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P해석,협력적 스토리텔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HTP해석,협력적 스토리텔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HTP(집, 나무, 사람) 검사의 이해
가. 그림 단계
  검사 순서
나. 질문단계
 1) 집
2)나무
3)사람
가. 구조적 해석
 1) 순서
2)그림의 크기
3)위치
4)세부묘사
5)생략과 왜곡
2. 내용적 해석
 가) 집(House) 그림의 해석
(1)문
(2)벽
(3)창문
(4)지붕
나) 나무(Tree) 그림의 해석
 (1) 순서에 의한 분석
(2) 내용 분석
협력적 스토리텔링

협력적 스토리텔링의 성공 요인.

본문내용

있는 인물을 나타나며 행동에 대해서 연속적으로 박탈 경험을 가진 사람에게서 그려짐
② 나무껍질이 벗겨진 경우 : 어렵고 난폭한 생활. 진하게 그려진 것은 불안감.
③ 나무껍질을 지나치게 상세히 그려진 것 : 강박감, 완고함, 강박관념을 통제하기 위한 조심스러운 시도를 의미함
④ 죽은 가지들은 생활의 일부에서의 상실감이나 공허함을 나타냄
⑤ 가지 위에 지은 나무 집은 위협적인 환경에서의 보호를 찾기 위한 시도를 나타냄
⑥ 커다란 줄기에 대해 가느다란 가지들은 환경에서 만족을 얻을 수 없음을 나타냄
⑦ 언덕 위에 있는 나무는 종종 정신적인 의존성을 보여주며 특별히 나무가 단단하고 크다면, 위로 올라가고자 하는 노력을 뜻함
⑧ 커다란 잎들은 부적합성과 관련된 의존성을 나타냄
⑨ 어린나무는 미성숙이나 공격성을 나타냄

협력적 스토리텔링
협력적 스토리텔링의 성공 요인.
1. 자녀와 임사가사이의 자발적이고 창조적 분위기를 허용하는 장난스럽고
위협적이지 않은 관계 형성한다.
2. 치료적 이야기를 만들때 임상가는 아동의 가족이나 다른 중요한 인물을
상징하는 외재화의 과정을 사용한다.
외재화는 아동의 생각, 느낌, 행동을 그들 자신의 것으로 보지 않고 이야기 속의 캐릭터로 보게 한다. 예를 들어, Alice가 물고기를 자신으로 표현한 것.
3. 이야기에서 아동은 가족의 맥락 안에서 자신을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아동의 문제는 상징적이여야 하고 공감적 이해의 메시지와 문제 해결을 제공하 는 이야기와 대응되어야 한다.
4. 아동이 이야기를 만드는 것을 돕기 위해 이야기를 만들기 전에 먼저 가족역동을
평가해야 한다.
5. 임상가의 이야기는 문제를 상징화하고 아동에게 건강하고 긍정적인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
6. 임상가의 이야기는 아동의 지지하고, 격려하고, 긍정적으로 신뢰하는 것이여야 한다. 그리고 가능하면 아동이 “건강한” 성인으로 발전할 것이라는 확신을 제 공해야 한다.
7. 치료적 이야기에서 임상가는 자신의 마음에 아이와 가족 문제의 이미지를 가지 고 있어야 한다.
이것은 임상가가 아동에게 치료적으로 반응하는 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창의적인 대화와 상상력이 풍부한 방식으로 협력적으로 대화에 참여해야 한다.
8. 아동의 이야기가 복잡할지라도 최우선이 되는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이야기를 만들어야 한다. 따라서 명확하게 주제를 선택해야 한다.
9. 부모와 다른 가족과 함께 아동의 이야기와 문제를 공유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3.15
  • 저작시기2017.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05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