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Ⅰ. 서론
드라마를 안 보고 사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우리시대의 아주머니 및 할머니들은 드라마를 끼고 사는 듯 하다. 또 남녀노소 불문하고 대박이 난 드라마가 있으면 너도 나도 할 것 없이 보게 되고 이러쿵 저러쿵 드라마에 대한 시시덕대는 대화는 끝이 없어 퍼져간다. 간혹 드라마의 내용이 지나치게 과장된다거나 폭력이나 애정행각 장면이 많이 나와 시청자의 눈쌀을 찌푸리게 하거나 대중의 비난을 들어도 대부분의 시청자들은 드라마 보는 것을 멈추지는 않는 것 같다. 요즘 한창 인기리에 방영중인 「아내의 유혹」은 막장드라마라는 비난을 받지만 그래도 직장인들의 귀가 시간을 앞당겨 놓았다고 한다. 이의 원인으로는 드라마보다 더욱 꼬인 현실을 살아가는 시청자에게 대리만족을 준다는 분도 있고 "불황기에는 냉철한 인식이나 깊은 사유가 아니라 직접적이고 감각적인 영역에 모든 것을 맡긴다"는 불황과의 상관 관계로 보는 진단도 나왔다. 최근 MBC의 옴부즈맨 프로그램인 TV속의 TV는 길거리의 시민들을 대상으로 그 이유를 인터뷰 해 보았다. 대답으로는 "자극적이다 보니 사람들이 욕하면서도 그런 것에 더 끌리는 것 같다", "사람들의 갈급증이랄까 현실에서 채워지지 않는 뭔가를 보여준다. 대리만족 같은 것", "스토리 전개가 빨리 되면서 흥미진진하게 뭔가 자극적인 요소가 매우 커서", "현실감이 떨어져서 재미만 있고 자극적이면 그게 더 편하게 쉴 수 있고 그냥 재밌게 즐길 수 있는 거기 때문에", "불륜 등에 아줌마들이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것 같고 중요한 장면에서 다음 회로 넘어가니까 사람들이 계속 보게 된다", "진지한 고민이 있는 드라마보다 그냥 한번 생각하고 한번에 자신의 기분을 표출하고 쉽게 기분을 드러낼 수 있는 그런 드라마에 집중함으로써 스트레스를 풀려고 하기 때문에 그런 드라마를 보지 않나 생각한다", "그게 나한테 일어나지 않는다 하더라도 그것들을 엿봄으로 인해서 자기는 대리만족을 한다거나 이런 호기심 때문에 그런 것 같다. 그리고 뻔한 스토리보다는 차라리 그런 것을 통해서 얻어지는 재미도 더 클 것 같고", "일상에서 볼 수 없는 거라서 사람들이 재밌게 보는 것 같고, 불편하다고들 하는데, 그것도 또 새로운 것"등이 나왔다.
드라마를 안 보고 사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우리시대의 아주머니 및 할머니들은 드라마를 끼고 사는 듯 하다. 또 남녀노소 불문하고 대박이 난 드라마가 있으면 너도 나도 할 것 없이 보게 되고 이러쿵 저러쿵 드라마에 대한 시시덕대는 대화는 끝이 없어 퍼져간다. 간혹 드라마의 내용이 지나치게 과장된다거나 폭력이나 애정행각 장면이 많이 나와 시청자의 눈쌀을 찌푸리게 하거나 대중의 비난을 들어도 대부분의 시청자들은 드라마 보는 것을 멈추지는 않는 것 같다. 요즘 한창 인기리에 방영중인 「아내의 유혹」은 막장드라마라는 비난을 받지만 그래도 직장인들의 귀가 시간을 앞당겨 놓았다고 한다. 이의 원인으로는 드라마보다 더욱 꼬인 현실을 살아가는 시청자에게 대리만족을 준다는 분도 있고 "불황기에는 냉철한 인식이나 깊은 사유가 아니라 직접적이고 감각적인 영역에 모든 것을 맡긴다"는 불황과의 상관 관계로 보는 진단도 나왔다. 최근 MBC의 옴부즈맨 프로그램인 TV속의 TV는 길거리의 시민들을 대상으로 그 이유를 인터뷰 해 보았다. 대답으로는 "자극적이다 보니 사람들이 욕하면서도 그런 것에 더 끌리는 것 같다", "사람들의 갈급증이랄까 현실에서 채워지지 않는 뭔가를 보여준다. 대리만족 같은 것", "스토리 전개가 빨리 되면서 흥미진진하게 뭔가 자극적인 요소가 매우 커서", "현실감이 떨어져서 재미만 있고 자극적이면 그게 더 편하게 쉴 수 있고 그냥 재밌게 즐길 수 있는 거기 때문에", "불륜 등에 아줌마들이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것 같고 중요한 장면에서 다음 회로 넘어가니까 사람들이 계속 보게 된다", "진지한 고민이 있는 드라마보다 그냥 한번 생각하고 한번에 자신의 기분을 표출하고 쉽게 기분을 드러낼 수 있는 그런 드라마에 집중함으로써 스트레스를 풀려고 하기 때문에 그런 드라마를 보지 않나 생각한다", "그게 나한테 일어나지 않는다 하더라도 그것들을 엿봄으로 인해서 자기는 대리만족을 한다거나 이런 호기심 때문에 그런 것 같다. 그리고 뻔한 스토리보다는 차라리 그런 것을 통해서 얻어지는 재미도 더 클 것 같고", "일상에서 볼 수 없는 거라서 사람들이 재밌게 보는 것 같고, 불편하다고들 하는데, 그것도 또 새로운 것"등이 나왔다.
추천자료
롤로메이의 ‘자아를 잃어버린 현대인’ 감상문
현대인에게 여행이 필요한 10가지 이유
현대인과 운동
현대인과 성형수술
현대인의 정신건강 요약정리
현대인의 식생활
[건강][현대인 건강위험요소][현대인 건강과 식생활][현대인 건강과 운동][현대인의 건강과 ...
[환경과 사회] 우리 후손이 더불어 갈 생태사회를 가다 - 자발적 건강유지와 생태사회 - 현대...
영화속에 드러난 현대인의 성 조사분석 및 느낀점
원시인과 현대인
도리스 되리가 제시한 현대인들의 생존방식
자녀양육, 현대인의 자녀 양육관, 나의 자녀 양육관
현대인의 실존적 공허현상에 대한 징후를 설명하고, 그 징후를 학교폭력의 발생원인과 관련하...
현대인의 절망에 대한 엘리아데의 조언,고대인과 현대인의 비교,고대 존재론을 통한 엘리아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