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와 문화산업 - 몸짱, 얼짱,맘짱 및 감성과 이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중문화와 문화산업 - 몸짱, 얼짱,맘짱 및 감성과 이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대중문화와 문화산업-
몸짱, 얼짱,맘짱 및 감성과 이성



1. 대중문화(大衆文化)란?
대중사회를 기반으로 성립되는 문화.
2. 대중 문화의 폐해
3. 대중문화의 긍정적인 면



외모짱 신드롬

1.얼짱에 대하여
1) 얼짱신드롬의 발생 배경
2) 얼짱 신드롬의 긍정적인 면
3) 얼짱 신드롬의 부정적인 면
2. 몸짱에 대하여
1)몸짱 신드롬의 발생 배경
2)몸짱 신드롬의 긍정적인 면
3)몸짱 신드롬의 부정적인 면
4. 얼짱, 몸짱에 반기를 든 맘짱의 등장



얼짱신드롬, 그 이면의 모든 것

1. 머리말
2. 얼짱 문화의 형성요인
4.얼짱 문화의 확대 요인
5. 얼짱 신드롬의 바탕, 외모지상주의
(1) 외모지상주의의 정의와 형성 배경
(3) TV속 외모 지상주의
(4) 외모지상주의의 문제점
6. 맺음말

본문내용

들어나게 되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이러한 외모지상주의이다. 이러한 외모지상주의는 먼 옛날부터 존재하지 않았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나 현재에 와서 변화된 외모지상주의는 그러한 것과 격을 달리하는 고정관념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이러한 고정관념을 더욱 굳건하게 하게 된 계기는 다름아닌 우리나라의 급속한 발전에 의한 여유로움이다. 여유로움은 곧 다른 생각을 하게 만들고 다른 생각은 타 문화 즉 서구문화권에 대한 동경을 부추겼고 그것이 여성의 사회진출이라는 커다란 고정관념의 해방으로 물고를 트게 되었다. 이러한 여유로움은 표면적 미적가치의 변화를 줄 수 있는 더 많은 것을 찾게 되었고 더욱더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게 미적관념의 변동은 기성세대들로부터 고정관념으로 물들어왔다. 그리고 그러한 기성세대는 이 변동된 미적 문화를 10대들에게 전파하게 되었다. 그것은 곧 사회의 새로운 문화였던 인터넷이라는 매개체로 하여금 더욱 심화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3) TV속 외모 지상주의
이 사회를 외모지상주의로 만드는 주범은 사회곳곳에 있다. 용모를 중시하는 기업들의 채용관행, 날씬하고 예쁜 용모만이 선이라고 부추기는 tv, 영화 등 대중매체들, 각종 미인대회 등이 그것이다. 특히 대중매체의 발달과 함께 보는 즐거움이 그 세력을 더해가는 요즘 꽃미남, 꽃미녀들로만 가득하고 남의 외모를 우스갯거리로 만드는 tv가 외모지상주의를 부추기고 있다. 그래서 여기서는 tv속 외모지상주의에 대해 짚어보고자 한다.
먼저 한국여성민우회가 5월12~25일 지상파 TV 3사의 주 시청시간대(평일 오후7~11시, 주말 오후 6~11시)에 방송된 총 82개 프로그램 출연자 전원의 외모 차림새 등을 분석한 보고서를 살펴보겠다. 먼저 프로그램의 등장인물 총 7,427명 가운데 남자가 5,165명(69.55%)으로, 여자2,262명(30.45%)의 2.3배에 달했다. 특히 뉴스보도시사 프로의 출연자는 10명 중 8명이 남자였다. 보고서는뉴스 등에서 나타나는 이런 성비는 우리 사회의 주류가 남성이라는 의식을 재생산하는 장치로 작용하고 있다고 꼬집는다.
여성 출연자와 외모의 상관 관계는 체격 분석에서 확연히 드러난다. 분석팀은 신체비만도를 측정하는 BMI(Body Mass Index)를 참조해 연예인 중 뚱뚱한 체격, 보통, 마른 체격의 표준모델을 선정, 출연자의 체격을 분석했다. 그 결과 남성은 보통이 73.1%, 마른 체격이 14.8%인 반면 여성은 보통이 49.2%, 마른 체격이 42.3%를 차지했다. 얼굴 분석에서도 예쁜 여성의 출연 비율(52.4%)이 잘 생긴 남성의 출연 비율(15.8%)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장르별로 보면 뉴스시사 프로의 경우 여성 진행자와 취재자는 남성에 비해 예쁘고 마르고 젊은 인물이 많았다. 드라마에서는 예쁜 여자일수록 이성적이고 현실적인 인물로 그려지고, 적극적이고 유능한 여성일수록 화려한 차림새로 등장한다. 일반인이 많이 나오는 다큐멘터리교양 프로의 경우도 여성은 예쁘거나 보통인 출연자 비율이 남성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반대로 못생긴 남성의 비율이 여성보다 높았다. 보고서는여성의 경우 인터뷰 대상자까지도 외모가 중요한 고려 요인이 돼 여성은 능력보다 예쁘고 날씬한 몸매, 화려한 차림새가 경쟁력이라는 그릇된 고정 관념을 심어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여성을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변신시킨다는 발상은 우리사회의 잘못된 외모지상주의를 부추길 소지가 높다. 또한 방송이 외모지상주의와 관련업계의 상업주의를 엮어 여성을 인격이 아닌 상품과 도구로 취급하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4) 외모지상주의의 문제점
먼저 여성건강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 청소년 절반이 헌혈이 불가능할 정도의 빈혈이며 30대 여성의 골다공증 발병율이 50대 여성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지나친 다이어트로 인한 거식증, 폭식증 등의 식이장애, 빈혈, 무월경, 불임 등 여성건강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저체중이 가져올 수 있는 건강상의 문제점은 상대적으로 무시되고 있다.
또한 심리. 사회적으로 여성을 억압한다.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적 분위기는 대다수 여성에게 패배감을 준다. 외모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자신의 몸에 불만을 갖고 억압할 뿐 아니라 상대적인 무력감을 갖게 된다. 또한 외모관리에 무관심한 여성들은 여성답지 못하다는 비난을 사회적으로 받을 가능성이 높다.
마지막으로 외모로 인한 차별이 일반화되고 있다. 외모주의는 젊은 여성, 아름다운 여성, 잘생긴 남성 등 미적 기준으로 사람을 평가하고 나누는 새로운 형태의 차별이 되고 있다. 이런 차별은 취업이나 사회적 진출과도 연결되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얼짱 문화의 바탕을 이루고 있는 외모지상주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6. 맺음말
지금까지의 내용을 요약해보면, ‘얼짱문화’는 네티즌들의 자발적인 놀이문화로 시작하여 대중매체의 상업적 이익에 의해 이용되면서 신드롬으로 확대되었으며, 이 얼짱 신드롬이 생겨난 배경에는 우리사회의 문제인 외모지상주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수강도혐의로 수배된 20대 여성의 경찰수배전단에 실린 사진이 인터넷 상에 공개되면서 네티즌 사이에 급속도로 번져 탄생한 ‘강도얼짱’. 얼굴만 예쁘면 무조건 다 용서한다는 식의 외모지상주의의 사고방식이 여실히 드러나는 예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외적 가치가 아니라 인간내면의 정신적 가치이다. 아름다움은 언젠간 소멸하고, 아름다움의 기준도 시대에 따라 변하게 마련이다. 한낱 껍데기에 불과한 외형에 치중하기보다는 내면을 알차게 가꿔나가야 할 것이다.
더불어 얼짱 문화가 네티즌들이 인터넷 까페를 통해 자발적으로 모이고 서로의 취향을 공유하는 능동적 문화로 자리잡아, 자기를 표현하고 서로를 칭찬하는 선에서 그치길 바란다.
외모는 능력이 아니라 서로 다른 모양새일 뿐이다. 우리 사회에 뿌리깊게 내린 외모지상주의를 하루 아침에 뜯어낼 순 없겠지만 조금씩 의식의 변화를 추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인용문헌
한겨례 신문(www.hani.co.kr)
한국일보
바른지역언론연대
EBS ‘청소년외모열풍’
네이버 백과사전
네이버 블로그(www.webmedia.pe.kr)
  • 가격1,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05.29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99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