<단기목표2> 대상자는 1일 이내에 저혈압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달성)
대상자는 어지러운 증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6/3
<장기목표> 대상자의 혈압은 2일 이내 정상 범위로 돌아왔다. (달성)
6. 실습에 대한 소감문
응급실 첫 실습에 기대가 되면서도 걱정이 되었다. 초반에는 일을 배우면서 나름 괜찮다고 생각했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배우는 것도 많아지고 같은 응급실이더라도 외과/ 내놔 등에 따라 조금씩 프로토콜도 달라서 그에 맞추는데 조금 어려웠다. 또한 실습생들이 많아서 누군가 실수하고 피드백을 받았다면, 다른 누군가가 또 실수를 했을 때 두배의 피드백을 받게되는 과정을 겪게되며 실습생들끼리도 소통이 중요하고 서로 잘 알려줘야함을 느꼈다.
매일 사망하는 환자를 한 명씩은 보며 삶과 죽음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고, 원티드 1순위가 응급실이였던 나로써 마음이 조금 어두워지는 것이 있었고 원티드를 다시 생각하게 되기도 했다.
사실 병동에 있을 때는 환자의 아픔에 공감하고 소통했는데, 응급실에서는 학생 신분으로서도 너무 바빠서 그런 대화조차 할 시간이 많지 않았다. 응급실은 전문지식, 관찰력, 판단력, 센스가 절실히 필요한 곳이였다. 그러한 능력이 필요했지만 나는 너무나 부족한 사람임을 정말 크게 느꼈다.
그래도 마지막 응급실 실습일텐데 EKG부착 해보고, 석션 술기를 통해 석션 과정을 보며 머리 속 시뮬레이션으로 돌려보기도 하고, 저혈압 환자 다리 높여주기 등등 지금까지 배워왔던 이론, 간호 수행을 적용할 수 있어서 뿌듯한 점도 있었다.
남은 일주일 더 알차고 유익하게 응급실 실습을 하고싶다.
7. Reference
성인간호학 상, 하 현문사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서울대학교 의료정보
대한내과학회 일반인을 위한 건강정보
약학정보원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삼성서울병원 질환 백과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23.03.13
  • 저작시기202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04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