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보고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약물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약명
(상품명)
1회 용량
작용기전
부작용에 대한 간호중재
상용량
(mg)
성인용량
(mg/day)

본문내용

) → 4주마다 4mg/d 씩 증량,
최대용량 16~24mg/d
아세틸콜린 분해효소의 억제에 관여하는 약제
- 오심, 구토, 위장관계 증상
- 졸릴 수 있기에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지 알기 전까지는 운전하거나, 위험한 기계를 작동하지 않도록 교육한다.
tacrine
짧은 반감기로 4회/day 투여
시냅스 내 아세틸콜린 양 증가 유도약물
간효소치 상승하여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7. 항파킨슨 약물
약명(상품명)
1회용량
작용기전
부작용에 대한
간호 중재
Levodopa
300-500 mg/day로 시작, 3-4일마다 100-500mg씩 증량하여 복용한다.
도파민의 전구체로 뇌에서 도파민으로 전환되어 뇌에서의 도파민 농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정제로 복용하는 경우 장에 있는 효소로 인해 약물이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뇌까지 약효과 전달되지 못한다.
-변 원활제 : docusate sodium, 완하제, 섬유소 수분이 다량 함유된 음식물을 섭취한다.
-항우울제:고혈압위기나 anticholinergic 효과에 의한 부작용의 위험이 크므로 주의하여 사용한다.Dephrenyl(MAOI-B이나 trazodone, zimelidine(serotonin uptake 차단제)이 적당하다.
-과량 투여 시 Gastric lavage 실시 후 일반적인 중독 처치법을 실시하며, EKG로 부정맥 발현 관측 후 필요시 항부정맥제를 투여한다.
dopamine agonist
Bromociptine의 경우 체위성 저혈압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치료 시작 시에 시험적으로 1.25 mg을 복용하도록 한다.
lisuride의 경우 0.1 mg 1일 2회로 시작하여 필요시 0.2mg 1일 3회까지 증량한다.
D2 수용체에 직접적으로 흥분작용을 나타내며 levodopa의 효과가 감소되는 시기나 flucuations 발현 시에 사용된다.
-오심, 구토 : 음식물과 함께 복용
-체위성 저혈압(30%) : 현기증, fainting 등이 복용 초기에 일시적으로 발현될 수 있으므로 취침시 또는 누워서 복용하며 갑작스런 체위변경을 피한다.
-두통, 어지러움, 우울증, 하지부종, 다리경직, 피진 등의 지속시는 의사에게 연락한다.
-장기간 사용시 - 사지부종, 정맥염, pleuropulmonary fibrosis, 중독성 정신증
-과량 투여 시 오심, 구토 및 심한 저혈압 등이 야기될 수 있으며 흡인(aspiration)이나 gastric lavage를 실시하고 정맥수액 주사를 통해 저혈압을 방지한다.
Amantadine
·초기 100 mg/day로 아침 식후에 복용으로 시작하여 5-7일 후부터 100 mg씩 증량하며 1일 최대 허용량은 400 mg이다.
작용기전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전시냅스 말단에 저장된 dopamine을 방출시키고 dopamine reuptake를 저해하고 항콜린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진전에 효과적이며, 장기간 사용시에 효과가 감소한다.
-오심, 구토, 불면증, 관절부종 등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특정 해독제는 없으며 gastric lavage, 구토 등을 유도하고 요의 산성화를 통해 배설을 증가시킨다.
-중추신경계부작용시 physostigmine을 투여하고 필요시 진정제 및 항경련제를 투여한다.
-항부정맥제나 혈압상승제를 투여하기도 한다.
L-Deprenyl (Selegiline)
5mg 1일 2회 고정용량으로 사용하며 10 mg/day 이상 투여는 추천되지 않는다.
Monoamine oxidase중 뇌에 주로 분포하는 type-B의 길항제(MAOI-B)로서 이 효소의 기질인 dopamine의 대사를 억제하여 dopamine의 작용을 강화, 지속시킨다. 몇몇 연구에 의하면 nigrostriatal pathway의 퇴화를 방지한다.
-저혈압 또는 고혈압, 정신운동성 혼란(psychomotor agitation), 빈맥, 홍조, 발한 등 비선택성 MAOI와 유사한 증상이 발생한다.
-비선택성 MAOI와 유사한 처치법으로 구토유도, gastric lavage를 실시 후 일반적인 중독치료법에 따른다. 심한 고혈압시에는 α-blockers, 중추신경계 흥분으로 인한 경련시는 diazepam을 투여한다. 다량 투여시에는 혈액투석, 복막투석, charcoal hemoperfusion 등을 통한 제거가 효과적이다.
Anticholinergic agents
1일 3회 2.5mg을 투여하며 필요시 점차 증량한다. 최대용량은 20mg/day이다.
중추신경계에서 acetylcholine의 muscarine 효과를 차단시킨다. 동작완만(bradykinesia)보다는 경직(rigidity)이나 진전(resting tremor)에 효과적이며, 심한 경우에는 L-dopa와 같이 투여한다. Neuroleptic drug에 의한 긴장(dystonia)이나 Parkinson병 증상을 회복시킬 수 있다.
-부작용엔 발현, 악화되며 특히 심혈관 및 중추신경계 부작용이 증가한다.
-호흡억제 시 산소보충
-중추신경계 흥분, 경련시 속효성 barbiturate나 diazepam을 투여한다.
-산동과 모양근 마비 시 축동제 사용
-Physostigmine salicylate :대부분의 심혈관계, 중추신경계 부작용을 진정시킨다.
Benztropine
1일 0.5-1mg을 경구투여한다. 그 후 5-6일 간격으로 점차 증량하여 유지한다.
파킨슨씨병 증상이나 약물로 인해 발생되는 파킨슨씨병 유사 증상(진전 등)을 완화하는 항콜린성 약물이다. 이 약은 우리 몸에 존재하는 아세틸콜린이라는 물질을 감소시켜 이러한 효과를 나타낸다.
-부작용
정신신경계 : 운동실조또는 정신착란, 환각, 의식장애, 헛소리, 신경과민, 흥분, 불안, 우울증, 권태감, 수족의 지각이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소화기계 : 구갈, 구역, 구토, 변비 등의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간호중재: 페노치아진계 약물, 삼환계 항우울약, MAO 저해제, 레세르핀 유도체와 병용시 이 약의 작용이 증강될 수 있으므로 신중히 투여한다.
항콜린성 약물과 병용시 장관마비가 나타나 마비성 장폐색으로 이행될 수 있으므로 장관마비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23.03.16
  • 저작시기202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06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