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터넷이란?
(1) 일반적 역사
(2) 우리나라에서 인터넷의 역사
2. 인터넷에서 대중문화가 형성되고 전파되는 과정
3. 인터넷 이전시대와 이후 시대의 변화
(1) 가족 생활의 변화
(2) 정보 통신의 변화
(3) 매체 환경의 변화
(4) 국제 환경의 변화
(5) 수용자들의 변화
(6) 인터넷의 사회적 제도화로의 변화
4. 장점과 단점 및 폐해
5. 인터넷에서의 대중문화에 관한 쟁점들
(1) 지적 소유권 문제
(2) 개인정보 노출 문제
(1) 일반적 역사
(2) 우리나라에서 인터넷의 역사
2. 인터넷에서 대중문화가 형성되고 전파되는 과정
3. 인터넷 이전시대와 이후 시대의 변화
(1) 가족 생활의 변화
(2) 정보 통신의 변화
(3) 매체 환경의 변화
(4) 국제 환경의 변화
(5) 수용자들의 변화
(6) 인터넷의 사회적 제도화로의 변화
4. 장점과 단점 및 폐해
5. 인터넷에서의 대중문화에 관한 쟁점들
(1) 지적 소유권 문제
(2) 개인정보 노출 문제
본문내용
복사권에 대한 회의와 그에 반하는 공익성을 확대해 볼 때 우리는 리처드 스톨만에 의해 진행되어온 GNU 프로젝트를 상기할 필요가 있다.
GNU란 'GNU is Not Unix' 의 철자를 딴 재귀적 이름이며 소스가 오픈되어있지 않은 유닉스와 완전히 호환되는 스톨만이 개발한 자유 소프트웨어의 이름이기도 하다. (http://www.gnu.org/)
모든 사람들이 자유롭게(free) 이용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독점 소프트웨어 제도를 견제하고 전 세계의 프로그래머가 공동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이다. 그가 말하는 자유(free)라는 말은 영어의 무료의의 뜻이 아니라, 구속되지 않는의 뜻을 지닌다. 따라서 프리 소프트웨어의 사용에다음 네 가지의 자유가 실질적으로 보장된다.
① 목적에 상관없이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자유
② 필요에 따라서 프로그램을 개작할 수 있는 자유
③ 무료 또는 유료로 프로그램을 재배포할 수 있는 자유
④ 개작된 프로그램의 이익을 공동체 전체가 얻을 수 있도록 이를 배포할 수 있는 자유
저작권의 문제에서도 그는 카피레프트(copyleft : copyright와 정 반대되는 개념으로 모든 프로그램은 자유소프트웨어의 이념을 유지해야한다는 운동)운동을 통해 공익성과 사이버 공간 안에서의 자유를 강조한다. 과학은 저작권에 우선해야한다는 그의 말을 떠올려 볼 때, 우리나라 정보통신 산업의 뜨거운 감자인 저작권과 지적 소유권 문제도 다른 각도에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2) 개인정보 노출 문제
영화 가타카(앤드류 니콜 감독)를 보면 개인의 DNA를 음성적인 네트워크 해킹을 통해 마음대로 열람할 수 있는 매래가 설정된다. 하지만 이것은 결코 미래의 상황이 아니다. 단지 우리에게는 DNA의 구체적 지도가 없을 뿐이지, 그것을 음성적으로 열람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일반 웹사이트의 정보를 합법적으로 이용하려고 할 때, 우리는 회원이 되어야만 하는 경우가 많고 그 과정에서 우리는 우리의 소중한, 때로는 사회생활이나 생명과도 연관되는 정보를 반강제적으로 노출하게 된다. 하지만 이것은 벼룩시장이나 경품정보 이용에 대한 대가로는 너무나 위험하고 또 너무나 순수한 생각이다. 한번 노출된 정보는 웹상에 그대로 있게 되며, 그에 대한 매매나 크랙킹에 대한 법적책임은 그 회사가 망하고 난 뒤에는 어느 누구에게도 물을 수 없다. 실제로 개인정보 침해 신고건수는 과거 2년 동안 2200% 증가해(2002기준) 작년 5만3000여건이 발생했고 인터넷 이용자의 95% 이상이 개인정보 침해를 우려하고 있다고 한다. (주7- 전자신문2003.5.7) 이러한 개인정보 유출 및 침해는 심각한 인권 문제를 가져오게 된다. 현대사회는 개인의 자아정체성이 ID(신분증명, identification)로 증명되는 가운데 이러한 적은 양의 정보가 개인의 신상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이 갖는 이러한 문제도 그 효율성도 neis 해킹 툴이 개발되지 않는다는 보장 하에서 이뤄져야 되지 않을까?
GNU란 'GNU is Not Unix' 의 철자를 딴 재귀적 이름이며 소스가 오픈되어있지 않은 유닉스와 완전히 호환되는 스톨만이 개발한 자유 소프트웨어의 이름이기도 하다. (http://www.gnu.org/)
모든 사람들이 자유롭게(free) 이용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독점 소프트웨어 제도를 견제하고 전 세계의 프로그래머가 공동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이다. 그가 말하는 자유(free)라는 말은 영어의 무료의의 뜻이 아니라, 구속되지 않는의 뜻을 지닌다. 따라서 프리 소프트웨어의 사용에다음 네 가지의 자유가 실질적으로 보장된다.
① 목적에 상관없이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자유
② 필요에 따라서 프로그램을 개작할 수 있는 자유
③ 무료 또는 유료로 프로그램을 재배포할 수 있는 자유
④ 개작된 프로그램의 이익을 공동체 전체가 얻을 수 있도록 이를 배포할 수 있는 자유
저작권의 문제에서도 그는 카피레프트(copyleft : copyright와 정 반대되는 개념으로 모든 프로그램은 자유소프트웨어의 이념을 유지해야한다는 운동)운동을 통해 공익성과 사이버 공간 안에서의 자유를 강조한다. 과학은 저작권에 우선해야한다는 그의 말을 떠올려 볼 때, 우리나라 정보통신 산업의 뜨거운 감자인 저작권과 지적 소유권 문제도 다른 각도에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2) 개인정보 노출 문제
영화 가타카(앤드류 니콜 감독)를 보면 개인의 DNA를 음성적인 네트워크 해킹을 통해 마음대로 열람할 수 있는 매래가 설정된다. 하지만 이것은 결코 미래의 상황이 아니다. 단지 우리에게는 DNA의 구체적 지도가 없을 뿐이지, 그것을 음성적으로 열람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일반 웹사이트의 정보를 합법적으로 이용하려고 할 때, 우리는 회원이 되어야만 하는 경우가 많고 그 과정에서 우리는 우리의 소중한, 때로는 사회생활이나 생명과도 연관되는 정보를 반강제적으로 노출하게 된다. 하지만 이것은 벼룩시장이나 경품정보 이용에 대한 대가로는 너무나 위험하고 또 너무나 순수한 생각이다. 한번 노출된 정보는 웹상에 그대로 있게 되며, 그에 대한 매매나 크랙킹에 대한 법적책임은 그 회사가 망하고 난 뒤에는 어느 누구에게도 물을 수 없다. 실제로 개인정보 침해 신고건수는 과거 2년 동안 2200% 증가해(2002기준) 작년 5만3000여건이 발생했고 인터넷 이용자의 95% 이상이 개인정보 침해를 우려하고 있다고 한다. (주7- 전자신문2003.5.7) 이러한 개인정보 유출 및 침해는 심각한 인권 문제를 가져오게 된다. 현대사회는 개인의 자아정체성이 ID(신분증명, identification)로 증명되는 가운데 이러한 적은 양의 정보가 개인의 신상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이 갖는 이러한 문제도 그 효율성도 neis 해킹 툴이 개발되지 않는다는 보장 하에서 이뤄져야 되지 않을까?
추천자료
대중사회의 대중문화
엽기,그 신문화의 키워드(엽기문화와 대중문화의 결합)
[대중문화론] 문화정치에 대한 개념과 특성
(대중문화론) 대중음악의 실태와 문제점 및 해결방안
한국어와 대중문화-대중가요의 변천사
현대문화분석 - 문화산업 (계몽의 변증법) & 문화연구의 두개의 패러다임 (현대사회와 대...
대중문화와 문화산업
[미디어 리터러시][컴퓨터 리터러시][디지털 리터러시][대중문화컨텐츠 리터러시][멀티 리터...
대중문화와 문화산업 - 몸짱, 얼짱,맘짱 및 감성과 이성
[1950년대, 모더니즘, 문학, 희곡, 대중문화, 국가정책]1950년대의 모더니즘, 1950년대의 문...
[헤르만 헤세][헤르만 헤세 출생][헤르만 헤세 종교][내면세계][음악세계][대중문화]헤르만 ...
[현대의 서양문화 C형]팝아트 이후 현대미술은 대중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현대의 서양...
[현대의 서양문화 C형] 팝아트 이후 현대미술은 대중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현대의 서양...
대중문화의 이해 “젊은 세대의 자유분방한 문화적 에너지가 과거와는 다른 자발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