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간은 왜 스토리에 열광하는가?
2. 스토리에 끌리는 이유
3. 스토리의 역할
참고문헌
2. 스토리에 끌리는 이유
3. 스토리의 역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슴 뭉클해진 사람이 적지 않았다.
스토리는 왜 늘 사람을 사로잡는 것일까. 스토리는 인류에게 가장 친근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식이기 때문이다. 그도 그럴 것이 사람의 뇌는 사전처럼 정보를 순서대로 분류하고 기억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연관성 높은 정보끼리 묶어서 순서를 정하고, 분류하며, 기억한다. 예를 들어 열대 우림의 원시인에게 나이를 물어보면 흥미로운 대답을 듣는다고 한다. 나이를 숫자로 답하는 대신 큰 아이는 큰 나무가 벼락맞은 다음 해에 태어났다는 식으로 답을 해준단다.
이 사례를 통해 문명화 이전부터 인류가 스토리로 정보를 기억한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이처럼 우리 인류가 정보를 연관성 위주로 처리하기 때문에 뛰어난 리더들은 종종 우화나 비유를 통해 중요한 가르침을 쉽게 전달했다. 일상에서 늘 만나는 물건이나 동물이 등장하는 스토리 속에 교훈을 담았다는 말이다. 직접 글을 써서 남기지 않은 이솝의 우화나 예수의 비유가 여전히 살아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렇게 오랫동안 인류에게 봉사해온 스토리텔링은 활자의 시대가 찾아오자 무대 뒤로 밀려나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해석의 여지가 있는 스토리에 의존하는 대신 문서를 통해 정확하게 정보를 전달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스토리가 유치하다는 생각은 착각이다. 스토리는 매우 강력한 의사소통 도구이며, 소통과 힐링이 대세를 이루는 사회에서는 더욱 그렇다. 이런 스토리의 마법을 일찌감치 파악한 나이키는 사내에 ‘기업 스토리텔러’라는 직무를 두고, P&G는 할리우드 영화감독까지 초빙해 임원들에게 스토리텔링 기술을 가르치고 있다.
중요한 순간에 꺼내드는 스토리텔링이라는 카드는 마법의 카드. ‘이야기 하나 해드릴까요?’라고 말하는 순간, 졸던 사람은 일어나고 딴청 부리던 사람은 귀를 기울인다. 우리가 모두 오바마 대통령처럼 탁월한 스토리텔러가 될 필요는 없다. 우리 일상에서 발견하는 스토리만 잘 모으고 정리해도 큰 자산이 된다. 누구나 자기만의 스토리는 만들고 나눌 수 있다. 그걸 믿는 순간부터 우리는 이미 스토리텔러다. 이제 파워포인트는 내려놓자. 스토리로 리드하자.
참고문헌
차봉희 저, 디지로그 스토리텔링, 문매미 2007
전은경 저, 한국 현대 대중문학과 대중문화, 역락 2012
이화형, 김준형 외 저, 한국 문화를 말하다, 태학사 2013
정창권 저, 문화콘텐츠학 강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최혜실 저, 문화산업과 스토리텔링, 다할미디어 2007
스토리는 왜 늘 사람을 사로잡는 것일까. 스토리는 인류에게 가장 친근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식이기 때문이다. 그도 그럴 것이 사람의 뇌는 사전처럼 정보를 순서대로 분류하고 기억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연관성 높은 정보끼리 묶어서 순서를 정하고, 분류하며, 기억한다. 예를 들어 열대 우림의 원시인에게 나이를 물어보면 흥미로운 대답을 듣는다고 한다. 나이를 숫자로 답하는 대신 큰 아이는 큰 나무가 벼락맞은 다음 해에 태어났다는 식으로 답을 해준단다.
이 사례를 통해 문명화 이전부터 인류가 스토리로 정보를 기억한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이처럼 우리 인류가 정보를 연관성 위주로 처리하기 때문에 뛰어난 리더들은 종종 우화나 비유를 통해 중요한 가르침을 쉽게 전달했다. 일상에서 늘 만나는 물건이나 동물이 등장하는 스토리 속에 교훈을 담았다는 말이다. 직접 글을 써서 남기지 않은 이솝의 우화나 예수의 비유가 여전히 살아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렇게 오랫동안 인류에게 봉사해온 스토리텔링은 활자의 시대가 찾아오자 무대 뒤로 밀려나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해석의 여지가 있는 스토리에 의존하는 대신 문서를 통해 정확하게 정보를 전달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스토리가 유치하다는 생각은 착각이다. 스토리는 매우 강력한 의사소통 도구이며, 소통과 힐링이 대세를 이루는 사회에서는 더욱 그렇다. 이런 스토리의 마법을 일찌감치 파악한 나이키는 사내에 ‘기업 스토리텔러’라는 직무를 두고, P&G는 할리우드 영화감독까지 초빙해 임원들에게 스토리텔링 기술을 가르치고 있다.
중요한 순간에 꺼내드는 스토리텔링이라는 카드는 마법의 카드. ‘이야기 하나 해드릴까요?’라고 말하는 순간, 졸던 사람은 일어나고 딴청 부리던 사람은 귀를 기울인다. 우리가 모두 오바마 대통령처럼 탁월한 스토리텔러가 될 필요는 없다. 우리 일상에서 발견하는 스토리만 잘 모으고 정리해도 큰 자산이 된다. 누구나 자기만의 스토리는 만들고 나눌 수 있다. 그걸 믿는 순간부터 우리는 이미 스토리텔러다. 이제 파워포인트는 내려놓자. 스토리로 리드하자.
참고문헌
차봉희 저, 디지로그 스토리텔링, 문매미 2007
전은경 저, 한국 현대 대중문학과 대중문화, 역락 2012
이화형, 김준형 외 저, 한국 문화를 말하다, 태학사 2013
정창권 저, 문화콘텐츠학 강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최혜실 저, 문화산업과 스토리텔링, 다할미디어 2007
키워드
추천자료
와니와 준하에서의 의상분석
(경제서평) 수요 공급 살인사건(소설로 읽는 경제학 1)
인터넷과 대중문화
[대중문화의 이해] 인터넷이 대중문화에 미치는 영향 (A+리포트)
1년만미쳐라-강상구
현대광고론 핵심정리 (제13장 인쇄, 전파, 디지털 매체를 위한 광고제작)
[독후감/서평/요약] 요단강에서 바벨론 물가까지
체홉 단편선을 읽고 - 안톤 체홉(안톤 체호프 : Anton Chekhov)과 각자의 삶
드라마와 현대인
쇼셜미디어의 특징과 글로벌기업의 마케팅 활용 사례분석 - 소셜미디어특징, SNS의 정의, 블...
스티브잡스처럼 프레젠테이션 하라
이공본풀이 감상문
책-기획의 정석 내용정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